[SCT UNION] UNION토큰 판매 시작 안내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 10:00부터 스판유니언에서 운영하는 UNION토큰의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profile.png

[구매 방법]

① SCT를 이용한 구매

  • 판매수량 : 100,000 UNION
  • 판매가격 : 1 UNION = 0.0025 SCT
  • 참여방법 : 스판유니언 계정(@union.sct)으로 SCT송부
    ※ 선착순 판매 완료 시 추가로 입금된 SCT는 환불처리 됩니다

② STEEM(STEEMP)를 이용한 구매

  • 판매수량 : 100,000 UNION
  • 판매가격 : 1 UNION = 0.004 STEEMP
  • 참여방법 : 스팀엔진 마켓에서 구매

[UNION토큰 정보]

UNION토큰의 세부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UNION토큰 판매 시작 안내’

[마감임박] 스팀엔진에서 PAL토큰 클레임드랍을 꼭 신청하세요!

palnet new.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스캇봇 기반의 스티밋 포크 프로젝트들 중에서 스팀코인판, 트리플에이, 스팀짱 말고도 스팀엔진팀에서 만든 PALnet이라는 트라이브가 있습니다.

스팀코인판의 SCT나 트리플에이 리뷰의 AAA처럼 PALnet에는 PAL토큰이 발행 및 사용되는데, PAL토큰의 경우에는 기존 스티미언들을 대상으로 에어드랍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보다 정확히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토큰을 달라고 클레임을 해야지만 토큰을 받을 수 있는 클레임 드랍을 진행 중입니다.

PAL토큰의 에어드랍은 런칭 후 1달 동안만 클레임이 가능하며 이제 곧 마감이 될 예정입니다.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아마도 많은 분들께서 이미 PAL토큰 클레임드랍을 받으셨겠지만, 혹시라도 모르고 계셨던 분들을 위해서 애그로드(@aggroed)가 직접 리마인드 포스팅을 올려줬네요.

claim1.png

마감일 전까지 PAL토큰 클레임드랍을 신청하지 않으신 분들이 있다면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클레임 드랍은스팀엔진을 사용 중이시라면 간단한 클릭만으로 쉽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스팀엔진 월렛에 접속하시면 좌측에 저런 아이콘이 숨겨져 있습니다)

혹시라도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읽어보시며 진행하셔도 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마감임박] 스팀엔진에서 PAL토큰 클레임드랍을 꼭 신청하세요!’

스팀코인판의 목표와 현황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question.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이런 저런 글들을 읽어보다가 “스팀코인판의 최종 목표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는 물음을 보고, 제 개인적으로 스팀코인판을 바라보고 있는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써볼까 합니다.

#1. 스팀코인판은 왜 시작되었을까?


제가 이해하고 있는 내용에 따르면 스팀코인판 운영진이 스팀코인판을 시작하게 된 이유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이더리움이 토큰 런처 플랫폼으로 크립토마켓에 각종 ERC-20토큰들을 본격적으로 쏟아붓기 전, 스팀 블록체인이라는 훌륭한 엔진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엔진을 좋은 차에 조립하여 실컷 달릴 수 있게 만들어주지 못한 Steemit Inc에게 운영의 책임이 있다는 것을 실험해 보고 싶은 마음에 출발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스팀 블록체인의 등장 초기부터 스티밋 활동을 해왔던 것은 아니라 2018년 이전의 상황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다음의 3가지만은 명확한 팩트입니다.

  • Steemit Inc가 현재 스팀 가격을 짓누르고 있는 가장 큰 위크핸드 중 하나라는 점
  • Steemit Inc에서는 스팀 블록체인과 스티밋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할 가장 큰 원동력이라 할 수 있는 SMT개발능력이 부족했다는 점
  • 위의 2가지를 애써 부정하고 있다는 점

스티밋 초창기부터 스팀 블록체인에 열렬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스판운영진은 스팀 블록체인에 기술적, 경제적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Steemit Inc의 운영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스팀코인판을 시작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운영적인 측면에서 스팀코인판은 Steemit Inc의 행보와는 반대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2. 스팀코인판의 목표는 뭘까?


스팀코인판의 최종적인 목표는 그 이름처럼 크립토애셋과 블록체인을 주제로 하여 스팀 블록체인의 PoB를 활용해 유저들이 소통하고 보상을 받아가는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팀코인판이 아직 넘어야 될 산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 스팀 블록체인의 신규 계정을 만드는 것
  • 블록체인 계정의 프라이빗키를 관리하는 것
  • 보상으로 얻은 토큰을 거래소로 옮기는 것
  • 스팀엔진을 사용하는 것
  • 스팀엔진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블록체인이 아닌 것
  • 스캇봇은 중앙화된 시스템이라 고장나면 담당자가 잠에서 깨길 기다릴 수 밖에 없는 것
  • 스팀 키체인을 사용하는 것

이런 스팀과 스팀엔진의 기술적인 부분에서의 진입장벽이나 문제를 비롯해서,

  • 마크다운으로 예쁘게 글을 쓰는 법
  • 좋은 글을 쓰는 법
  • 많은 보팅을 받는 법
  • 소통하는 법
  • 고래에게 선택을 받는 법
  • 많은 보상을 받기 위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법 등

SNS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적인 측면에서의 진입장벽이나 문제도 존재합니다.

결국 Proof of Brain으로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공부하고 배워야하고, 시스템에 익숙해져야 하고, 지속적인 활동과 노력을 해야만 PoB시스템의 진정한 구성원 중 한 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팀코인판의 운영진의 입장에서는

  • SCT토큰과 SCTM토큰의 가치를 시장에서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
  • 그와 동시에 커뮤니티를 확장하는 것
  • 지속성 / 확장성 / 신뢰성의 문제를 모두 극복하는 것
  • SCT의 유틸리티를 부여하는 것
  • 스팀과 스팀달러 보상을 부차적인 것으로 느끼게끔 주체인을 잡아먹는 것 등

다양한 숙제를 가지고 있죠.

개인적으로 현재 런칭한지 2달이 채 되지 않은 스팀코인판의 단기적 목표는 스팀코인판 운영진이 당면하고 있는 숙제들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3. 숙제를 풀어나가는 방법


개인적으로 스팀, 이오스를 비롯해 잘 작동하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작금의 크립토마켓을 보고 있자면 기승전비트코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곤 합니다.

“왜 비트코인에 투자를 해야 하나요?”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들이 각자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 처음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세상에 알린 최초의 상징물이라서
  • 가장 역사가 오래 되서
  • 가장 시가 총액이 커서
  • BTC마켓에서 모든 알트들을 지배하고 있어서 등등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쉽게 얻을 수 없어서가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거기에 더불어 초기에 채굴된 많은 수량들이 수면 아래로 잠겨 버렸던 것이 비트코인이 가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가장 훌륭한 펀더멘털 역할을 해주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어떤 물건의 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희소성입니다. 그리고 매일 같이 발행되는 인플레이션을 가지고 매일 가치 값어치가 떨어지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토큰들에 “어떠한 장치를 넣어서 거래가 잘 되지 않게끔 하여 희소성을 부여”하고, 희소성이라는 것이 생긴 물건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게 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 최고의 토큰 이코노미라고 하는 경우,

초기 채굴자들의 지갑 분실이나 망각, 사망 그리고 나카모토의 잠적이라는 이벤트들이 겹쳐져서 만들어진 비트코인의 토큰 이코노미는 현존하는 모든 코인과 토큰들 중에 가장 완벽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스팀코인판은 조금 다르지만 비트코인의 토큰 이코노미를 따라가기 위한 작업들이 많습니다.

스팀코인판 운영팀을 믿고 기꺼이 돈과 시간을 투자하여 SCT를 스테이킹한 자본가와 사용자들에게 보다 많은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SCT토큰에 희소성을 부여하고 그 가치를 시장에서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SCT를 채굴하거나 매입하여 스테이킹을 하고 있으면 그에 따른 차별적인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토큰 홀더들이 SCT를 모아서 스테이킹하고 시장에서 거래되는 물량을 잠그는데 자발적인 참여를 합니다. 결국 토큰의 초기 런칭 시에 상대적으로 크게 배분될 수 있는 발행분들이 스트롱 핸드들에게 집중되고 있습니다.

#4. 개인적인 생각


스티밋에서 약 1년 반 정도 활동해오면서 느낀 점은 위크 핸드인지 스트롱 핸드인지 알 수 없는 신규 유저에게 보팅을 해주는 것이 그들을 충성심 높은 액티브 유저이자 스트롱 핸드로 바뀌는 계기가 되지는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초반에 빅 홀더가 해주는 보팅을 받고 커뮤니티의 숯과 같은 사람이 되어 꾸준히 글을 쓰고 소통하며 활동하는 사람도 있지만, 마치 성냥개비처럼 활활 불타올라서 마치 인생을 걸고 글을 쓸 것처럼 하지만 채 반년도 못가서 없어지는 유저들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스티밋 생활 1년 반 동안 스티미언들의 생활에 가장 큰 도움을 주신다고 소문나 있는 스칸님이나 브램드님의 선택을 받아보지 못했던 입장에서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지만, 결국 계속 있을 사람은 있고, 나갈 사람은 나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보팅을 조금씩 나눠주는 행위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입니다. 몇 년 또는 몇 개월 동안 꾸준히 스티밋에서 글을 써오고 활동해오신 베테랑들 사이에서 갑자기 나타난 신규 유저가 많은 보팅을 받고 집중을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우리도, 신규 유저들도 스스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정말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콘텐츠를 만들었다면, 누가 찾아와주길 바라지말고 내 스스로 홍보를 하고 다녀야 합니다. 홍보를 했는데도 찾아오지 않는 것, 아니면 홍보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 다른 누군가의 호의를 마냥 기대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사실 PoB는 내 글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팅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Brain을 쓰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도 듭니다. 시스템에 조금씩 적응을 하다보니, 막연하게 보팅을 많이 받는 것처럼 보이는 분들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계셨는지를 깨닫게 되더군요.

스티밋도 스팀코인판도 사실 많이 지불한 사람이 더 많이 받아가는 구조입니다. 그게 시간이 되었든, 돈이 되었든, 보이지 않는 노력이 되었든, 정치가 되었든 말입니다.

정말로 조금씩 보팅을 나눠서 해주는 것이 STEEM이나 SCT의 가치 상승과 신규 유저 유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코인판의 목표와 현황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SCT UNION] UNION토큰 에어드랍 완료 | 조합원 대상 보팅 우대정책 안내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 스판유니언 조합원님들을 대상으로 UNION토큰의 에어드랍이 완료되었습니다.

airdrop2.png

더불어, [SCT UNION] 조합원 모집완료 | 토큰 에어드랍 및 판매정보 안내에서 사전 안내드린 것과 같이 UNION토큰의 판매는 내일(7월 3일, 수요일) 오전 10:00부터 진행이 될 예정입니다.

#조합원 대상 우대정책 안내


스판유니언은 큐레이팅 리워드 셰어 조합으로 ①홍보소각 포스팅 우호 계정 활동②유료보팅 서비스 활동을 통해 수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UNION토큰은 임대에 따른 보팅청구권을 적립해놓았다가 사용하는 유틸리티, 가격펌핑에 의한 수익을 주기 보다는 결과적으로 장기적으로 믿고 임대를 해주신 조합원님들께 유료보팅으로 적립된 자산을 분배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따라서, 스판유니언의 당초 목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단기적으로 조합원님들께 혜택을 드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으며 1차적으로 조합원 대상 보팅 우대정책을 안내드립니다.

# [소각에 참여한 조합원의 포스팅 풀보팅 지원]

[참고사항] 현재 일반 홍보글의 보팅원칙

  • 스판 운영팀의 큐레이션 보상 승수의 정책 변경에 따라 결과적으로 높은 페이아웃 금액이 찍혀 있는 포스팅보다는, 높은 페이아웃이 예상되는 포스팅에 조기보팅 하는 것이 큐레이션 보상에 더 좋습니다.

  • 따라서 스판유니언 운영계정은 다음과 같은 보팅원칙으로 큐레이션 수익 극대화를 추구합니다.

① 홍보보팅계정 보팅 전 150 SCT이상 소각한 포스팅 : 100% 풀보팅
② 홍보보팅계정 보팅 후 150 SCT이상 소각한 포스팅 : 50% 이내

  • 조합원의 포스팅은 홍보보팅계정의 보팅 전/후에 관계 없이 최대 100%까지 풀보팅을 진행합니다.

  • 운영계정의 아무 글에나 댓글로 홍보 예정인 포스팅을 알려주시면 빠른 보팅지원이 가능합니다

  • 풀보팅 지원의 경우에는 지분율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조합원이시기만 하면 됩니다

  • 추후 조합원들의 자발성에 의존한 태그 보팅 자동화를 고려 중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UNION토큰 에어드랍 완료 | 조합원 대상 보팅 우대정책 안내’

RORS 토큰 홀더들을 위한 보팅이 왜 오지 않는걸까? (보팅봇 찾아보기)

logo.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현재 10,000개 이상의 RORS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토큰 홀더는 @roadofrich 계정으로부터 보팅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차 프리세일 중에 한참 동안 신규 토큰홀더에게 보팅지원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나, 3일 전쯤에 로드오브리치팀에서 RORS토큰 홀더들을 위해 보팅봇을 세팅했다는 포스팅 이후 보팅이 시작되는 듯 했다가 다시 하루만에 보팅이 중지된 상태입니다.

vp.png

그래서 로드오브리치 계정의 보팅 리스트도 확인할 겸 보팅봇이 어떻게 세팅이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main.png

이미 아실만한 분들은 눈치를 채셨겠지만, 로드오브리치팀의 보팅봇은 스팀코인판의 운영진이기도 하신 제이콥(@sct.jcob)님께서 도움을 주고 계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이트 주소도 그렇고 굉장히 익숙하네요 :D

해당사이트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RORS 상위 토큰 홀더들의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고, 좌측에 보이는 Voting탭을 클릭하면 보팅리스트가 어떻게 등록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main2.png

로드오브리치팀의 보팅봇이 재미있게 느껴지는 곳이 바로 이 부분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보팅봇이 완전 자동이라기 보다는 관리자가 START VOTING을 클릭하면 보팅이 진행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보팅 봇에서는 각 토큰 홀더별로 토큰 비율 정보 및 그 날의 포스팅 링크 등을 수집합니다. 그러면 로드오브리치팀의 계정관리자가 일정한 시간에 스팀커넥트로 로그인을 한 뒤 [START VOTING]을 클릭하면 보팅이 일괄적으로 진행이 되는 방식으로 보입니다.

list.png

이러한 방식의 장점이라면 토큰 홀더들이 반드시 24시간 주기를 지킬 필요 없이 포스팅을 하더라도 꾸준히 보팅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지만, 혹시라도 계정관리자가 일정한 시간에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보팅이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지 않나 싶네요

토큰 홀더 리스트를 보니 낯익은 분들이 포스팅을 하고 보팅을 기다리고 계시던데, RORS 보팅봇이 빨리 안정화되서 보팅 지원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으면 좋겠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RORS 토큰 홀더들을 위한 보팅이 왜 오지 않는걸까? (보팅봇 찾아보기)’

[SCT UNION] 조합원 모집완료 | 토큰 에어드랍 및 판매정보 안내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판운영팀의 베네피셔리 이후 SCT고래님들의 혹시나 모를(?) 추가 임대를 기대해봤으나 역시나 기적은 없었네요. 다케시님께서 운영하시는 스판 공식 번역팀(@sct.han) 계정과 제 개인 계정의 임대를 추가하여 총 57,000 SCT로 7월 조합원 모집이 완료되었습니다.

rank.png

#1. 스판유니언 조합원 리스트


holder list.png

  • UNION토큰 에어드랍 물량은 상기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스판유니언의 공지와 같이 1차 조합원 대상 베네피셔리 분배가 완료되었습니다.

#2. UNION토큰 에어드랍 및 판매 정보


union token3.png

내일(7월 2일, 화요일) 중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UNION토큰의 에어드랍이 진행될 예정이며, 7월 3일(수) 오전 10:00부터 나머지 잔여분 200,000 UNION에 대한 판매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1) UNION토큰 정보 요약


profile.png

① UNION토큰은 100개당 1%의 스판유니언(@union.sct)의 보팅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10,000개를 스판유니언 풀보팅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보팅과 교환된 토큰은 @null 계정으로 보내져 소각됩니다

② UNION토큰은 청산가치 분배 청구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9년 12월 31일에 UNION토큰의 판매수익금 및 유료보팅으로 적립된 SCT를 토큰 지분율에 따라 분배 받으실 수 있습니다.

즉, 스판유니언의 판매수익이 얼마나 적립되느냐에 따라 UNION토큰의 가치가 사후적으로 정해지게 됩니다.

(2)토큰 판매 예정가격 및 산출기준


① 균형가격의 산정 기준 : 홍보소각 보팅친화 계정의 상대적 가치

  • 홍보소각 보팅현황 = 150 SCT 소각 시 334,311 SCT파워로 보팅
  • @kopasi 132,368 + @sct.min 150,000 + @sct.adv 29,714 + @supporters 22,229

② 스판유니언 계정의 풀보팅의 가치 : 25.57 SCT

  • 계산방법 = 57,000 ÷ 334,311 × 150
  • 즉, 10000 UNION = 25.57 SCT 정도에 상응합니다.
    vote value2.png

    시스템 상에서는 100% 보팅파워로 보팅 시 추정값은 92.67정도로 계산되나, 위의 비례값을 적용합니다.

③ 판매 가격 : 1 UNION = 0.0025 SCT = 0.004 STEEMP

  • 10,000 UNION = 25 SCT = 40 STEEM으로 책정되었습니다
  • 1 STEEMP = 1.6 SCT를 기준환율로 적용했으므로, 현재 균형가격 기준으로는 SCT로 구매하시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 즉, 시장에서 판매되는 UNION토큰은 약 500 SCT 정도의 극히 소량입니다

④ 판매 방법 : SCT판매(토큰 송부) 50% + STEEMP판매(스팀엔진 마켓) 50%

  • 판매 물량의 50%(100,000개)는 SCT와 교환 판매로 진행됩니다. 2019년 7월 3일(수) 오전 10:00부터 스판유니언 계정(@union.sct)선착순 입금으로 진행됩니다.

    판매량을 초과하여 입금된 SCT는 환불처리 됩니다

  • 나머지 판매물량의 50%(100,000개)는 스팀엔진 마켓에서 판매됩니다.

#3. 운영정책 안내


  • 스판유니언은 홍보소각 우호 계정으로 활동합니다. 홍보소각에 참여한 글에 우선 보팅하여 해당 저자의 리워드 손해를 방지하는 동시에 큐레이팅 리워드를 극대화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조합원 유무에 관계없이 홍보소각에 참여하신 분들은 스판 유니언의 보팅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스판유니언은 유료보팅 서비스를 적극 지지합니다. 1개 부터 25개까지 유료보팅 신청을 하실 수 있으며 최소 4%부터 100%의 보팅을 지원합니다. 유료보팅 서비스로 적립된 SCT는 UNION토큰 홀더들에게 분배함으로써 임대 및 토큰 홀딩에 따른 수익을 보상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유료보팅 서비스 신청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가이드를 작성하여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몸빵 테스트 조합에 믿고 임대해주신 조합원님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조합원 모집완료 | 토큰 에어드랍 및 판매정보 안내’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