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와 영향력이 기준이 되는 스티밋 포크 LIV의 런칭 소식!

life.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방금 전 가치와 영향력이 기준이 되어 생태계에 건전한 영향력과 높은 가치를 공급해주는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LIV가 새롭게 런칭하였습니다. LIV는 그동안 스팀 생태계에서 오랜시간 동안 증인으로 활동하시며 겪어오셨던 조제리(@clayop)님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작되는 실험적 커뮤니티라 LIV토큰의 투자가치와는 별개로 어떤 레이어로 작동하게 될지가 궁금해지는 곳입니다.

#1. LIV 정보


logo.png

① 공식 사이트 : https://liv.steempeople.com

② 토큰 심볼 : LIV

③ 커뮤니티 설립 목적

  • Life, Influence, Value라는 토큰의 약자처럼, 모든 유저들의 삶에 있어 건전한 영향력이 가치를 만드는 커뮤니티

④ 커뮤니티 특징

  • 콘텐츠의 인기도를 1토큰 1표제가 아닌 1인 1표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음
  • 자본 또는 지분으로 대표되는 금권적 영향력을 배제한 콘텐츠의 가치 확인 가능
  • 1인 1표제를 채택하는 대신, 실명인증을 마친 사용자들만이 사용 가능한 커뮤니티

#2. 토큰 정보


token.png

① 공급량 : 52,101 LIV

② 유통량 : 40,600 LIV

  • 실명인증을 완료한 스티미언 406명에게 100 LIV씩 에어드랍으로 지급
  • 나머지 발행분은 추후 실명인증을 완료한 유저들에게 지급

③ 세팅정보

detail.png

  • 에어드랍 시 스테이킹된 형태로 지급

  • 언스테이킹 기간 : 42년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의 포리투!

  • 저자보상 및 큐레이터 보상 = 100:0 (큐레이터 리워드가 없는 것이 특징)

#3. 주요 특징


① LIV 커뮤니티에서 특정 포스팅에 보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글을 클릭하여 읽어야 보팅 가능

② 큐레이터 보상이 없기 때문에, 보상 곡선이나 세팅 값 등을 계산하여 보팅할 필요가 없음


LIV 커뮤니티가 보팅파워라는 안개를 걷어내고 실제로 실명을 인증한 사용자들이 가치가 높은 글이라고 인정한 콘텐츠들을 찾아주는 일종의 레이어 역할을 수행해주기 위해서는 사실 모든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경우에는 저자 보상이 있다고 하지만 아주 미미한 수준이고, 큐레이터의 경우에는 아무런 보상이 없기 때문에 #liv 태그를 입력하지 않거나, 실명인증을 마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큐레이팅 참여가 부족하다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사람들 속의 무관심 속에서 조용히 잊혀지는 커뮤니티가 될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많아진다면 분명히 많은 사용자들에게 높은 가치를 가져다주는 콘텐츠나 저자들을 발굴해낼 수 있는 공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LIV의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은 결국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자발성이지 않을까 싶네요.

조제리님의 많은 경험과 고민이 담겨 있는 LIV의 시작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가치와 영향력이 기준이 되는 스티밋 포크 LIV의 런칭 소식!’

다양한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의 등장, 통합이냐 선택과 집중이냐

together.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SCOTBOT 기반의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스팀엔진팀 덕분에 SMT의 정식 런칭 전에 많은 유저들이 SMT가 어떤 확장성을 가지고 어떤 가치를 부여할 것이며 어떤 새로운 재미와 의미를 줄 것인지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들인 것 같습니다.

기존까지 모든 유저들이 스팀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디앱인 스티밋에서 스팀(STEEM), 스팀파워(SP), 스팀달러(SBD)의 보상 체계 하나에만 목을 메고 있었다면, 지금은 스캇봇 덕분에 스티밋에서의 보상은 유저들에게 점차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고, 새로운 인센티브 덕분에 커뮤니티가 활기를 찾고 포스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을 보고 있자면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와 해당 커뮤니티들의 토큰들이 유저들에게 가지는 의미는 정말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득 현재의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 모두에서 활동하고 계신 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그리고 운영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해서 이런 저런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1. 커뮤니티의 분열과 통합


지금까지 모든 스티미언들은 주제를 한정받지 않고 자신의 흥미, 취미, 관심사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스티밋에서는 어떤 사용자가 어떤 주제로 글을 올리든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그러나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은 조금 다릅니다.

scot.png

각 포크 커뮤니티의 이름만 보아도 각 포크 커뮤니티에 나름의 세분화된 “핵심 주제”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름으로 유추가 되지 않는 경우에도 운영진에서 나름의 테마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스팀코인판 : 크립토애셋(코인) 및 블록체인 관련 커뮤니티
  • 트리플에이 리뷰 : 영화, 드라마 등 리뷰 커뮤니티
  • 스팀짱 : 코인이라 리뷰를 제외한 일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커뮤니티
  • 스플린터 : 스팀몬스터 관련 커뮤니티
  • 스포츠 : 스포츠 관련 커뮤니티
  • 위드캐시 : 대마 관련 커뮤니티
  • 스팀레오 : 투자 관련 커뮤니티

위와 같이 주제만 놓고 보았을 때는 교집합이 없어 보이는 것이 스티밋 포크이고, 어쩌면 포크 커뮤니티가 추구해야 할 방향성이기도 합니다.

정말 예를 들어서, 메시가 대마를 한 뒤에 스포츠계에서 은퇴한 다음 비트코인을 사서 대박이 난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보고 친구들과 대마를 한 대 핀 다음에 스팀몬스터를 즐기러 PC방에 간 이야기와 같은 이야기를 쓰지 않는 이상에는 사실 저 모든 커뮤니티들을 아우르는 콘텐츠를 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아무대로 모든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는 주제가 있기 마련이고 그 주제들과 관련된 글이 부족한 경우에는 다른 주제를 다루는 글도 읽어보겠지만,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한 글들이 충분하다면 그것들에만 집중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 방문하는 사이트가 더이상 스티밋이 아니라 스팀코인판입니다)

결국 SCOTBOT 덕분에 스티밋이라는 통합 콘텐츠 포탈에는 다양한 포스팅들이 넘쳐나며 집 나갔던 유저들이 돌아오고 있는 반면, 각 유저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공통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유저들과 주로 소통하게 되는 웃지 못할 해프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 통합? or 선택과 집중?


현재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의 운영진들 또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암묵적 합의에 의해 포스팅 주제의 바운더리가 비교적 관대하고 자유로운 곳은 PALnet과 스팀짱입니다.

트리플에이 리뷰와 스팀코인판은 꽤나 주제가 구체적이고 명확하면서 교집합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이 둘 커뮤니티 태그를 모두 사용한 포스팅이 올라오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스팀엔진의 툴이나 새로운 소식 등을 다루는 경우, 두 토큰 모두와 관련된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외에는 사실상 동시 태그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aaa 태그와 함께 #palnet 또는 #zzan 을 사용하는 경우는 많아도 #aaa 태그와 #sct 태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명확한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다른 커뮤니티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실례라는 점, 그리고 운영진으로부터 제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각자가 스스로 태그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러다 보니, 양쪽의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거나, 스티밋에서 전체 글 보기를 하지 않다가 보면 다른 쪽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분들과의 관계가 소홀해지게 되는 상황도 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스팀엔진 토큰들의 SCOT파워도 스팀 계정의 스팀파워와 연동이 되어있다 보니, 동시 태그를 사용한 글에 보팅을 하는 것에 부담이 생기게 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포스팅이 정말 좋은 리뷰 글을 보게 되었는데 해당 포스팅이 #aaa와 #sct를 모두 입력한 경우, 그리고 현재 내 계정에 SCT파워가 높은 경우에는 마음놓고 풀보팅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어찌보면 코인이나 블록체인 관련 포스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SCT가 부차적인 소득으로 낭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AA로는 100% 풀보팅, SCT로는 0% 보팅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이러한 점 때문에 오치님께서도 “커뮤니티에 맞는 태그사용이 커뮤니티를 위하는 것이며 그것이 스팀의 가치를 올리고 유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결국 각 커뮤니티를 존중하고, 해당 커뮤니티에서 추구하는 주제에 맞는 포스팅을 쓰게 위해 노력하는 다른 유저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태그 사용이 지양되어야 함이 맞습니다. 이런 문화가 잘 정착되어야만 각 유저들이 굳이 부계정을 만들지 않고도 주계정 하나만으로 여러 커뮤니티에서 자유롭고 편하게 보팅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 쉬우면서도 어려운 문제


이번에 열심히 활동해주시는 스파니언을 추천받는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특정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에 특화되지 않은 분들이 오히려 소외감을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꾸준히 맛집 포스팅을 쓰시는 분, 꾸준히 법률/의학 관련 지식을 올려주시는 분, 기부나 선행을 하시는 분들은 어찌보면 스티밋에서만 활동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실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이를 위해서 스팀짱이 런칭하긴 했지만요^^)`

그리고 주된 관심사가 다른 유저들끼리의 거리가 자연스럽게 멀어질 수도 있겠다는 우려도 듭니다. 해당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의 주제와 관련하여 많은 지식이나 글쓰기 실력이 없어서 글을 쓰지 못하는 분들은 자연스럽게 해당 커뮤니티에서 인사이더로 활동 중인 분들과는 소원해질 수 밖에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운영진들이 어느 정도의 룰을 정하고 가이드를 만들어서, 해당 커뮤니티의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도 약간의 접점들을 만들 수 있는 여지들을 두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명확한 룰과 가이드가 있다면 모든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그 룰을 잘 지켜가며 글을 쓰고 소통할 수도 있을겁니다^^

예를 들어, 코인이나 블록체인 관련해서 지식이 없는 분들의 경우에는 스팀코인판에서 #sct태그와 #freeboard태그를 같이 사용하시고 일상 이야기를 하셔도 됩니다.

태그의 남용, 오용은 지양해야 하겠지만 소통과 통합의 문제도 중요한 시기인 것 같습니다. 각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운영진분들께서 이 내용에 관해서도 고민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팅은 대놓고 모든 태그를 사용한 글로 부적절하게 느껴지시는 경우에는 가차없이 다운보팅을 해주셔도 감사드리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다양한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의 등장, 통합이냐 선택과 집중이냐’

새로운 SCOTBOT 기반 커뮤니티 스팀레오(STEEMLEO) 런칭!

steemle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또 하나의 새로운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스팀레오(STEEMLEO)가 런칭하였습니다. 국내 커뮤니티 기반의 대표적인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스팀코인판, 트리플에이, 스팀짱을 비롯하여 PALnet, SplinterTalk 그리고 스팀레오까지 스팀엔진 트라이브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네요

#1. 스팀레오(STEEM LEO)란?


steemleo5.png

steemleo2.png

스팀레오는 투자 관련 콘텐츠들을 위한 커뮤니티로 기존에 스티밋에서 #tooza 또는 #coinkorea 등 투자 관련 콘텐츠를 업로드하시던 분들이 사용하기 딱 좋은 커뮤니티입니다.

steemleo4.png

스팀레오의 경우에는 스티밋 포크 사이트 뿐만 아니라, 스캇튜브(과거 디튜브) 인스턴스도 함께 런칭하여 영상 콘텐츠도 함께 업로드를 하실 수 있습니다.

스캇튜브(ScotTube)는 스팀 계정으로 로그인도 가능하고, DTube로그인도 지원합니다

#2. 토큰 정보


steemleo3.png

ENG나 PAL토큰과 유사하게 스팀레오에도 3가지 종류의 토큰이 있으며 토큰별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leo.png

① 네이티브 토큰 : LEO
초기 공급량은 9,739,037 LEO로 다음과 같이 배분됩니다

  • PAL토큰 스테이크하고 있는 토큰홀더 대상 에어드랍 : 1,739,037
  • 팀 배분 : 2,000,000
  • 모더레이터 : 1,000,000
  • 스팀엔진 판매 : 2,000,000 (1 LEO = 2 STEEM으로 매도벽이 있음)
  • 바운티 : 3,000,000

[특이사항] PAL토큰 스테이크 홀더 에어드랍 관련

  • LEO토큰이 PAL토큰을 스테이킹 중인 토큰 홀더 대상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하였으나, 에어드랍 진행 과정에서 스테이킹 후 타계정에 임대한 경우의 수량을 누락한 관계로, 추가적인 에어드랍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LEOM.png

② 레오 마이너 토큰 : LEOM

  • 기존의 EM 또는 PALM과 유사한 네이티브 토큰(LEO)의 채굴 토큰입니다
  • 매 시간마다 30명의 채굴 성공자가 선정됩니다
  • 발행량 : 250,000 LEOM
  • 토큰 가격 : 1 LEOM = 2 STEEM
leomm.png

③ 레오 메가 마이너 토큰 : LEOMM

  • 기존의 EMFOUR 또는 PALMM과 유사한 프리미엄 마이너 토큰입니다
  • LEOM에 비해 4배의 채굴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발행량 : 70,000 LEOMM
  • 토큰 가격 : 1 LEOMM = 6 STEEM

    가격이나 성능적인 측면에서 세팅값이 EM/EMFOUR 그리고 PALM/PALMM과 같습니다.

#3. 세팅 정보


① 인플레이션 정보

LEO토큰의 최초 인플레이션은 2,000,000 LEO입니다. 그리고 해당 인플레이션 발행분은 다음과 같이 분배가 되어 있습니다.

  • PoB(저자/큐레이터 리워드 풀) : 1,700,000 LEO - 85%
  • PoM(LEOM/LEOMM 마이닝 풀) : 300,000 LEO - 15%

특이한 점은 인플레이션 발행분 중 베네피셔리가 없다는 점입니다.

② 세팅값 정보

  • 저자보상과 큐레이터 보상 = 50:50
  • 페이아웃 기간 : 7일
  • 인플레이션 감소율 : 1년 마다 1%씩 감소

#4. PAL토큰홀더 에어드랍을 진행한 이유


스팀레오에서 PAL토큰홀더들에게 1:1의 비율로 에어드랍을 진행한 이유는 PALnet에서 특정 블랙리스트들을 제공하고 활동적인 스티미언들에게 토큰을 클레임 드랍했고, 현재 PAL토큰홀더들은 무료로 받은 토큰을 시장에 내다 던지고 나서 남은 사람들이니만큼 가장 활동적이고 스팀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을 잘 아는 유저들로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market.png

스팀레오팀에서 LEO토큰의 매도벽을 1 LEO = 2 STEEM으로 세워놓았으나, 0.001 STEEM 정도까지 떨어졌다가 지금은 0.04~ 0.05 정도에서 소량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스팀 엔진 트라이브의 등장을 축하하며, 그동안 투자 관련 포스팅을 해오셨던 분들은 앞으로 #steemleo 태그도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새로운 SCOTBOT 기반 커뮤니티 스팀레오(STEEMLEO) 런칭!’

[SCT UNION] 스판유니언 큐레이션 수익 배분정책 변경 안내

unio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판유니언 조합원님들의 빠른 수익실현 및 유동성 보장을 위해서 스판유니언 큐레이션 수익 배분정책을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 (기존) 2주 단위 수익배분 및 정산
  • (변경) 1주 단위 수익배분 및 정산

확실히 개인적인 여력만 뒷받침된다면 수익배분을 빠르게 정산하는 것이 조합원님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1주 이내로 줄여보는 방법도 생각 중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를 잘 모르겠네요) 일단은 1주 단위 수익배분 및 정산에 도전해보고, 가능하다면 정산 주기를 더 빠르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할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까지의 운영 상황]

scot.png

① 현재까지 적립된 큐레이팅 수익 = 338.257 SCT

② UNION토큰 판매 및 유료보팅 수익 = 175 SCT

※ 발생된 수익은 곧바로 SCT파워업을 위하여 스테이킹 되었습니다

③ 홍보소각에 참여한 조합원의 글은 최대 100%까지 보팅지원을 드립니다

시간 여유가 되실때마다 글을 쓰시고 소각에도 참여하시면 수익극대화에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④ 비조합원의 홍보소각글에 보팅은 최대 50%로 진행 중입니다.

※ 유료보팅 신청이 많아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비조합원 포스팅 대상의 랜덤보팅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⑤ 유료보팅 신청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나은 혜택을 드리기 위해서 보팅파워를 적정선에서 유지 중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스판유니언 큐레이션 수익 배분정책 변경 안내’

[이벤트] 열심히 활동 중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스파니언 저자들을 추천해주세요!

logo1.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 오전 10:00부터 스판유니언의 UNION토큰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약 5시간 정도가 지난 현재 판매물량은 0개 입니다. 사실 판매를 시작할 때부터 그다지 인기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을 했었기 때문에, 약간의 여유시간을 두었다가 제 사비를 털어 SCT 교환을 통해 판매 중인 100,000개 중 절반에 해당하는 50,000개를 구입하였습니다.

rank.png

현재 스판유니언(@union.sct) 계정의 SCT스캇파워는 57,125 SCT로 전체 홀더 중 5위에 랭크하고 있습니다. (제가 구매한 125 SCT가 운영계정 자체 파워업에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png

더불어 UNION토큰은 100개당 스판유니언 계정으로부터 1%의 보팅을 받을 수 있는 토큰으로 제가 구매한 50,000개는 총 500%의 보팅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UNION토큰을 가지고 스팀코인판에서 열심히 콘텐츠를 만드시는 저자들을 응원하는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1. 이벤트 내용


① 목적

  • 스팀코인판에서 좋은 콘텐츠를 열심히 만들어서 올리고 있지만, 많은 보팅을 받지 못하고 있는 우수 저자를 발굴하여 보팅을 지원해드리고자 합니다

② 방법

  • 스팀코인판에서 계속해서 우수한 글을 써주고 있으나, 받은 보팅이 아쉽게 느껴지는 스파니언의 이름을 댓글로 추천해주세요!
  • 본인 셀프 추천은 불가합니다
  • 1인당 1명 추천 가능

③ 선정인원 : 10명

④ 선정기간 : 2019년 7월 6일(토), 본 글이 페이아웃 되는 시점까지

⑤ 지원내용

  • 본 이벤트는 일종의 멘토-멘티와 유사한 방법으로 지원됩니다.
  • 추천을 해주신 분께 5,000 UNION을 송부드립니다.

    5,000 UNION은 스판유니언 계정으로부터 50%의 보팅을 받을 수 있는 량입니다.

  • 추천해주신 분께서 사용하셔도 좋고, 추천해주신 분께서 피추천인께 사용방법을 가르쳐주셔도 좋습니다.
  • 보내드린 5,000 UNION을 추천인이 사용 또는 피추천인이 사용(@union.sct계정으로 5,000 UNION을 보내면서 보팅을 받을 URL메모 입력)해주시면, 해당 포스팅에 스판유니언이 50%의 보팅을 지원합니다.
  • 세부 사용방법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⑥ 선정방법

  • 본 이벤트는 선착순으로 마감하겠습니다
  • 10명이 모두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선정기간 마감일에 자동 마감됩니다

#2. UNION토큰 보팅 사용방법


아래와 같이 스팀키체인을 사용하셔도 되고, 스팀엔진 월렛에서 토큰 전송을 하셔도 됩니다.

guide1.png

① 스팀 키체인 로그인 후 [TOKENS] 클릭

guide2.png

② UNION토큰 우측의 종이 비행이 모양의 아이콘(토큰전송 메뉴) 클릭

guide3.png

③ 다음과 같이 입력

  • 받을 계정 : union.sct (@는 입력하실 필요 없습니다)
  • 전송수량 : 5,000
  • 메모 : 보팅지원을 받을 계정 URL입력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벤트] 열심히 활동 중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스파니언 저자들을 추천해주세요!’

트리플에이 업보팅봇 스파임대 행렬에 참여 가즈아!

triplea logo.png

안녕하세요, 리뷰 포스팅에는 소질이 없어 트리플에이에서는 눈팅족으로 활동하고 있는 디온(@donekim)입니다. 어제는 야근 때문에 보지 못했던 스파이더맨 파프롬홈을 오늘 보러 갈 예정이니, 오래간만에 트리플에이에도 리뷰 포스팅을 한 번 남겨볼 수 있을 것 같네요.

tripleabot2.png

최근에 @triplea.bot과 @sct.voter를 통한 스팀엔진 토큰의 스파/스달 환전이 완전 핫한 서비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비딩라운드의 다음 차수까지 미리 예약 비딩을 걸어놓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엄청난 비딩 경쟁이 붙어 있습니다.

참고로 AAA가 반환된다는 뜻은 현재 진행 중인 라운드, 그리고 그 다음 라운드까지 모두 비딩이 풀로 꽉 찼다는 의미입니다.

tripleabot.png

그래서 저도 얼마 안되는 스파이지만 트리플에이 업보팅봇 스파임대 행렬에 참여했습니다.

현재 트리플에이 업보팅봇(@triplea.bot)에 스팀파워를 임대하는 경우, ①임대 스파비율에 비례하여 매일 AAA토큰을 배당받으실 수 있고, 그에 더해 ②완전 핫한 JJM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수령(1,000SP 기준 30 JJM)할 수 있다보니 @triplea.bot 스파임대에 많은 분들이 참여하고 계십니다.

이제 300,000 스파를 돌파했고 기존에 임대한 스파를 회수 중인 분들께서 7월 6일 전까지 스파임대 행렬에 합류하실 예정들이라 이 스파들이 합쳐지면 꽤나 규모가 커질듯 싶습니다.

tripleabot3.png

트리플에이에서 열심히 리뷰 포스팅을 작성하신 분들은 AAA를 사용하여 스티밋에서의 꽤나 좋은 보팅을 받으실 수 있으니 눈치싸움이 치열하더라도 꼭 한 번 업보팅 봇 서비스를 이용해보시고, 스파임대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스팀커넥트 연결을 통해 스팀파워를 간편하게 임대하실 수 있습니다


500 | 1000 | 2000 | 3000 | 5000 | 10,000 | 20,000 | 50,000 |

※ The following part is needed to put filled in and added to your text, as otherwise it will not be included later on phase II on Triple A.
※ 리뷰 하단에 다음 두가지 항목 포함 필수 (미포함 시 차후 자체사이트에 반영 안됨)

  • Movie URL: (Look at https://www.themoviedb.org/ for your title and put the URL here)
  • Critic: (Choose between A, AA, AAA and input the Data)

  • 영화 URL: (https://www.themoviedb.org/ 에서 리뷰하고싶은 영화 검색후 URL 이곳에 삽입)

  • 별점: (A, AA, AAA 중 선택해서 이곳에 삽입)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트리플에이 업보팅봇 스파임대 행렬에 참여 가즈아!’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