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레오(STEEM LEO) 보팅풀 보팅지원 시작 안내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레오 보팅풀(@union.leo)에서 1차 조합원 모집 및 보팅지원을 위한 오토보팅 세팅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1. 보팅풀 참여자 현황


steemleo list.png

① 조합원 수 : 22명
② 총 임대 LEO : 36736.5 LEO
③ 임대비율 등

순서 계정명 수량 임대 비율 조정 보팅비율 보팅지원 리워드 배분 비고
1 @menerva 4545 12.39% 248% 100% 15.42%
2 @donekim 4047 11.03% 221% 100% 13.73%
3 @fenrir78 4000 10.90% 218% 100% 13.57%
4 @storysharing 3500 9.54% 191% 0% 11.87% 리워드만 수령
5 @leeyh2 3200 8.72% 174% 100% 10.86%
6 @oldstone 2500 6.81% 136% 100% 8.48%
7 @slowwalker 2500 6.81% 136% 100% 8.48%
8 @kiwifi 2400 6.54% 131% 0% 8.14% 리워드만 수령
9 @floridasnail 1687.5 4.60% 92% 0% 5.72% 리워드만 수령
10 @kingbit 600 1.64% 33% 0% 2.04% 리워드만 수령
11 @banguri 500 1.36% 27% 0% 1.70% 리워드만 수령
12 @bji1203 1267 3.45% 69% 100%
13 @koreaminer 1088 2.97% 59% 100%
14 @jsquare 1003 2.73% 55% 100%
15 @kibumh 800 2.18% 44% 100%
16 @lovelyyeon.sct 620 1.69% 34% 100%
17 @glory7 611 1.67% 33% 100%
18 @tailcock 600 1.64% 33% 100%
19 @kstop1 450 1.23% 25% 100%
20 @yasu24 418 1.14% 23% 100%
21 @matildah2 200 0.55% 11% 100%
22 @yasu 200 0.55% 11% 100%
합계 22명 36736.5 100% 2002% 1700%

#2. 안내사항


  • ① @union.leo 계정에서 보팅하는 비율은 일괄적으로 100%로 설정되었습니다

    모든 조합원들이 보팅지원을 최대로 받을 수 있도록 세팅하였습니다.

  • #steemleo 태그를 입력하여 포스팅을 업로드하시는 경우 자동으로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조정 보팅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큐레이터 리워드 수령만을 신청하신 경우에는 임대비율만큼 리워드 배분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④ 스팀리워드의 자동세팅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steemrewarding.png

  • 1일 1회 이상의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조정 보팅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1일 최대 2회까지 보팅지원
  • 보팅주기는 최소 12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7월 21일(일)에 1차 리워드 배분 진행 예정입니다.

  • ⑥ 중도에 임대수량을 추가하시더라도 1주일에 한 번만 임대비율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당초 예정일보다 하루 늦게 시작하는 관계로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올립니다. 오늘(7월 14일, 일요일)부터 보팅지원이 되고 있으므로, #steemleo 태그를 사용하시어 포스팅을 업로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동안은 정상 작동여부를 모니터링 예정입니다)

더불어, 혹시라도 포스팅 작성이 어려워서 큐레이팅 리워드만 수령하길 원하시는 분들은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시면 조정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레오(STEEM LEO) 보팅풀 보팅지원 시작 안내’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활동을 피해야하는 시간이 있다?

danger.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최근 들어 스티밋의 활성유저 중 대부분은 스팀엔진 SCOTBOT 백엔드 기반의 스티밋 포크 사이트들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들과 관련된 포스팅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라는 특징도 있고 스팀코인판에서는 SCT로고가, 그리고 트리플에이에서는 깜짝 선물상자가 등장하는 것도 또 다른 이유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스캇봇은 충분히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오늘 홀거가 Scotbot: faster than ever, tags with capital letters will be accepted and claimed token are double checked라는 포스팅을 통해서 스캇봇 서비스가 보다 빨라지고 개선되고 있다고 말해주고는 있지만, 펜딩 리워드 토큰 수량을 산정함에 있어 여러가지 오류들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scotbot.png

이미 많은 분들이 보상의 반토막, 반의 반토막이 나는 경험을 하시기도 했고 어떤 경우에는 스팀 엔진 트라이브 사이트에서 작성한 포스팅이 새로고침을 하더라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 토큰 클레임이 되지 않는 경우 등 굉장히 난처한 상황을 여러 번 겪으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간헐적으로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① 스캇봇에서 브로드캐스팅 된 custom_json이 스팀 블록체인에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② 과부하가 걸리며 스팀엔진 사이드체인(스팀엔진의 중앙화된 노드)이 싱크가 일시적으로 끊어지는 경우

③ 일시적으로 스팀 블록체인과의 싱크가 끊어지고 나서 분모값이 급증하는 경우

위와 같은 경우들이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거기에 간헐적으로 세팅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증해보지 못하는 중앙화된 서비스의 한계들도 한 몫을 하기도 하구요)

사실 토큰 클레임이 안되는 것이나, 포스팅이 보이지 않는 것은 추후에 자동적으로 해결이 되는 관계로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유저들이 얼마든지 감내할 수 있겠지만, 예상 리워드가 쪼그라들어 버리는 경우는 각각의 유저들에게 큰 실망감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스캇봇이 굉장히 불안정해지는 일정한 시간대가 있습니다.

바로, 오전8~10시 사이 그리고 새벽 0시~1시 사이입니다.

(우리나라 시간 기준)

해당 시간에 많은 유저들의 활동이 있어서 그런 건지, 아니면 해당 시간에 작성된 포스팅들이 많아서 그런 건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해당 시간대에 작성되었던 포스팅의 보상이 토막나는 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내가 공들여 작성한 글의 페이아웃이 쪼그라드는 진귀한 광경을 굳이 목격하고 싶지 않으신 분들은 가능하다면 해당 시간을 피해서 포스팅을 업로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내 커뮤니티가 원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참 우연하게도 해당 시간대는 국내 커뮤니티 유저들이 많이 활동하는 시간이고, 그러다 보니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적으로도 참 마음이 아픕니다 ㅠ

만약 회사 업무나 육아, 집안일 등으로 인해 해당 시간밖에 글을 쓸 시간이 없으신 경우에는 스팀피크에서 예약 포스팅을 설정해 놓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활동을 피해야하는 시간이 있다?’

스팀코인판에서 소각비용 인상 경쟁에 불이 붙은 이유

fire.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파니언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계시겠지만 SCT토큰은 매일 같이 발행되는 토큰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는 중추적인 역할이자, 참여자들에게 꽤나 높은 수익을 주는 홍보 및 소각 기능이 있습니다.

현재 스팀코인판에서 포스팅을 작성하고 해당 포스팅에 150 SCT이상의 비용을 소각하여 홍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홍보지원계정인 @sct.min, @kopasi, @sct.adv, @supporters의 보팅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이 홍보지원계정들의 보팅파워의 총합은 약 40만 SCT 스캇파워입니다. (정확히는 현재 기준으로 약 392,821 입니다)

사실 현재 150개의 SCT는 현재의 스팀시세로 환산하였을 때 약 176,000원(=150 x 3.163 x 371)의 가치이기 때문에 포스팅 광고 비용으로는 제법 비싸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팀가격과 SCT가격이 꽤나 올랐을 때로 따지면 정말 어마어마한 수준이기도 했었습니다)

burn3.png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스판에서는 소각비용을 너도 나도 더 지불하여 토큰 디플레이션의 최고 기여자가 되고자 하는 경쟁이 몇 달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과연 그 이유가 뭘까요? 오늘은 저를 포함하여 스판에서 많은 유저들이 열심히 소각 경쟁에 참여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1. 높은 기대수익률


brun4.jpg

구분 소각금액 페이아웃 수익
1 100 195.723 95.723
2 100 384.49 284.49
3 150 156.436 6.436
4 150 360.744 210.744
5 150 314.876 164.876
6 150 177.828 27.828
7 150 126.019 -23.981
8 151 224.114 73.114
9 151 370.658 219.658
10 151 319.864 168.864
11 157 381.209 224.209
12 200 167.325 -32.675
13 200 254.007 54.007
14 200 518.044 318.044
15 205 564.987 359.987
16 206 446.165 240.165
17 206 394.547 188.547
18 209 297.582 88.582
19 210 519.526 309.526
20 212 553.177 341.177
21 213 557.482 344.482
22 215 492.087 277.087
23 220.1 525.541 305.441
24 230 349.616 119.616
25 300.01 1249.919 949.909

위의 표는 제가 참여했던 소각 포스팅들의 소각 비용과 그에 따른 수익을 정리한 표입니다. (비교적 현실적인 수익률을 보여드리기 위해 페이아웃 금액 계산 시 에러가 났던 포스팅은 제외하였습니다)

약 25번의 홍보/소각 포스팅 중에서 딱 2번의 경우에만 소각비용으로 지불했던 금액보다 못한 리워드를 수령하였습니다. 물론 유저들마다 개인차가 분명히 존재하긴 하지만, 위와 같이 꽤나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은 절대 무시를 할 수 없습니다.

특히, 높은 비용을 소각하는 경우에는 꽤나 이례적인 수익을 거두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껏 제가 지불한 소각액 중 가장 높은 금액이라고 할 수 있는 300.01의 경우에는 무려 한 포스팅으로 949개의 SCT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홍보/소각 기능이 막 등장했었던 때이고 지금처럼 많은 활성 유저들이 있지 않아서 가능했던 리워드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2. 눈덩이 효과


snowball.jpg

위에서 2번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을 때는 100% 보팅지원의 마지노선인 200(정책 변경 전)과 150을 지불했을 때였습니다. 이 마지노선의 홍보비용을 지불하는 경우에는 홍보지원계정으로부터 100%의 보팅을 받을 수는 있지만 다른 사용자들에게 노출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홍보/소각 비용을 많이 지불할 수록 좋은 수익을 거두는 것이 필승공식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지불한 금액이 3일 동안 가장 높은 경우에는 홍보탭의 상단에서 정말 많은 분들께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비록 가장 최상단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길게는 하루, 짧게는 1시간도 유지되지 못하는 실정이긴 하나 상단에 노출될 수록 다른 유저들로부터 많은 보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우리는 “눈덩이 효과”라고 부릅니다.

현재 홍보/소각 경쟁에 열심히 참여하는 분들만 잘 알고 계신 것 같은데, 이전과 달리 홍보/소각에 지불하는 비용은 여러 번에 걸쳐서 누적으로 계속 지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전에는 최종 지불한 금액으로 집계가 되었으나, 현재는 계속해서 홍보비용을 추가로 지불하면 더 상단에 노출이 됩니다)

그러다 보니 더 높은 효율의 눈덩이 효과를 얻기 위한 눈치싸움과 보이지 않는 경쟁이 꽤나 치열한 편입니다.

#3. 높은 효율의 재투자수단


treasure.jpg

요즘에 홍보/소각비용으로 눈에 띄는 TOP5 정도의 위치에 올라가려면 220~250 정도를 지불해야 합니다. 약 600~800 스팀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을 하나의 포스팅에 사용하는 것이 엄청난 부담이 될 수는 있지만, 이를 잘 활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포스팅의 수익으로 얻은 SCT를 계속해서 재투자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불한 금액을 초과하여 받게되는 금액은 스테이킹에 활용하고(스팀으로 전환하거나 원화로 바꾸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소각에 참여할 수 있는 유동성은 계속 가져가면서 글쓰기 활동을 함으로써 계속해서 자산을 늘려가실 수 있기 때문에 다소 리스크는 존재하나, 정말 매력적인 재투자 수단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어찌보면 포스팅에도 투자라는 개념이 들어가면서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스팀코인판에 비교적 뒤늦게 합류하신 분들 중에서 소각비용 인상 경쟁에 정말 활동적으로 참여하시고 많은 보상을 받아가기 시작하시는 라이징 스타들도 정말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정말 오랜시간 공들여 쓰신 콘텐츠를 업로드할 생각이 있으시다면, 과감히 내 글의 홍보에 높은 비용을 한 번 투자해보시는 것도 어찌보면 좋은 전략이 아닌가 싶습니다. 부담스러운 금액임은 확실하지만, 정말 무명배우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좋은 기회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코인판에서 소각비용 인상 경쟁에 불이 붙은 이유’

UNION토큰 사용후기 보팅지원 당첨자 및 보팅지원 안내

event.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주에 진행했던 UNION토큰 사용후기 올리고 1+1 보팅지원 받자 이벤트의 당첨자를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UNION토큰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정성껏 사용후기를 올려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unionsct logo2.png

[비조합원]
① @banguri : 100%보팅 지원
② @yann03 : 10% 보팅 지원
③ @rokyupjung : 50% 보팅 지원
④ @koreaminer : 50% 보팅 지원
⑤ @banjjakism : 50% 보팅 지원
⑥ @bluengel : 60% 보팅 지원
⑦ @dmsqlc0303 : 10% 보팅 지원
⑧ @tailcock : 10% 보팅 지원
⑨ @newbijohn : 100% 보팅 지원
⑩ @maikuraki : 50% 보팅 지원

[조합원]
① @pediatrics : 100% 보팅 지원
② @kingbit : 40% 보팅 지원

현재 스판유니언은 30분의 조합원님들께 임대받은 SCT파워로 활동 중입니다. 유료보팅(UNION & SCT) 및 조합원들의 소각 포스팅 우선 보팅원칙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제가 임의로 한꺼번에 보팅을 지원하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을 이해 부탁드립니다.

당첨되신 분들의 포스팅에는 보팅파워를 적절히 관리하며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별도로 포스팅 링크를 남겨주지 않으셔도 됩니다!)

깨알팁을 하나 드리자면, SCT 홍보기능을 사용하여 소각에 참여한 포스팅에 추가로 보팅을 받는 경우 훨씬 더 높은 저자 리워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보팅지원에 당첨되신 분들 중 소각에 참여한 포스팅이 있는 경우에는 댓글로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UNION토큰 사용후기 보팅지원 당첨자 및 보팅지원 안내’

스팀레오(STEEM LEO) 보팅풀 조합원 모집 및 참여현황 (7월 12일 까지)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현재 스팀레오 보팅풀(@union.leo)의 조합원을 모집 중에 있습니다. 모집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보팅풀 참여자 현황


steemleo(1).png.png)

현재까지 모집된 조합원은 총 13명이고 임대 받은 LEO의 스캇파워는 18.516.5 입니다. 상기 표는 현재까지 모집된 분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계산한 경우의 기대값입니다.

  • PALKR보팅풀과 동일하게 보팅비율 조정 시 100%를 초과한 조합원을 대상으로 보팅풀 큐레이션 배분이 진행됩니다

    혹시라도 큐레이션 배분만 받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따로 알려주시면, 큐레이션 배분 풀로 배정해드리겠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 보팅지원 열에 보이는 보팅파워 만큼의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위에서 계산한 결과는 추가적으로 참여하는 조합원의 LEO토큰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운영계획


  • 보팅파워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량에 관계없이 참여하신 조합원님들을 대상으로 보팅파워 관리를 하며 보팅을 진행 중입니다.
  • 1차 마감 후 시작하는 7월 13일(토)부터는 계산된 보팅파워만큼 자동보팅이 진행됩니다.
  • 최소 70% 수준에서 보팅파워를 관리하며, 보팅파워에 여유가 있는 경우 수동보팅도 진행합니다.
  • LEO토큰 페이아웃 기간이 7일인 관계로, 일주일마다 큐레이팅 리워드를 분배합니다.
  • 신규로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정산 시기에 맞춰 추가로 참여 가능합니다. (참여수량 추가도 가능)
  • 보팅주기는 최초에 12시간으로 세팅 예정이며, 보팅주기는 보팅파워의 변동수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현재 7월 12일(금)까지 임대자 신청을 받고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레오(STEEM LEO) 보팅풀 조합원 모집 및 참여현황 (7월 12일 까지)’

[DTube] 디튜브코인(DTC) 에어드랍 클레임 방법 안내

dtube logo.png

Image Source : @dtub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오전에 글을 작성하다가 컴퓨터 파워가 터지는 바람에 한참 시간이 흘러서야 포스팅을 업로드 할 수 있게 되었네요. 다행히도 큰 문제 없이 수리를 할 수 있어서 천만 다행이었습니다. 그 사이에 이미 많은 분들께서 포스팅을 올려주셔서 신청들은 하셨겠지만, 현재 디튜브(DTube)에서 스티미언들을 대상으로 디튜브 계정생성 및 DTC(DTube Coin)에어드랍 클레임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스티미언들이 본인 계정명으로 디튜브 계정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이기도 하고, 스팀커넥트를 통해 모바일이나 데스크탑 모두에서 쉽게 토큰 클레임을 하실 수 있으므로 꼭 잊지말고 DTC클레임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디튜브코인 에어드랍 클레임 신청방법입니다.

원문 : DTube Coin Airdrop: Claim your account now with your Steem username!

#에어드랍 클레임 신청방법


디튜브 사이트(https://d.tube/)에 접속하신 뒤 스팀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세요

dtube1.png

② 로그인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화면 상단에 [Claim Now]라는 팝업창을 클릭해주세요

dtube2.png

③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SAVE KEY TO DISK]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디튜브 체인(DTube Chain) 계정의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로, 해당 버튼을 클릭하시면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 정보가 담긴 텍스트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dtube3.png

④ 디튜브 체인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를 잘 저장하셨으면, 아래의 체크박스를 클릭하신 뒤에 [NEXT]버튼 클릭

dtube4.png

⑤ 그 다음 [OPEN STEEMCONNECT] 클릭

dtube5.png

[CONTINUE] 클릭

dtube6.png

⑦ 스팀커넥트 로그인

dtube7.png

⑧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되시면 위와 같이 트랜잭션 성공 메시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tube8.png

⑨ 다시 디튜브 사이트로 돌아가서 확인(CONFIRM)버튼을 클릭해주세요

dtube9.png

⑩ 디튜브의 프로필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스팀커넥트를 통해 스티밋 계정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옵니다. [SAVE AND LOGIN]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dtube10.png

스티밋 계정과 동일한 이름의 디튜브 계정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100개의 디튜브코인(DTC) 에어드랍을 정상적으로 수령한 것이 보이네요.


dtube11.png

현재 디튜브 체인은 테스트넷 단계로 1차적으로 스팀 계정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디튜브 신규 계정생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튜브팀의 로드맵에 따르면 8월부터는 스팀 커뮤니티 외부의 모든 유저들이 디튜브 신규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2019년 3분기부터 2,500만 달러 규모의 디튜브코인 IEO가 시작될 예정이며, 디튜브 토큰 백서는 아래의 링크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디튜브 백서 읽어보기 : 클릭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DTube] 디튜브코인(DTC) 에어드랍 클레임 방법 안내’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