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엔진 트라이브] 크리에이티브 코인 토큰판매 및 에어드랍 예정 소식

creative coin.jpg

Image Source : @derangedvisions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저번 주에 또 하나의 새로운 스팀엔진 트라이브, 음악과 예술을 위한 Creative Coin 런칭 예정이라는 포스팅으로 소개드렸던 크리에이티브 코인(Creative Coin Crypto)이 스팀엔진 마켓에 런칭됨과 동시에 백서가 공개되었습니다.

오늘은 크리에이티브 코인에 대해서 자세하게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백서 원문 : Creativecoin Whitepaper 1.0

ccc1.png

ccc2.jpg

기존 포스팅에서 소개드렸던 로고 이미지 및 썸네일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네요

#1. 크리에이티브 코인 크립토


① 니트로스 인스턴스 주소 : https://www.creativecoin.xyz

토큰 초기 배포일 이후 2주 뒤에 출시 예정

② 토큰 심볼 : CCC (Creative Coin Crypto)

③ 커뮤니티 테마 주제 :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콘텐츠

#2. 토큰 정보


logo.png

① 초기 발행량 : 100,000,000 개 (1억 개)

② 토큰분배

  • 운영계정(@creativecoin) : 10,000,000 개 (10%)
  • 모더레이터 및 팀멤버 : 10,000,000 개 (10%)
  • 에어드랍 : 20,000,000 개 (20%)
  • 마켓판매 : 60,000,000 개 (60%)

운영계정(@creativecoin 및 @notcreative)에 배정된 10,000,000 개의 CCC토큰은 태그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게시물의 다운보팅을 포함하여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 플랫폼의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③ 판매가격 : 1 CCC = 0.1 STEEMP

④ 에어드랍 정보

  • 대상 : 지난 2개월 동안의 액티브 계정 중에서 선별한 4,500개의 계정
  • 수량 : 4,500개 계정에 균등배분

정확한 수량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에어드랍에 최대 20,000,000개가 배정되어 있는 관계로 계정 당 최대 4,444개를 초과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⑤ 인플레이션 정보

  • 최초 인플레이션율 : 10%
  • 최소 인플레이션율 : 4% (매년 1%씩 감소)
  • 인플레이션 배정 : PoB 75% / PoM 15% / 운영팀 10%

CCC마이닝 토큰은 추후 출시예정

#3. 세팅 정보


  • 메인 태그 : #creativecoin
  • 보상 배분 = 저자 60% : 큐레이터 40%
  • 별도 베네피셔리 없음 (운영팀 계정에서 기본 10%를 가져감)
  • 페이아웃 기간 : 7일
  • 언스테이킹 기간 : 56일 (1주일에 한 번씩 총 8번에 나누어 언스테이킹 진행)
  • 보팅파워 소모 및 완충 : 스티밋, PAL토큰과 동일 (하루에 20%씩 5일 완충)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는 음악과 예술을 메인테마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커뮤니티를 목표로 하고 있는만큼, 일반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접근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운영계정의 엄격한 관리에 의해서 추구하고 있는 주제와 맞지 않는 포스팅의 경우 다운보팅을 당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커뮤니티 런칭 후에 어떤 포스팅들이 주로 올라오는지를 살펴보고 투자 또는 차여 의사결정을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크리에이티브 코인 토큰판매 및 에어드랍 예정 소식’

[SCT x LIV] 스팀코인판에서 글쓰고 LIV에서 평가받는 컴피티션, 참여하시겠습니까?

liv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SCOTBOT 기반으로 런칭한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 덕분에 각 포크 사이트들에서 유저들의 활동이 꽤나 활발해진 것 같습니다.

각자의 포크들이 추구하는 방향성이나 유저 인센티브 모델이 각기 다르다보니 이쯤에서 포크 커뮤니티간의 특성을 활용한 하나의 이벤트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제목과 같이 스팀코인판에서 글쓰고 LIV에서 실명인증을 받은 실제 계정들의 평가를 집계하여 “두 커뮤니티 간의 포스팅에 대한 보팅결과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도 꽤나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1. LIV토큰 리치리스트


rich list.png

조제리님께서 운영을 시작하신 LIV의 경우, 인플레이션 수량이 많지 않은 편이라 아직까지는 토큰홀더들 간의 스테이킹 수량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물론, 연간 10,000개의 LIV토큰이 신규 발행되기 때문에 아마도 1년 뒤에는 토큰 홀더들간의 격차도 꽤나 상당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로서는 거의 평등한 수준이 아닌가 싶습니다.

  • 첫 LIV 배분 홀더 수 : 406명
  • 현재 100LIV 이상의 토큰 홀더 수 : 420명

이 수치는 스팀피플에서 실명인증을 완료한 KR커뮤니티 구성원이 420명 정도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SCT X LIV


logo1.png

현재 스팀코인판에서는 홍보글 경쟁이 엄청난 상황입니다. 그래서 사실상 홍보를 할 자본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저자는 보상을 받기가 매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들도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제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스팀코인판에서의 홍보글에 많은 보상이 몰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홍보/소각글에 참여하는 저자들이 자신의 포스팅에 공을 들이는 것도 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충분히 훌륭한 수준의 양질의 포스팅들이 올라오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상금을 걸고 이벤트를 진행해볼까 생각 중입니다. 이벤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참가자들은 각각 10 SCT를 내고 콘텐츠 크리에이팅 컴피티션에 참여합니다

② 컴피티션 시작일 당일에 모든 참가자들의 LIV토큰 스냅샷을 찍습니다

③ #sct, #liv 태그를 걸고 기존과 같이 열심히 포스팅을 업로드합니다

스팀코인판 뿐만 아니라 #aaa 및 #zzan에서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④ 10일 동안 콘텐츠 크리에이팅 컴피티션에 참여하고, 15일 뒤에 LIV토큰 리워드 수량을 확인합니다

⑤ 가장 많은 LIV토큰 리워드를 받은 상위 x명을 선정하여 상금(참가비 모음)을 전달합니다

참여의사가 있으신 분들이 많다면 개인적으로 추가 상금재원을 기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콘텐츠 크리에이팅 컴피티션은 사실 경쟁보다는 스팀코인판과 LIV라는 각기 다른 척도와 커뮤니티 구성원을 가진 포크 커뮤니티간의 비교를 통해 결과적으로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불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좋은 저자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구요.

420명의 LIV토큰 홀더들이 심사위원이 되어 보팅한 결과홍보글 소각에 열심히 참여하여 스팀코인판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보팅한 결과 간에는 과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혹시라도 이 이벤트를 흥미롭게 생각하여 참여의사가 있으신 분들이 있다면 한 번 기획해보겠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x LIV] 스팀코인판에서 글쓰고 LIV에서 평가받는 컴피티션, 참여하시겠습니까?’

애픽스(APPICS) 바운티 프로그램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bounty.jpg

Image Source : https://steemit.com/@appics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과 이오스 듀얼 블록체인 솔루션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토큰스왑 절차를 시작한 애픽스(APPICS)에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위한 바운티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원문 : APPICS Bounty Program Re-Launch - Earn APX Tokens For Social Media Activities!

혹시라도 애픽스의 ICO에 참여하신 분들 중에서 토큰스왑 및 APX토큰 수령을 위한 스팀 계정을 아직까지 등록하지 못하신 분들은 제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바운티 프로그램 참여 방법


애픽스 바운티 프로그램은 APX ICO에 참여하지 않은 분들도 애픽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및 몇가지 미션 수행을 통해 참여가 가능하므로, 여러 SNS채널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참여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main page.png

[계정이 없는 경우] 애픽스 공식 홈페이지(https://token.appics.com/)에 접속해서 회원가입

bounty2.png

[계정이 있는 경우] 바운티 홈페이지(https://token.appics.com/customer/bounty) 접속 후 로그인

sns.png

③ 로그인 후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스티밋 등 SNS채널 연동

④ SNS채널 계정 연동 및 애픽스 공식 채널의 좋아요 클릭 등을 통해 자동 바운티 보상 수령

bounty3.png

이 외에도 애픽스(APPICS) 소개 포스팅이나 영상 등을 스티밋, 미디엄, 유튜브 등의 채널에 업로드 하는 경우 수동 보상(Manual Bounty)도 수령할 수 있습니다.

토큰스왑을 위한 계정등록 절차와 함께 바운티 프로그램까지 다시 시작하는 것을 보면 이제 APX토큰을 수령하고 스테이킹하여 사용하거나 스팀엔진 마켓 등에서 거래할 수 있는 날도 곧 다가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1년이 넘는 시간동안 단순히 스팀 블록체인을 활용한 모바일앱만 개발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면 좋겠네요.

logo.gif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애픽스(APPICS) 바운티 프로그램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스팀 생태계의 현재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thumbnail.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SMT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 SCOT TOKEN과 여러 니트로스 인스턴스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등장하고 있는 시기입니다.

저번 주에만 하더라도 게이밍 콘텐츠를 위한 스팀에이스(https://steemace.io )와 자메이카의 첫 번째 스팀 디앱인 레게스팀(https://reggaesteem.io)이 유저들에게 에어드랍을 진행하며 새로운 SCOT TOKEN의 온보딩을 알렸습니다.

각각의 니트로스 인스턴스 고유 테마색상도 다양해지면서 정말 머지않아 새로운 스팀 엔진 트라이브들은 테마 색상을 고르는 것도 굉장히 어려운 일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온전한 의미에서 완벽한 블록체인(사이드체인) 서비스는 아니지만, 이제는 스팀 블록체인에도 스팀엔진 SCOTBOT 기반으로 정말 셀 수 없이 많은 토큰들이 등장하며 흡사 2017년부터 쏟아져 나오던 ERC-20토큰들과 ICO열풍을 생각나게 하는 것 같습니다.

항상 커뮤니티에서는 다양한 관점에 대한 정반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몇 가지 우려섞인 목소리와 비판의 의견들도 있었기에 최근 스팀 생태계의 상황에 대한 나름의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 개인적인 의견을 적어볼까 합니다.

#1. 토큰 파는 시장?


market.jpg

최근에 일반 유저나 몇몇 팀들이 발행하고 있는 토큰들이 스팀 생태계에 쏟아지면서, 무가치한 토큰 판매 시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도 그러할 것이 스팀 엔진 기반으로 발행된 토큰들은 아직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이라 할 수 없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일반 중앙화된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일도 만무하기 때문에, 정말 아무런 가치 없는 디지털 쪼가리로 끝나 버린다고 하더라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게다가 스팀 계정을 소유하고, 스팀 엔진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일부 유저들에 의해서만 거래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른 일반 코인이나 토큰들에 비해 거래량이 적고, 가격 변동 리스크도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스팀 엔진 기반으로 발행된 토큰들에 투자를 할 때는 우리 스스로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 꼼꼼히 따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 블록체인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하나의 거대한 토큰 판매 시장을 구축해야만 결국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나 이더리움이 여러 거래소에서의 기축통화가 되어 크립토 마켓에서 지배력을 가지게 되고 성장할 수 있게 되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2. 스팀 토큰의 유틸리티


icon-circlesteem-gradient.png

일찍이 2016년 또는 2017년 부터 스티밋을 이용해오셨던 분들이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의 가장 큰 약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① 스테이킹(파워업)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스팀파워가 계속해서 충전된다는 것, 그리고 ② 해당 파워를 스티밋에서의 포스팅에 보팅보상 제공 용도 이외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계속해서 문제라고 불리는 보팅봇, 셀봇, 고인물 등의 단어들이 언급되는 이유도 어쩌면 위와 같은 스팀(STEEM)의 고유한 유틸리티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초반의 불합리한 마이닝으로 부를 축적한 일부 악성 유저들, 엄청난 가격에 물려서 의미없는 자신의 똥글에 셀봇을 하고 리워드로 받은 토큰들을 시장에 던지는 유저들, 운영의 방향성을 잃어 버려 로드맵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는 Steemit Inc 등 모두가 고유한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사익을 추구하는 관계로, 시장에서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한 추세가 지속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steem engine.png

정식 스팀 블록체인 기반의 SMT출범 전에 과도기적인 단계에서 등장한 스팀엔진은 중앙화된 서비스, 반쪽짜리 서비스라고 놀림을 받고 있지만, 스팀 네이티브 토큰의 유틸리티를 조금 더 다양화하고 분산화시키는데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

① 유저들의 활동 인센티브의 다양화 (SP/SBD → SCOT TOKEN)

② 새로운 보팅풀의 등장 → 기존 보팅풀의 분산

③ 각 유저별로 관심있는 주제와 관련된 포스팅에 집중 → 수동적 보팅 감소

④ STEEM 또는 SP를 사용한 선택 및 투자옵션의 다양화

결국은 스팀이라는 섬에서 땅따먹기 싸움을 하고 있는 것으로 치부될 수도 있고, 스팀 엔진 트라이브 중 일부 커뮤니티의 경우 보팅풀이 생기며 이전의 스티밋과 유사한 발전양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지만, 유저들의 선택권이 넓어지고 스팀 생태계 내에서 커뮤니티의 세분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면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하나의 네이티브 토큰 유틸리티, 그리고 하나의 토큰 이코노미로는 정말 다양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입맛과 관심에 맞는 또 다른 세분화된 커뮤니티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이자 옵션으로서의 스팀 토큰의 유틸리티는 분명 스팀 생태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해줄 수 있습니다.

#3. 누구나 반짝반짝 빛날 수 있는 곳


star.jpg

“스티밋은 이제는 몇 안되는 OB들만 활동하는 소규모 커뮤니티이다, 고인물이다”라는 의견이나 “스타작가가 스티밋에 들어올리 만무하다”라는 의견을 보고 있으면, 분명 그러한 의견을 개진하신 분도 스티밋에 애정을 가지고 있으시기 때문에 그런 의견을 남기시는 거겠지만, 개인적으로 마음이 참 아픕니다.

스티밋 뿐만 아니라 네이버 블로그든, 인스타그램이든, 심지어 유튜브든 크립토애셋이나 블록체인 관련 콘텐츠를 주요 주제로 다루는 유저들은 모두 스타 작가가 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스티밋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상과 친근한 주제이자 다른 SNS플랫폼에서 핫한 키워드로 떠오르는 “맛집 탐방이나 먹방, 요리” 또는 “부동산 투자, 주식 투자”, 아니면 “영화 또는 드라마 리뷰” 등을 다루는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들어올 수 있어야 하거나 광고가 유치되어야 한다는 쪽으로 결론이 나곤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이와 같은 의견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성이라고 공감합니다

다만, 현재 스티밋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들끼리 손가락질을 해가면서 보팅봇을 써서 수익 극대화를 하는 똥글이라고 서로를 비하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에서 자사가 제작하는 시리즈물을 만들듯이 스티밋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반짝반짝 빛나는 저자들을 유지하고 유치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일입니다.

어떤 분들은 정말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레게스팀에서 레게 뮤지션이 나올 수도 있고 트리플에이에서 정말 좋은 영화평론가가 나올 수도 있으며, 스팀코인판에서 국내 블록체인 업계의 중요 인플루언서로 성장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회사를 다니고, 집안에서는 아이를 키우는 평범한 사람들 모두가 스티밋에서만큼은 꾸준히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좋은 저자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아마도 이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선행 작업이 바로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세그먼트의 세분화 및 다양화일 것입니다. 소규모 세그먼트 별로 불가침과 공존이라는 아이러니함 속에 상호 학습하고 스파, 스달보상이라는 경제적 보상에만 목메지 않는 문화가 정착되면, 스팀 생태계 자체가 누구나 반짝반짝 빛날 수 있는 곳이 될지도 모릅니다.

적어도 저는 지금의 다양한 도전과 변화를 그렇게 희망적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생태계의 현재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공지] 스판유니언 조합원 대상 5차 큐레이션 수익배분 완료 안내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스판유니언입니다. 조합원 대상 5차 큐레이션 수익배분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5차 큐레이션 수익배분에서는 2차 추가모집 시에 참여하신 분들 및 임대수량을 추가하신 분의 수량까지 포함하여 계산된 수량으로 지급이 되었습니다.

  • 2차 추가모집 참여자 : @vip, @deer3, @ssonagee, @chocolate1st, @tradingideas, @goodhello, @hyokhyok
  • 임대수량 추가자 : @skt1

    @lovelyyeon.sct님의 임대수량은 7월 14일 이후 큐레이션 수익배분부터 합산될 예정입니다.

wallet.png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7월 12일 ~ 7월 14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1280.481 SCT
  • 배분액 : 1280.483 SCT (이전 미배분 수량 합산배분)

rewards.png

[참고사항] UNION토큰 유통량 및 소각량

  • 발행량 : 1,000,000 UNION (100%)
  • 유통량 : 843,500 UNION (84.35%)
  • 소각량 : 156,500 UNION (15.65%)

다음은 NOTICE 알람을 위한 마크다운 표입니다. (상기 표와 동일)

순서 참여 차수 계정명 임대수량 임대비율 리워드 배분 리워드 배분량
1 2차 @donekim 13000 18.84% 241.250 241.250
2 1차 @sonki999.sct 7000 10.14% 129.904 129.904
3 2차 @sct.han 6000 8.70% 111.346 111.346
4 1차 @morning 3000 4.35% 55.673 55.673
5 1차 @isaaclab 3000 4.35% 55.673 55.673
6 1차 @influencer07 3000 4.35% 55.673 55.673
7 1차 @storysharing 3000 4.35% 55.673 55.673
8 2차 추가 @vip 3000 4.35% 55.673 55.673
9 1차 @nexgen 2000 2.90% 37.115 37.115
10 1차 @dakeshi 2000 2.90% 37.115 37.115
11 1차 @feelsogood.cur 2000 2.90% 37.115 37.115
12 1차 @skt1 2000 2.90% 37.115 37.115
13 2차 추가 @deer3 2000 2.90% 37.115 37.115
14 2차 추가 @ssonagee 2000 2.90% 37.115 37.115
15 1차 @kibumh 1000 1.45% 18.558 18.558
16 1차 @parisfoodhunter 1000 1.45% 18.558 18.558
17 1차 @kingbit 1000 1.45% 18.558 18.558
18 1차 @floridasnail 1000 1.45% 18.558 18.558
19 1차 @walktoheaven 1000 1.45% 18.558 18.558
20 1차 @pediatrics 1000 1.45% 18.558 18.558
21 1차 @buchheim 1000 1.45% 18.558 18.558
22 1차 @isi3.sct 1000 1.45% 18.558 18.558
23 1차 @new-jersey 1000 1.45% 18.558 18.558
24 1차 @naha 1000 1.45% 18.558 18.558
25 1차 @matildah2 1000 1.45% 18.558 18.558
26 1차 @happyberrysboy 1000 1.45% 18.558 18.558
27 2차 추가 @chocolate1st 1000 1.45% 18.558 18.558
28 2차 추가 @tradingideas 1000 1.45% 18.558 18.558
29 2차 추가 @goodhello 1000 1.45% 18.558 18.558
30 2차 추가 @hyokhyok 1000 1.45% 18.558 18.558

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공지] 스판유니언 조합원 대상 5차 큐레이션 수익배분 완료 안내’

[PALKR] PALnet 큐레이팅 그룹 신규 임대자 모집 + 큐레이팅 리워드 지급 안내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보다 빠르게 리워드 배분 주기를 가져가서 보팅풀에 임대해주신 분들의 유동성을 보장하고 PAL스캇파워을 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당초 7월 22일에 예정되어 있는 큐레이팅 리워드 1차 배분을 한 주 앞당겨 진행하였습니다.

(신규 조합원 모집 및 임대량 변경 등에 대한 내용은 가장 하단에 있으므로, 참고 부탁드립니다)

#1. 리워드 배분 안내


rewards.png

순서 계정명 수량 임대비율 리워드배분 리워드 배분액
1 rhodium 5000 19.23% 22.03% 95.449
2 flicktaste 2500 9.62% 11.01% 47.724
3 storysharing 2500 9.62% 11.01% 47.724
4 walktoheaven 2500 9.62% 11.01% 47.724
5 ssm1810 2500 9.62% 11.01% 47.724
6 kiwifi 2400 9.23% 10.57% 45.815
7 uzgo 1600 6.15% 7.05% 30.544
8 floridasnail 1500 5.77% 6.61% 28.635
  • 배분대상 : 당초 환산 보팅가중치가 100%를 초과한 조합원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6월 23일~7월 14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433.337
    • 배분액 : 433.237

#2. 보팅지원 및 큐레이션 배분 정책변경 안내


new rule.png

금일(2019년 7월 14일)부터 보팅지원 및 큐레이션 배분 정책에 일부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존 조정 비율 산정에 일부 오류가 있었던 것을 발견하여 수정 완료

② 지분율에 관계없이 최대 일일 100% 보팅 지원

[변경사유] 임대비율 x 20 으로 조정비율을 산정하여 100%를 초과하는 조합원들만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이 지원되는 관계로, 100%미만 조합원들에게는 보팅지원 퍼센티지를 확대하여 혜택을 늘릴 필요가 있음

③ 글쓰기가 어려운 경우, 큐레이팅 리워드 배분만 받는 것으로 신청 가능

#palnet 태그를 사용하여 글쓰기 및 보팅지원을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 큐레이팅 리워드 배분만 받는 것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④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주기를 조금 더 빠르게 변경

기존 1달 단위에서 최대 2주 이내로 변경 예정

⑤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대상

  • [임대비율 x 20] 계산 값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 보팅지원 대신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만 신청하는 경우

#3. 신규 임대자 모집 및 임대량 변경 안내


① 모집기간 : 7월 14일(일) ~ 7월 19일(금)

② 모집구좌수 : 최소 100개 이상부터 가능, 구좌 수에는 별도 제한 없음
예를 들어, 102개, 456개 이런 식으로도 임대 가능하며, 임대비율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산정

③ 신청방법 : @doingkim 계정으로 PAL토큰 임대(delegate) 후 댓글로 신청 (임대수량을 남겨주세요)

④ 기존 임대자 중 임대수량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 임대를 추가한 수량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⑤ 보팅지원 및 리워드 배분

  • 보팅지원은 @doingkim계정에 임대를 한 경우 당일부터 바로 적용
  • 리워드 배분은 임대 시작기간에 관계없이 7월 20일(토)부터 산정

    7월 19일에 기존 임대자를 대상으로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을 진행하여 리셋 후 신규자 및 임대수량 추가분을 반영하여 큐레이팅 진행

#4. 한 줄 요약


@doingkim계정으로 7월 19일(금) 전까지 PAL토큰 임대를 해주시고 본 포스팅에 댓글 남겨주세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PALKR] PALnet 큐레이팅 그룹 신규 임대자 모집 + 큐레이팅 리워드 지급 안내’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