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T] 스팀코인판 홍보소각비용 역대 최고기록을 갱신했습니다

omg.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약 일주일 전쯤에 손키님께서 역대 최고 홍보비를 지불하셨던 불상사가 발생한데 이어, 이번에는 제가 손키님의 기록을 뛰어넘으며 스팀코인판의 전무후무(?)한 역대급 기록을 세워버렸습니다.

omg2.png

무려 홍보소각비용으로 지불한 금액이 582 SCT입니다. (정말 멘탈이 나가버리는..)

null.png

혹시라도 저와 유사한 불상사(?)가 반복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당 상황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홍보] 버튼을 클릭하고 홍보 금액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하면 여느 때와 같이 스팀 키체인의 트랜잭션 확인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CONFIRM을 클릭하면 잠시 로딩 후에 트랜잭션 성공 메시지가 나타난 뒤에 포스팅을 홍보하였다는 확인창이 좌측하단에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Error : 15000ms exceed 이런 식의 창이 나타나면서 트랜잭션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홍보 금액을 입력하는 창으로 돌아가서 마치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절대 여기서 다시 확인을 클릭하시면 안됩니다!

분명히 메시지 상으로는 아무런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처럼 돌아가지만, @null계정으로 메모와 함께 토큰 전송은 진행이 되어버린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혹시라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겪으시게 되는 경우에는 [취소]를 클릭하여 다시 원래 페이지로 돌아오신 뒤에 지갑의 토큰 잔액과 홍보글 탭에 등록 여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월렛 상에 SCT잔고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복 지불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텐데 내일 진정한 의미에서(?) 홍보가 필요한 포스팅을 위해 잔액을 추가로 남겨놓았던 것도 하나의 화근이었던 것 같네요.

어쩌다보니 홍보소각 비용으로 582 SCT라는 새로운 월드레코드(?)를 기록하게 되었는데, 다른 분들께서는 이런 불상사를 겪으시는 일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 홍보소각비용 역대 최고기록을 갱신했습니다’

[가이드] INVITE토큰 사용방법 및 스팀 신규계정 생성방법 안내

invite token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현재 스팀엔진 마켓에서 거래가 가능한 스팀 신규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유틸리티 토큰인 INVITE토큰의 사용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invite token.png

INV토큰을 보유 중인 스티미언이 스팀 블록체인 계정이 없는 분들께 링크만 전송하면 계정생성이 가능한 방식이라, 토큰 보유자와 신규 계정 신청자로 나누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토큰 보유자 : INV토큰을 스팀엔진 월렛에 보유 중인 유저 (1번 가이드 참고)
  • 신규 계정 신청자 : 지인으로부터 무료 계정생성 링크를 받은 유저 (2번 가이드 참고)

#1. INV토큰 사용방법 (토큰 보유자)


invite1.png

① 스팀닌자 사이트(https://invite.steem.ninja/cac) 접속 후에 나의 계정명을 입력하고 [Check INVITE Balance] 클릭

invite2.png

[Pay with Keychain] 클릭

  • INV토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중인 브라우저에 키체인 익스텐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스팀키체인 설치 및 사용방법 : 가이드 보기
invite3.png

③ 위와 같은 키체인 팝업창이 나타나면 [CONFIRM] 클릭

1개의 INV 토큰을 스팀닌자(@steem.ninja) 계정에 전송을 하면서 무료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바우처 링크를 받게 되는 방식입니다

invite4.png

④ INV토큰 전송이 완료되고 나면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위의 화면에서 붉은색 박스로 표시되어 있는 링크를 잘 저장하셔야 합니다. (즉시 스팀 무료계정 생성이 가능한 링크입니다)

#2. 계정 생성방법 (신규 계정 신청자)


invite5.png

① 본인 또는 지인으로부터 받은 링크로 접속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I understand. Continue] 버튼을 클릭합니다.

invite6.png

② 빈 칸에 생성하고자 하는 계정명을 입력한 뒤에 [Validate Username]을 클릭합니다.

  • 스팀 계정명은 영문 또는 영문+숫자 조합으로 3자리~16자리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 계정명 중간에 .을 입력할 수 있으나, 앞뒤로 3글자 이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 [예시] done.id → 사용 불가 / id.com → 사용 불가 / done.cur → 사용 가능
  • 다른 사용자가 사용 중인 계정명은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invite7-1.png

③ 정상적으로 계정명을 입력하고 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화면은 스팀 계정 사용을 위한 백업 비밀번호 및 권한별 프라이빗키로 반드시 잘 저장하셔야 합니다. Owner key부터 Backup Password까지 안전한 곳에 잘 복사하여 저장해주세요.

  • [주의사항] 특히 Backup Password는 가장 중요한 마스터 비밀번호 같은 것이기 때문에 다른 것들은 몰라도 Backup Password는 정말 잘 저장하셔야 합니다.

invite8.png

④ Owner Key, Active Key, Posting Key, Backup Password를 잘 저장하셨으면, 마우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체크박스를 클릭한 뒤 [Continue]버튼을 클릭해주세요.

invite9.png

⑤ 혹시라도 방금 전에 프라이빗키들(Owner key, Active key, Posting key)과 백업 패스워드를 저장하지 않으셨다면, [Show My Keys Again] 버튼을 클릭하시어 다시 확인 후 저장을 하시면 되고, 잘 저장하셨다면 체크박스를 클릭해주세요.

invite10.png

⑥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신규 계정 생성을 위한 신청버튼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reate Account Now]를 클릭해주세요.

invite11.png

⑦ 위와 같이 로딩 화면이 나오면서 스팀 계정생성이 진행됩니다.

  • 일반적으로 steemit.com에서 계정생성을 신청한 뒤 몇 주를 기다려야 하는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바로 계정이 생성되고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invite12.png

⑧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계정생성이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여기서 창을 닫기 전에 아래의 참고사항을 읽어봐주세요

[참고사항]

invite14.png

  • https://steemd.com/@계정명 으로 접속하시면 위와 같이 계정이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신청한 스팀 계정은 바로 로그인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 즉시 글쓰기, 보팅, 댓글 쓰기 등의 활동이 가능합니다.
  • 다만, 현재 해당 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스팀파워(SP)(=스티밋, 스팀코인판 등에서 활동하기 위한 기초 자원)가 없는 관계로 글쓰기, 댓글쓰기, 보팅 등의 횟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인으로부터 일부 스팀파워를 임대 받는 것이 좋습니다.

invite13.png

  • 혹시라도 지인으로부터 신규 계정생성 링크를 받으신 분들께서는 [Delegate 15SP] 버튼을 클릭한 뒤에,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해당 주소 링크를 지인에게 보내주세요

  • 해당 링크를 받은 지인이 수락하는 경우 해당 지인으로부터 15SP를 임대받을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가이드] INVITE토큰 사용방법 및 스팀 신규계정 생성방법 안내’

[스팀엔진 트라이브] 과학기술 관련 괴짜들 모여라! STEM GEEKS 런칭!

stemgeeks.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스팀엔진 트라이브를 소개하게 되는 요즘입니다.

스캇봇이 런칭한 이후 국내 커뮤니티 기반으로 출시되었던 스팀코인판과 트리플에이의 배틀 테스트를 거치는 동안 스캇봇도 계속되는 버그 픽스와 오류 수정을 통해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해외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주제와 테마를 가진 커뮤니티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오늘 새로운 신고식을 마친 스템직스(STEM GEEKS)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문 : Announced STEMGeeks, a new Steem Engine Tribe!

#1. 스템직스(STEM GEEKS)란?


logo.png

STEM은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의 약자로 과학기술 및 이공학 관련 주제를 다루는 커뮤니티입니다.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사실이나 증거들에 대한 과학적 의사결정에 대한 탐구, 비판적 사고 등을 핵심 주제로 합니다.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일반적인 과학, 우주탐구, 기술혁신, 블록체인 기술, 프로그래밍 & 개발, 수학,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보틱스, 3D 프린팅 등 정말 다양한 주제들을 다룰 때 스템직스(#stem)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emgeeks2.png

#2. 토큰 정보


stem.png

① 초기 발행량 : 10,000,000개 (1,000만 개)

② 토큰 분배

  • 에어드랍 : 500,000개 (5%)
  • 어뷰징 방지(@nostem4u) : 1,000,000개 (10%)
  • 운영팀(@stemcuration) : 2,000,000개 (20%)
  • 커뮤니티 바운티(@stembounties) : 4,000,000개 (40%)
  • 마켓 판매 : 2,500,000개 (25%)

③ 판매가격 : 1 STEM = 2 STEEMP

④ 에어드랍 정보

  • 대상 : 최소 10개 이상의 PAL토큰을 스테이킹 중인 계정
  • 수량 : PAL토큰을 기준으로 최대 500 STEM까지 지급 (정확한 비율 언급 없음)

지난번 LEO와 마찬가지로 STEM도 임대(delegate) 수량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⑤ 인플레이션 정보

  • 최초 인플레이션율 : 8.41%
  • 최소 인플레이션율 : 2% `(매년 3%씩 감소)
  • 인플레이션 배정 : PoB 80% / PoM 20%

#3. 세팅 정보

  • 저자보상커브 : 1.1
  • 저자보상 : 큐레이터보상 = 50:50
  • 베네피셔리 : 없음
  • 페이아웃 기간 : 7일
  • 필수태그 : #stem
  • 언스테이킹 : 30일 (30일 동안 5회에 걸쳐 언스테이킹)
  • 보팅파워 충전 : 스티밋, PAL과 동일

#4. 마이닝 토큰


스템직스(STEMGEEKS)에도 PALnet과 동일하게 마이닝토큰 및 메가마이닝토큰이 존재합니다.

  • STEMM(마이닝토큰) : 1 STEMM = 10 STEEMP
  • STEMMM(메가마이닝토큰) : 관련 정보 없음

아직까지 메가마이닝토큰은 관련 정보 및 토큰 판매 정보가 공개된 것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해외 커뮤니티 기반으로 출시되는 스팀엔진 트라이브들의 경우에는 PAL토큰 에어드랍 시 사용된 화이트리스트 또는 PAL토큰 스테이커 리스트를 사용하여 에어드랍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블랙리스트나 봇 계정을 피하고 최근에 활동 중인 액티브 유저들에게 에어드랍을 진행함으로써 최대한의 마케팅 효과를 내고 싶은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불어, 스캇봇의 세팅값은 스티밋이나 PALnet과 유사하게 가져오고 있는 관계로 세팅값에서 특별한 토큰 이코노미를 구상해서 나오지는 않은 것 같아서 다소 아쉬움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가격이 다소 높게 책정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드는 만큼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아무쪼록 또 하나의 새로운 스팀엔진 트라이브의 출범을 축하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과학기술 관련 괴짜들 모여라! STEM GEEKS 런칭!’

[스팀엔진 트라이브] CREATIVE COIN 니트로스 런칭 및 에어드랍 시작

creative new.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드렸던 크리에이티브의 니트로스 인스턴스가 오픈됨과 동시에 토큰 에어드랍이 시작되었습니다.

creative xyz.png

본 포스팅은 크리에이티브코인 니트로스 인스턴스에서 작성되었습니다

airdrop.png

크리에이티브코인의 네이티브 토큰인 CCC는 약 5시간 전쯤에 알파벳순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하였으나, 현재는 일시정지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운영계정인 @creativecoin의 스팀파워가 15SP 밖에 되지 않는 관계로 리소스 크레딧이 부족하여 중간에 멈춘 것으로 보입니다.

[토큰 에어드랍 관련 정보]

이전 포스팅에서 안내드렸던 것처럼 CCC토큰의 에어드랍으로 배정되어 있는 수량은 총 20,000,000개인데, 크리에이티브 운영팀에서는 해당 에어드랍 물량을 한 방에 에어드랍하는 것이 아니라 4~5회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에어드랍을 진행한 후 다음 회차에서는 에어드랍 받은 CCC토큰을 스테이킹한 계정들을 대상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토큰 덤핑을 막고자 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 에어드랍 이후에 추가로 CCC토큰 에어드랍을 받고자 하시는 분들은 받은 토큰을 스테이킹 해야만 다음 차수의 에어드랍 대상에 포함되므로 이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새로운 스팀엔진 트라이브의 런칭을 축하합니다^^

creative coin.jp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CREATIVE COIN 니트로스 런칭 및 에어드랍 시작’

[스팀엔진 트라이브]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업펀드미(UpFundMe) 네트워크 런칭 예정

upfundme.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SCOTBOT 기반의 또 다른 스티밋 포크가 런칭을 앞두고 있습니다. 오늘은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업펀드미(UpFundMe) 네트워크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업펀드미란?


업펀드미(UpFundMe)란 그 이름에서 예상되는 것처럼 자선사업과 크라우드 펀딩에 중점을 두고 있는 커뮤니티입니다. 기존에는 스팀파워를 활용한 업보팅을 통해 누군가에게 기부를 하거나, 크라우드 펀딩을 지원하는 형태였으며 애초부터 SMT의 출시를 염두에 두고 토큰을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SMT개발 일정이 지연되고 스팀엔진 SCOTBOT이 출시됨에 따라 자신들만의 토큰을 런칭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별도의 커뮤니티를 런칭하여 토큰 인플레이션을 통해 저자와 큐레이터들에게 꾸준한 보상을 지급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부가 필요하다는 포스팅이나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한다는 포스팅으로만 커뮤니티를 채워나가는 것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업펀드미에서는 서비스, 기술, 제품 등에 대한 리뷰들을 포스팅으로 올리는 것에 대해서도 권장을 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2. 토큰 정보


ufm.png

현재 업펀드미의 UFM(UpFundMe)토큰은 스팀엔진 마켓에서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백서 또는 자세한 정보가 공개되지는 않은 상황이라 거래량은 그리 많지 않은 편입니다.

① 최대 발행량 : 42억 개
② 초기 발행량 : 4,200,000 개 (420만 개)

  • 운영계정(@upfundme) : 700,000 개
  • 1차 판매 : 100,000 개 (1 UFM = 0.1 STEEMP)
  • 2차 판매 : 3,400,000 개 (1 UFM = 0.15 STEEMP)

③ 토큰 가격 : 1 UFM = 0.1 STEEMP (100,000개 한정)

ufm market.png

④ 마이닝 토큰 : UFMM (1 UFMM = 5 STEEMP)

ufmm.png
  • 현재 마이닝 토큰은 거래는 가능하지만, 마이닝 기능은 지원 전입니다
  • UFMM 총공급량의 10%인 10,000 UFMM에 대해서만 5 STEEMP에 판매 예정

#3. 세팅 정보


① 니트로스 인스턴스 : 출시 예정

② 인플레이션율 및 보상곡선 : 추후 공지 예정 (인플레이션율 10%이하로 설정 예정)

③ 인플레이션의 배분 : PoB 50% / PoM 50%

④ 저자 보상 : 큐레이터 보상 = 50:50

④ 언스테이킹 기간 : 31일


현재 업펀드미 토큰은 홍보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도 있지만, 어떻게 토큰 홀더들에게 스테이킹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시장에서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단순히 UFM을 구매하여 스테이킹한 다음 이를 통해 타인에게 보팅만 나눠줄 수 있다면 시장에서 가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건 정말 불 보듯 뻔한 일입니다.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답게 스캇봇 세팅 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하여 초기에 판매가격을 낮추어 토큰 판매를 시작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적절한 수준에서만 투자를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크라우드펀딩 커뮤니티 업펀드미(UpFundMe) 네트워크 런칭 예정’

스팀레오(STEEM LEO)에서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를 진행합니다 (7월 21일 까지)

steemleo0.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투자 관련 콘텐츠 커뮤니티 스팀레오(STEEM LEO)에서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Weekly Writing Contest)를 진행합니다. 혹시라도 기존에 크립토애셋이나 주식 관련 투자 등에 대한 포스팅을 써오시던 분들이라면 한 번 참여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원문 : Introducing a New LEO Token Sink & Writing Contest | The Leo Weekly Writing Contest For Investment Content

steemleo.png

#1. 콘테스트 세부사항 안내


다음은 스팀레오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 세부사항입니다.

① 주제 : 당신에게 투자란 어떤 의미인가?

  • 왜 투자를 시작했나요?
  • 얼마나 오랫동안 투자를 하고 계신가요?
  • 무엇에 투자 중이신가요? 왜 해당 투자자산에 투자를 하시나요?
  • 투자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요?

포스팅 내용에 상기 내용들을 포함하실 수 있고(선택사항), 콘테스트에 참여하는 포스팅은 최소 300단어 이상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② 참가비 : 10 LEO

  • @steem.leo 계정으로 해당 포스팅 URL을 메모에 담아 10 LEO송부
  • 해당 참가비는 @null 계정으로 보내져 토큰 소각에 사용

③ 참가기간 : 2019년 7월 17일(수) ~ 7월 21일(일), 5일간

④ 유의사항 : 해당 포스팅은 반드시 #steemleo 태그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⑤ 선정방법 : 스팀레오 운영팀의 주관적 기준에 따라 선정

#2. 상금 안내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 참여자 중 3명을 선발하여 아래와 같이 상금을 지급합니다.

  • 1등 수상자 : 30 SBI + 75 LEO파워 + 일간 레오 뉴스레터에서 추천
  • 2등 수상자 : 15 SBI + 50 LEO파워
  • 3등 수상자 : 10 SBI + 25 LEO파워

sbi.png

※ SBI란? Steem Basic Income의 약자로, 스팀레오팀에서 해당 수상자의 SBI등록 비용을 지불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위에서 LEO파워란 스테이킹 된 형태로 지급되는 LEO토큰을 의미합니다 (리퀴드 토큰이 아님)


어제 제가 제안했던 [SCT x LIV] 스팀코인판에서 글쓰고 LIV에서 평가받는 컴피티션, 참여하시겠습니까?라는 포스팅과 굉장히 유사하지만 포스팅 평가주체만 다른 방식의 콘테스트인 것 같습니다.

국내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들에서도 이런 유사한 콘테스트가 개최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혹시라도 스팀레오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가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steemleo2.gif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레오(STEEM LEO)에서 주간 글쓰기 콘테스트를 진행합니다 (7월 21일 까지)’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