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과 비밀리에 협업 중인 프로젝트, 뭔가 대단한 것이 준비 중인건가?

logo.jpe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혹시라도 스팀 공식 트위터 계정의 최근 피드를 살펴보신 분들이라면 어느 정도 눈치를 채고 계실 것 같지만, 현재 스팀과 타이페리움(Typerium)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나름 비밀리에 어떤 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팀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계속해서 타이페리움 프로젝트를 샷아웃 해주면서 곧 다가올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한 트윗을 날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twitter.png

하지만, 타이페리움 공식 홈페이지에서 토큰 판매 정보를 찾아봐도 TYPE이라는 토큰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발행되었고, 스팀 블록체인과의 연관이 있어 보이는 정보를 찾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jrcornel도 Steem and Typerium? - Any idea what this is?라는 포스팅을 통해서
스팀과 타이페리움에서 콜라보를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히 알려진 정보를 찾을 수가 없어서 혹시라도 이에 대해 알고 있는 분들이 있는지에 수소문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twitter2.png

오히려 타이페리움에서는 시작은 미약하지만 그 끝은 창대하리라는 의미를 담아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시작 전부터 자세한 정보를 알리기 보다는 실제로 어떤 것이 나오는지를 지켜보라는 트윗을 날렸습니다.

오늘은 지금까지 알려진 정보를 토대로 타이페리움과 스팀 블록체인이 어떤 관계를 가질 것인지에 대해서 소개를 조금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은 타이페리움 공식 미디엄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타이페리움이란?


logo1.png

타이페리움은 컨텐츠의 작성이나 디자인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플랫폼이자 암호화폐(TYPE)로서 자체 마켓,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및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직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플랫폼으로 일반 유저들이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 크리에이팅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자면 폰트 종류, 이미지 필터, 컬러링 등의 기능 제공을 통해 초보자들도 자신들의 포스팅과 콘텐츠를 멋지게 꾸밀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스팀과의 콜라보로 기대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

#2. 스팀과의 콜라보는?


typerium2.jpg

타이페리움이 스팀과의 콜라보를 통해 서로 윈윈하고자 하는 전략은 과연 무엇일까요?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스팀에서도 오피셜 트위터 계정을 통해 베일에 쌓여 있는 타이페리움에 대해 계속해서 간접 홍보를 해주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다음 원문을 보고 정리해본 내용입니다.

typerium.jpg

원문 : Typerium’s 3 Punch Combo that Could Knock Steem Out!

one.jpeg

① 스티밋의 에디터 UI 개선
타이페리움은 직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스티밋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에디터의 UI가 크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마크다운을 모르는 유저들도 미디엄, 브런치와 같은 느낌의 고급진 포스팅을 하게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two.jpeg

② 소셜 미디어 채널 플러그인
이미 셰어투스팀을 통해 인스타그램이나 미디엄 등 다른 소셜 미디어에서 작성한 포스팅을 스티밋에도 게시할 수 있기는 하지만, 양방향으로의 콘텐츠 플러그인이 가능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타이페리움은 콘텐츠 자체가 플랫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는 않는다는 점에 주목을 하고 있고, 이것이 스티밋에 많은 대중들을 불러오는 데 있어 중요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타이페리움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가 자신의 작업물을 스티밋에 게시하거나 다른 소셜 미디어에도 동시에 게시를 할 수 있게 만드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three.jpeg

③ 프라이빗 메시징 기능
현재 스티밋에서는 스팀챗이라는 써드파티앱 외에 별다른 메시징 플랫폼이 없습니다. 타이페리움은 스티밋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이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프라이빗 메시징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타이페리움은 아직까지 이렇다할 MVP나 구체적인 정보들이 나온 것이 아니라, 과연 현재의 스티밋에 보다 나은 UI/UX를 제공하는 멀티레이어 플랫폼이 되어줄 수 있을지에 대해 속단하기는 이를 것으로 판단됩니다. @jrcornel도 기대하고 있다가 실망하기 보다는 그냥 또다른 하나의 콜라보가 있구나 정도로만 인지하고 있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는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약 한 달뒤에 베일을 벗은 타이페리움은 스팀 블록체인과 커뮤니티에 어떤 가치를 가져다줄 수 있을지 일단은 기다려봐야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과 비밀리에 협업 중인 프로젝트, 뭔가 대단한 것이 준비 중인건가?’

스팀 엔진 트라이브(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종류별 정보 총정리

summary.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SCOTBOT 기반의 스팀 엔진 트라이브(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의 종류가 어느덧 27개를 돌파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27개의 SCOTBOT기반 토큰들 중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이 되면서 마켓에서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토큰은 총 22개 정도로 요약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스팀 엔진 트라이브의 런칭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스티밋 생태계에 이제 갓 입문하셨거나, 오래간만에 스티밋 커뮤니티에 컴백하여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스팀 엔진 트라이브(Steem-Engine Tribe)의 종류별 정보를 한 눈에 보실 수 있도록 총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팀 엔진 트라이브 정보 요약


tokens.png

① 전체 토큰 종류 : 27개

  • 운영 중 : 22개
  • 미운영 중 : 3개
  • 운영예정 : 2개

② 국내 커뮤니티 기반 토큰 : 5개

#2. 주요 스팀 엔진 트라이브 정리


list2.png

개인적으로 정리해 본 주요 스팀 엔진 트라이브들에 대한 정보는 위와 같습니다. 니트로스 접속 주소를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사용하시기 편하도록 상단의 이미지를 조금 세부적인 마크다운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토큰명 및 필수태그

구분 스티밋 포크명 토큰명 필수태그
1 Peace Abundance Liberty PAL #palnet
2 STEEM LEO LEO #steemleo
3 WeedCash WEED #weedcash
4 BATTLE GAMES BATTLE #battle
5 ActnEarn ACTNEARN #actnearn
6 Bloque64 BLQ #bloque64
7 SteemCoinpan SCT #sct
8 TRIPLE A AAA #aaa
9 SPLINTER TALK SPT #spt
10 STEEMZZANG ZZAN #zzan
11 Life Influence and Value LIV #liv
12 Creative Coin Crypto CCC #creativecoin
13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STEM #stem
14 Reggae Steem JAHM #jahm
15 STEEM INVENTORY IV #iv
16 Steem Ace GG #steemace
17 Intrepreneur Life INT #int

(3) 필수태그 및 니트로스 주소

구분 토큰명 필수태그 니트로스 인스턴스 주소
1 PAL #palnet https://www.palnet.io/
2 LEO #steemleo https://www.steemleo.com/
3 WEED #weedcash https://www.weedcash.network/
4 BATTLE #battle https://www.battlegames.io/
5 ACTNEARN #actnearn https://www.actnearn.com/
6 BLQ #bloque64 https://bloque64.com/
7 SCT #sct https://www.steemcoinpan.com/
8 AAA #aaa https://www.triplea.reviews/
9 SPT #spt https://www.splintertalk.io/
10 ZZAN #zzan https://www.steemzzang.com/
11 LIV #liv https://liv.steempeople.com/
12 CCC #creativecoin https://www.creativecoin.xyz/
13 STEM #stem https://stemgeeks.net/
14 JAHM #jahm https://www.reggaesteem.io/
15 IV #iv https://www.steeminven.com/
16 GG #steemace https://www.steemace.io/
17 INT #int https://www.intrepreneur.life/

(4) 스티밋 포크별 주제

구분 토큰명 필수태그 주제
1 PAL #palnet 제한 없음
2 LEO #steemleo 투자 관련 콘텐츠
3 WEED #weedcash 대마 관련 콘텐츠
4 BATTLE #battle 게임 관련 콘텐츠
5 ACTNEARN #actnearn 캠페인 관련 콘텐츠
6 BLQ #bloque64 스페인어 사용자들의 뉴스 관련 콘텐츠
7 SCT #sct 크립토애셋, 블록체인 관련 콘텐츠
8 AAA #aaa 영화, 드라마 리뷰 콘텐츠
9 SPT #spt 스팀몬스터 게임 관련 콘텐츠
10 ZZAN #zzan 제한 없음
11 LIV #liv 제한 없음
12 CCC #creativecoin 창의적, 예술적 콘텐츠
13 STEM #stem 과학기술, 공학, 수학 관련 콘텐츠
14 JAHM #jahm 레게 음악, 문화 관련 콘텐츠
15 IV #iv 블록체인 게임 정보 관련 콘텐츠
16 GG #steemace 게임 관련 콘텐츠
17 INT #int 제한 없음

#3. 스팀 엔진 트라이브 자세히 살펴보기 (포스팅 링크)


다음은 위에서 정리한 스팀 엔진 트라이브들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담겨 있는 포스팅들의 링크 모음입니다. 국내 커뮤니티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팀코인판, 트리플에이, 스팀짱, 스팀피플, 스팀인벤에 대한 소개 포스팅은 해당 운영진을 비롯하여 워낙 풍부한 자료들이 있는 관계로 별도로 링크로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혹시라도 아래에 링크되어 있는 스팀 엔진 트라이브 관련 포스팅 이외에 해외 커뮤니티 기반의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 대한 소개 포스팅을 작성하신 분이 계시다면, 댓글로 링크를 남겨주시면 해당 프로젝트 소개 포스팅 링크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스팀키체인이나 스팀엔진, SCOT, 스팀엔진 기반 토큰거래 등 기초적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참고] 기초 링크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엔진 트라이브(스티밋 포크 커뮤니티) 종류별 정보 총정리’

[스팀엔진 트라이브] 리뷰어를 위한 커뮤니티, 리얼리티허브(Reality Hubs) 런칭!

page.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스팀 엔진 트라이브 가족에 또 다른 프로젝트의 합류 소식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등장한 스티밋 포크 사이트는 리뷰어를 위한 커뮤니티인 리얼리티 허브(Reality Hub)입니다.

벌써 니트로스 인스턴스를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라 바로 접속 및 포스팅 업로드가 가능하지만, 토큰정보와 관련해서는 아직 세부내용이 모두 공개된 것은 아니라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에 따라서 소개를 드립니다.

원문 링크 : Introducing RealityHubs! A place for reviewers. - by @knowledges

#1. 리얼리티 허브(Reality Hubs)란?


logo.png

리얼리티 허브는 리뷰어들을 위한 커뮤니티로서 제품(프로덕트)에 대한 리뷰, 직접 촬영한 사진들, 그래픽이나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비주얼 디자인 작업물 등에 관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비주얼 디자인 작업물등은 얼마 전에 런칭한 크리에이티브코인(https://www.creativecoin.xyz/)과 일부 공유되는 영역으로 보이고, 제품(프로덕트)에 대한 리뷰는 스팀헌트(https://steemhunt.com/)와 공유되는 영역으로 보입니다.

site.png

#2. 토큰 정보


제목 없음.png

① 초기 발행량 : 100,000,000 RHB

② 에어드랍 정보 : 3개의 티어로 구분하여 RHB에어드랍을 진행합니다

  • 에어드랍 일정 : 2019년 8월 5일 전까지 배분 예정 (14일 이내)

  • 전체 에어드랍 배정분 : 300,000 RHB

  • 1티어(150,000 RHB) : 원문 포스팅을 리스팀하고 댓글을 남긴 유저 중 무작위로 선발
  • 2티어(100,000 RHB) : RHB토큰을 구매하고 스테이킹하고 있는 계정을 대상으로 에어드랍
  • 3티어(50,000 RHB) : 가장 많은 RHB를 스테이킹하고 있는 5명에게 추가 보너스 지급

③ 토큰 가격 : 1 RHB = 0.2 STEEMP

#3. 세팅 정보


  • 저자보상커브 : 1.0
  • 저자보상 : 큐레이터보상 = 50 : 50
  • 베네피셔리 : 없음
  • 마이닝토큰 : 없음
  • 페이아웃기간 : 7일
  • 필수태그 : #realityhubs
  • 보팅파워 충전 : 스티밋, PAL, STEM 등과 동일

개인적으로 사진 촬영을 많이 하시는 분들, 그래픽이미지 작업을 하시는 분들을 비롯하여 스팀헌트에 제품리뷰 및 소개를 하시는 분들이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은 트라이브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리뷰어를 위한 커뮤니티, 리얼리티허브(Reality Hubs) 런칭!’

[SCT] 스팀코인판에서 운영 중인 3대 조합에 대한 간단 비교 및 설명

vote.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제이님께서 [SCT] 조합가입과 SCT 최적화라는 포스팅을 통해서 스팀코인판에서 운영되고 있는 조합(또는 보팅그룹)에 대해 자세한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혹시라도 조합가입을 고려 중이신 분들께서는 어떤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조합(보팅그룹)마다 성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SCT보유량 및 활동습관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원피스팀(@team1p)


① 강점

  • 현존하는 조합 중에서 가장 큰 보팅파워(123,200 SCT) 보유
  • 기존부터 스팀잇에서 왕성한 활동을 해오셨던 분들(@ukk님, @lucky2님, @lovelyyeon님)이 운영진으로 활동 중
  • 단체카톡방에서 조합원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함
  • 언제든지 자유롭게 임대량을 추가할 수 있음
  • 리워드 분배가 조합들 중에서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짐 (1일 1회)
  • 팀원의 경우 비소각글에도 보팅지원이 있음

② 취약점

  • 관리가 가능한 수준에서의 최적화로 인해 가입 인원제한이 있음
  • 팀원 대부분이 SCT헤비 홀더인 관계로, 소액 홀더는 가입이 어려움
  • 팀원들의 임대량 인플레이션 속도가 빨라서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보팅지원 가중치가 낮아질 수 있음

③ 이런 분들께 추천

  • 소각글을 자주 올리시는 분
  • 비소각글에도 보팅지원을 받고 싶은 분
  • 언제든지 추가로 임대량을 증가하고자 하시는 분
  • 카톡방에서 활발한 대화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
  • 빠른 리워드 분배를 받고 싶으신 분

#2. 나풀나풀 나하풀(@naha.sct)


① 강점

  • 아주 소액의 SCT로도 풀에 가입이 가능 (진입장벽의 문턱이 가장 낮음)
  • 언제든지 자유롭게 임대량을 추가할 수 있음
  • 스팀코인판을 비롯하여 스티밋 포크 커뮤니티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량을 보이시는 나하(@naha)님께서 운영 중
  • 스티밋에서 많은 팬을 보유하고 계신 나하(@naha)님께서 운영 중

② 취약점

  • 운영자의 노동 강도와 피로도가 높은 편

③ 이런 분들께 추천

  • 소액이지만 조합에 참여하고 싶은 분
  • 1,000~4,000 SCT 정도의 임대여력이 있고 소각글을 올리시는 분
  • 나하님의 팬이신 분

#3. 스판유니언(@union.sct)


① 강점

  • 별도의 유료 보팅 서비스를 운영하여 적립금의 형태로 운영
  • UNION토큰을 통해 조합원의 선택 옵션을 두고 있음
  • 지금까지 홍보소각에 참여하는 조합원에게 혜자 보팅지원 운영 (8월 1일부터 차등지원 예정)

② 취약점

  • 신규 가입 및 조합원 참여에 진입장벽이 있(었)음
  • 조합원의 자율적인 임대량 추가에 제한이 있(었)음
  • 비소각글로 포스팅을 올리는 조합원에 대한 추가 혜택이 없음
  • 별도로 단체카톡방 등의 채널을 운영하지 않음

③ 이런 분들께 추천

  • 소각글을 자주 올리시는 분
  • SCT를 보유하고 있긴 하나 스판에서 활동을 잘 못하시는 분
  • SCT를 SCTM처럼 채굴하는 방식으로 보유하고 싶은 분

현존하는 조합(보팅그룹)들은 유사하면서도 미묘한 차이들이 있다보니, 가입하시기 전에 “나는 어떤 것을 얻고 싶은가?”에 대해서 한 번 생각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형평성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수익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확장성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안정성이 떨어지고 운영진의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다보니 각 조합과 보팅그룹에서는 나름의 최적점을 열심히 찾아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쯤에서 또 다른 방향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조합이 등장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에서 운영 중인 3대 조합에 대한 간단 비교 및 설명’

[AAA] 디즈니 영화 사상 최단 흥행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라이온 킹 리뷰!

lionkin main.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아니 12시가 지났으니 벌써 어제네요. 초등학교 시절의 레전드 애니메이션 겸 게임으로 기억 속에 남아있었던 라이온 킹의 실사판을 보러 용산 CGV에 다녀왔습니다. 따끈따끈한 영화 후기를 적어봅니다.

photo_2019-07-23_01-07-49.jpg

라이온 킹은 개인적으로 올해 나올 영화 중 알라딘과 함께 가장 기다려왔던 영화이기도 해서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과감히 휴가를 내고, 생애 처음으로 씨네 드 셰프를 예약해서! 정말 소중한 손님을 맞이하는 그런 마음으로 영화관을 다녀왔습니다.

photo_2019-07-23_01-07-37.jpg

photo_2019-07-23_01-08-12.jpg

정말 이 쾌적함이란… 영화관에서 처음 느껴보는 감흥이었네요 ㅠㅠ

#1. 어찌 기대하지 않으랴


jon favreau.jpeg

ironman.jpg

영화 속에서는 스파이더맨이나 아이언맨 옆에 서 있는 다소 한심한 씬 스틸러로서의 해피 호건이지만, 영화 감독으로서는 정글북을 통해 모션캡쳐를 활용한 실사 영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존 파브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고 했을 때부터 이미 라이온 킹 실사판에 엄청난 기대를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jungle book.jpg

정글북이 주인공 모글리를 제외하곤 모든 장면이 CG로 처리되었다는 사실을 영화를 보고나서 들었을 때의 충격이란..

#2. 특유의 귀여움이 없어도 괜찮아


poster.jpg

라이온킹 실사판에 대해서는 보는 사람들마다 조금씩 다른 반응들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영화에서 나오는 모든 디테일들이 진짜가 아닌 CG라는 사실에 대해서 감탄을 자아내기도 하고, 다른 어떤 이들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봤었던 각 캐릭터들의 특유의 느낌을 조금 못 살렸고 귀여움이 떨어져서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lionking3.png

실제 아기 사자가 애니메이션 속의 심바처럼 귀여울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우니 이 정도의 귀여움이라도 좋다고 만족해야만 봤습니다. (마치 우리집 강아지를 닮았다고 생각하며..)

lionking5.png

라이온킹 속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특유의 귀여움과 사랑스러움이 실사판에서는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분명히 있기는 하지만, 스토리 전개 상 무게감이 있는 장면들이나, 줌 아웃된 장면들을 보여줄 때의 영상미는 확실히 애니메이션보다 좋았습니다.

lionking4.png

아무리 12.3 TB나 되는 사진을 확보하여 이를 바탕으로 작업한 결과물이라지만, 이런 모든 장면들 중 진짜가 하나도 없다니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3. 스포는 걱정하지 마시길!


lionking2.png

라이온킹의 원작 애니메이션과 내용 상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미 애니메이션의 기억이 강렬하게 남아 있는 분들이라면 정말 부담없이 영상미와 추억을 꺼내보시는 재미를 즐기고 오실 수 있는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쿠키 영상은 따로 없습니다.

lionking.png

디즈니 실사판은 신데렐라, 정글북, 미녀와 야수, 피터와 드래곤, 덤보, 알리딘 이후 라이온킹이 7번째라고 합니다. 디즈니 명작 애니메이션을 실사화 하는 작업의 무게가 상당했을텐데, 실망시켜주지 않고 다음 작품으로 계속해서 발걸음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주는 제작진에게 진심으로 감사할 따름입니다 :)

참고로, 라이온 킹 목소리 줄연진들이 연기에 혼을 담았다고 하니 더빙 대신에 자막으로 꼭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AAA] 디즈니 영화 사상 최단 흥행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라이온 킹 리뷰!’

유저들은 과연 스팀파워(SP)를 스팀(STEEM)으로 만드는 유동성에 얼마의 가치를 메길까?

liquid.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많은 스티미언들이 현재 스티밋 시스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스팀파워(SP)의 파워다운(언스테이킹)에 소요되는 13주라는 시간입니다.

어쩌면 베어마켓에서 13주라는 시간은 스팀(STEEM)의 손절을 위한 덤핑을 일부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줄지도 모르겠지만, 사용자들이 스티밋에서 보팅파워 사용권한이라는 유틸리티를 사용하기 위해 13주라는 긴 시간동안 자신의 자산에 락(lock)이 걸려버린다는 것은 변동성이 매우 큰 크립토마켓에서 꽤나 큰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1. 활동리워드 유동성 서비스


거래소에서 구매하는 스팀(STEEM)과는 별개로 스티미언들은 콘텐츠 크리에이팅 활동이나 큐레이팅 활동을 통해서 스테이킹된 형태의 스팀인 스팀파워(SP) 또는 스팀달러(SBD), 경우에 따라 즉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스팀(STEEM)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헌데 현재 스티밋의 보상체계에 따르면, 저자 리워드와 큐레이팅 리워드에서 스팀파워(SP)가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전부터 스티밋에서는 저자 리워드로 받은 스팀파워를 일정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스팀(STEEM)으로 교환하는 서비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종의 유동성 서비스라는 비즈니스가 도입이 되고 있는 것이죠.

최근의 유동성 서비스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제이님이나 블록체인 스튜디오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 리워드 유동성 서비스 @finex


위의 링크 중 블록체인스튜디오님의 포스팅을 읽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어제부터 블록체인스튜디오님께서 @finex라는 스파 유동성 교환 서비스를 런칭하셨습니다.

사용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beneficiaries.png

① 스파 유동성 교환 서비스를 통해 나의 포스팅의 저자 리워드를 스팀파워(SP)대신 스팀(STEEM)으로 받고 싶으신 분들은 스팀피크(https://steempeak.com/)에 스팀커넥트로 로그인 후 위와 같이 베네피셔리를 @finex 계정으로 설정합니다.

포스팅 작성 화면 하단에 [ADD BENEFICIARIES]를 클릭하고 위와 같이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② 이때 @finex계정 베네피셔리는 저자 리워드 중에서 스팀으로의 현금화(?)가 필요한 비율만큼 설정하시면 됩니다.

③ 해당 포스팅의 페이아웃은 내가 설정한 비율만큼 @finex 계정으로 지급되며, @finex계정에서는 저자 보상을 다음과 같이 원계정으로 지급합니다.

  • 스팀파워(SP) → 스팀(STEEM)
  • 스팀(STEEM) → 스팀(STEEM)
  • 스팀달러(SBD) → 스팀달러(SB)

스팀이나 스팀달러는 그대로 원계정으로 전달되는 것이므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스팀파워(SP)만 스팀(STEEM)으로 환전하여 받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블록체인스튜디오님의 @finex는 7월 말까지 테스트기간으로 수수료없이 유동성 교환 서비스를 운영하며, 추후에는 1%의 수수료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유동성 서비스의 응용


logo.png

이 유동성 서비스는 베네피셔리 설정이 스티밋 보상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한 관계로 스팀 엔진 트라이브 토큰들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전에도 포스팅을 통해 여러 번 말씀드린 적이 있지만, 스팀 엔진 트라이브 토큰들에 베네피셔리 설정이 가능하다면 신규 작가 발굴이나 이벤트 등 정말 재미있고 다양한 신규 BM들이 나올 수 있을텐데 조금 아쉬운 점입니다.

그러다 보니, 주로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해당 스티밋 포크 토큰들을 많이 얻고 계시는 분들은 비딩봇 서비스와 유동성 서비스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스팀엔진 토큰들을 스팀(STEEM)으로 환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참고) 스팀코인판 비딩봇 서비스 사용방법 : 클릭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스팀(STEEM)을 기축으로 하는 스팀 엔진 마켓이 활성화된 시점에서 리워드의 유동성 교환에 1% 또는 1.5%라는 수수료는 굉장히 저렴한 편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운영자에 대한 신뢰만 보장되어 급작스런 서비스 중단 같은 리스크만 없다면 더 높은 수수료를 적용한다고 해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가 참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블록체인스튜디오님께서 계속 해당 서비스를 운영해주신다면 더 높은 수수료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자주 이용할 것 같네요.

만약, 현재의 스티밋 파워다운 기간에 대한 별도의 변경 업데이트가 없다면 과연 앞으로의 스티밋에서 유저들은 스팀파워를 스팀으로 바꾸는 유동성 서비스의 수수료로 최대 얼마까지 지불할 것인지를 지켜볼 수 있는 BM의 영역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본 포스팅은 스팀피크에서 @finex계정으로 100% 베네피셔리를 설정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일주일 뒤에 사용후기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유저들은 과연 스팀파워(SP)를 스팀(STEEM)으로 만드는 유동성에 얼마의 가치를 메길까?’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