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로드오브리치(ROR) X 테나프로토콜 파트너십 기념 이벤트 참여하기!

tena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블록체인 기반의 게임으로 스팀인벤(STEEMINVEN) 스티밋 포크를 구축하고 있는 로드오브리치(ROR)팀에서 보상 결제 프로토콜 TENA Protocol과의 파트너십을 기념하여 이벤트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gopay.png

해당 이벤트는 테나 프로토콜의 첫번째 DApp인 고페이(GOPAY) 가입 후 이를 인증하면 @roadofrich 계정으로부터 10% 보팅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입니다.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이 굉장히 간편하니 꼭 참여하시고 보팅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이벤트 참여 방법


Screenshot_20190729-135324.png

①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고페이를 검색한 뒤에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Screenshot_20190729-135011.png

②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을 진행하되 추천인 코드에 12CK를 입력합니다.

추천인 코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ROR계정으로부터 보팅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Screenshot_20190729-135019.png

③ 추천인 코드를 입력하고 가입이 완료된 화면을 캡쳐하여 해당 #iv 태그 및 #tena 태그와 함께 인증 포스팅을 업로드 합니다.

Screenshot_20190729-152715.png

저같은 경우에는 5,000원 상당의 테나가 지급되었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3,986원 어치가 입금되었네요

tena.png

ROR팀에서 블록체인 결제서비스 전문 기업과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공개 예정이라고 했었는데 상대가 테나 프로토콜이었네요. 현재 TENA토큰은 CPDAX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GOPAY어플을 통해 전국 편의점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고페이 사용 시에 TENA토큰을 채굴할 수 있습니다)

과연 테나 프로토콜과의 협업을 통해 RORS와 IV를 이용한 물품구매 마켓이 어떻게 활성화될 수 있을지를 지켜봐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로드오브리치팀에서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하니 토큰 홀더로서 기대가 많이 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IV] 로드오브리치(ROR) X 테나프로토콜 파트너십 기념 이벤트 참여하기!’

[스팀코인판] 신규 유저의 유입 및 정착을 위한 개선 건의사항

logo1.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8월 부터 스팀코인판 보상풀의 분배정책이 대대적으로 변경되며 R토큰 SCTR토큰과 함께 신규 유저의 유입 및 정착을 위한 기존 스파니언들의 다양한 활동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전체 인플레이션의 5%에 해당하는 레퍼럴풀은 기존 스파니언들이 각자 자신만의 노하우나 인맥 네트워크, 보유재원을 활용하여 획득하게 되는 이른바 개인 경쟁이기는 하지만, 보다 많은 기존유저들의 참여 및 도움을 이끌어내기 위한 스팀코인판 운영진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몇 가지를 건의드려볼까 합니다.

#1. 스판포럼의 활성화


tokenbb.png

현재 스판포럼(https://sct.tokenbb.io/)이 구축되었고 계속해서 개선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유저들의 활동이 굉장히 미미합니다.

스팀코인판은 스티밋의 태생적인 UI/UX 문제로 인해 새롭게 입문한 유저들이 원하는 정보가 담겨 있는 포스팅을 검색하거나, 궁금한 정보를 물어보고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현재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좋은 가이드를 꾸준히 써주시는 분들도 있고, 단톡방이 해결 창구가 되어주고는 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창구는 공개적이고 언제든지 접근이 가능한 스판포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개인적인 건의를 드려보고자 합니다.

① Q&A 게시판의 운영
공지사항, 가입인사와 더불어 신규 유저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① 필요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 가이드(스티밋 및 스팀코인판 사용방법)② 질의응답(Q&A)게시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상단 메뉴로 활성화하여 신규 유저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② 큐레이터(@sct.cu)들의 보팅지원
현재 운영되고 있는 큐레이터들 중 일부가 스판포럼에서 활동하는 유저들의 보팅을 지원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신규 유저들의 질문들이 올라오기 전에는 다음의 몇 가지 테마를 정하여 기존 유저들이 자유롭게 포스팅을 정리하여 올릴 수 있도록 장려함으로써 신규 유저들이 찾아볼 수 있는 콘텐츠를 준비합니다.

  • 용어의 정리 (블록체인 일반 / 스티밋 / 스팀엔진 및 스팀코인판)
  • 튜토리얼 (가입방법 /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의 관리 / 스팀키체인 사용법 / 스팀엔진 사용법)
  • 주요 저자 정리 (팔로우할만한 기존 스파니언 추천, 해당 저자가 주로 어떤 글을 쓰는지 안내)
  • 본인 홍보 (기존 스파니언이 자신이 주로 어떤 포스팅을 쓰는지 정리)
  • 주요 링크 정리 (기존에 잘 정리된 포스팅들을 주제별로 정리)

그 다음에 신규 유저들이 스티밋과 스팀코인판에 온보딩하여 궁금한 사항들을 스판포럼 Q&A 게시판에 올리는 경우, 해당 질문에 답을 해주는 유저들에게 보팅을 지원합니다.

#2. 스판포럼 활동지원을 위한 계정 운영


tokenbb2.png

위에서 임의로 현재 활동 중인 큐레이터 계정(@sct.cu)들의 보팅지원을 언급하긴 했지만, 스판포럼에 콘텐츠를 채워나가는 분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계정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름 열심히 콘텐츠를 만들고 업로드하는 활동을 통해 SCT를 얻고 싶은 유저들이 스팀코인판에서 글을 쓰는 것 이외에도 스판포럼 활동을 통해 보팅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스판 포럼 활동에 집중하시는 유저분들도 많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focus.jpg

지금까지는 스팀코인판에서 홍보소각글, 그리고 보팅풀(조합)이 주요 관심 대상이 되어 왔고, 홍보소각글에 참여할만한 충분한 SCT를 보유하고 있지 못한 분들이나 보팅풀에 가입을 하지 못한 분들이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도 합니다.

8월 부터는 이에 대한 해답이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신규 유저들이 유입이 되기 시작하면 나름의 해답을 얻을 수 있는 공개적인 공간과 콘텐츠가 절실하게 필요할 것이고, 소통의 중요성이 지금보다 높아지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따라서, 신규 유저들을 위한 가이드 콘텐츠 만들기와 Q&A에서 활동하시는 분들께 보팅을 지원하는 계정이 운영되어 보팅액수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활동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도 또 하나의 좋은 활로가 되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코인판] 신규 유저의 유입 및 정착을 위한 개선 건의사항’

[스팀엔진 트라이브] 천연 제품 및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관련 커뮤니티 내츄럴 프로덕트(Natural Products) 런칭!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이번 주말에 새롭게 런칭한 또다른 스팀 엔진 트라이브 커뮤니티 내츄럴 프로덕트(Natural Products)와 관련하여 간단한 소개 정보를 요약해서 안내드립니다.

현재 내츄럴 프로덕트 커뮤니티의 네이티브 토큰인 NATRL은 PAL토큰 스테이커들을 대상으로 150개씩 정액으로 에어드랍이 완료되었습니다.

원문 출처 : Announcing NaturalProducts.Today, launched on Steem-Engine

#1. 내츄럴프로덕트(Natural Products) 정보


site.png

① 니트로스 인스턴스 주소 : https://naturalproducts.today/

② 토큰 심볼 : NATRL

③ 커뮤니티 테마 주제 : 천연 제품 및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관련 콘텐츠

#2. 토큰 정보


token logo.png

① 초기 발행량 : 8,750,000 NATRL

② 토큰분배

  • 에어드랍 : 750,000 NATRL
  • 어뷰징 방지용 운영계정(@nonatrl4u) : 1,000,000 NATRL
  • 큐레이터 및 팀 배분 : 2,250,000 NATRL
  • 커뮤니티 바운티 : 5,000,000

③ 판매가격 : 1 NATRL = 0.05 STEEMP

④ 에어드랍 정보

  • PAL토큰 스테이커들을 대상으로 150 NATRL씩 에어드랍 지급 완료

#3. 세팅 정보


token.png
  • 메인 태그 : #naturalproducts
  • 보상 배분 = 저자 60% : 큐레이터 40%
  • 베네피셔리 : 10% (@natrlvoter)
  • 페이아웃 기간 : 7일
  • 인플레이션 : 첫 해에 2,628,000 배포

#4. 가이드라인


내츄럴 프로덕트 운영팀에서는 운영계정(@naturalproducts)의 공지를 통해 핻아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의 가이드라인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원문 : Natural Products Posts: Guidelines when using #naturalproducts in your posts!

  • 복사+붙여넣기 또는 링크가 아닌 오리지널 콘텐츠를 올릴 것
  • 최소 250단어 이상으로 작성할 것
  • 포스팅의 주제는 반드시 건강제품 및 천연제품과 관련이 있을 것
  • 자신의 포스팅이 아닌 경우에는 소스출처를 밝힐 것

참고적으로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스팀 엔진 트라이브들의 경우, 사용자들의 무분별한 태그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랙리스트 뿐만 아니라 다운보팅 계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운보팅 계정(@nonatrl4u)의 경우에는 표절이나 태그 남용 포스팅을 대상으로 다운보팅을 진행하고 있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logo2.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트라이브] 천연 제품 및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관련 커뮤니티 내츄럴 프로덕트(Natural Products) 런칭!’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 어떻게 해야 좋은 글들이 많아질까?

thumbnail.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어쩌면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고민하게 되는 문제인 듯 싶지만 “어떻게 해야 좋은 글들이 많아질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해야 더 많은 신규 유저를 만날 수 있을 것인가?”, “어떻게 해야 PoB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들이 시작되는 것 같아 개인적인 생각을 남겨봅니다.

#1. 스티밋 vs 일반 크립토 커뮤니티


headache.jpg

네이버 카페(비트맨), 코인판, 코박 등의 블록체인 및 크립토애셋 관련 커뮤니티는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처럼 글쓰기나 댓글 활동에 대한 보상이 주어지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저들의 왕성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저는 그 이유를 접근성, 부담감,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① 접근성의 측면

여기서 접근성이라 함은 단순히 계정생성을 하고 프라이빗키를 관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올리는 글들에 대한 접근성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스티밋 사이트에서 계정 생성을 하고 며칠을 기다려서 마스터 패스워드를 발급받아 막상 커뮤니티 활동을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그 다음 문제가 어떤 사람을 팔로우하고 어떤 카테고리(태그)를 선택해야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신규 가입자가 관심을 가지고 읽어보고, 받아보고 싶은 정보를 찾는 것도 현재의 스티밋 시스템에서는 정말 어려운 실정입니다.

어찌저찌하여 우여곡절 끝에 내가 원하는 글을 자주 써주는 유저들을 팔로우했다고 하더라도, 그 다음 문제는 내 글에 대한 접근성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장 먼저는 마크다운을 비롯한 글쓰기 방법이겠고, 그 다음으로는 내가 쓴 글을 종류별로 정리하여 한 눈에 보거나 필요할 때 찾아보는 것도 굉장히 어렵습니다. 능력자 세계님께서 만들어주신 스팀툴(https://tool.steem.world/Post/UserPosts)을 통해 일부 검색이 가능하지만, 내가 쓴 글 보기를 클릭하고 거기에 추가적인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카테고리화 할 수 있는 다른 커뮤니티와 정말 비교되는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② 부담감의 측면

블록체인 및 크립토 관련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 보면, 스티밋에서는 나름 전문적인 깊이가 있게, 그리고 길게 글을 써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후기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실 코인니스 뉴스의 복붙 포스팅이든, 특정 프로젝트의 레퍼럴을 위한 광고 포스팅이든, 아니면 가즈아를 외치는 선동글이든 이 모든 글들이 한데 모여 있다는 다양성이 결국 커뮤니티의 가치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들이 정말 아무런 부담 없이 글을 올릴 수 있어야 하는데, 이상하게 스티밋에서는 그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③ 상대적 박탈감

사실 위에서 말한 부담감이라는 것은 결국 이 상대적 박탈감과 연결이 되는데, 그것의 연결고리가 바로 모든 포스팅에 꼬리표처럼 붙어 있는 보상 액수입니다.

스티밋과 PoB의 가장 큰 장점이 어찌보면 가장 큰 문제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네이버나 일반 커뮤니티에서는 내 글에 남들이 좋아요를 누르든 말든 크게 신경쓰는 유저들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복사+붙여넣기 글을 올리기도 하고, 선동글을 올리기도 하며, 정말 쓸모 없는 넋두리 글을 올리기도 하죠.

근데 스티밋에서는 다른 유저들의 포스팅에 찍혀 있는 보상을 보며, 내 글에 찍히는 보상이 내가 나의 평판 또는 명성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그리고 나아가 내가 쓴 글보다 훨씬 시간이나 노력을 덜 투자한 것으로 보이는 글에 더 높은 보상이 찍혀 있는 것을 마주하게 되는 순간 상대적 박탈감이 작동하며 활동에 대한 의욕을 끌어 내리는 쪽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2.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의 현실


lock.jpg

개인적으로 크립토 프로젝트들의 가장 큰 자산이자 강점이 되는 핵심요소는 얼마나 커뮤니티가 잘 형성되어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글이든 유튜브든 페이스북이든 결국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뭉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가에 따라 가치가 정해질 수 밖에 없죠.

현재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들 모두가 고민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하면 강력한 결속력을 가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유지할 것인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지난 2년 간 꾸준한 베어마켓으로 인해 각종 텔레그램이나 오카방(오픈카카오톡) 등의 참여인원도 가격처럼 반토막, 반의 반토막이 나 있는 실정이기도 하고 장기적인 관점과 로열티를 가지고 꾸준히 활동하는 사람을 찾는 것은 정말 하늘의 별따기 만큼 어려운 실정입니다.

신규 유저, 신규 저자, 뉴페이스, 새로운 글, 좋은 글을 찾기 힘든 것은 비단 스팀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어떤 이벤트를 진행하든, 주변인이나 다른 커뮤니티로부터 유저들을 설득하여 유치해오든 결국은 오랫동안 열심히 활동해오던 기존 유저들 몇몇 만이 남아 활동을 하며 쳇바퀴를 계속 굴리게되고, 오히려 그 유저들끼리 해당 프로젝트의 생태계에 갇혀서 지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의 현실이라는 걸 인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3. 무조건 편해야 한다


jumpin.jpg

스팀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를 비롯한 블록체인 생태계에 신규 유저 및 새로운 글, 양질의 글들이 뛰어들어 오기 위한 계기가 크립토애셋 가격의 상승 외에 다른 것이 되려면 사용자경험의 측면에서든, 문화적 측면에서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측면에서든 무조건 편해야 합니다.

블록체인과 크립토애셋에 대해서 설명하고,
계정, 퍼블릭키, 프라이빗키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마크다운과 태그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팔로우하기 좋은 저자를 추천하고,
포스팅 검색 방법을 설명하고,
권한별 프라이빗키의 차이를 설명하고,
스팀이나 스달의 전송방법을 설명하고,
스팀엔진 마켓 이용방법을 설명하고,
스팀키체인 방법을 설명하고,
스팀 엔진 트라이브 태그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설명해야 할 것도, 반대로 설명을 듣고 공부하고 익숙해져야 할 것도 참 많습니다. 그리고 직접 경험해보니 이를 책이나 포스팅으로 하나씩 잘 정리해놓고 링크를 알려주는 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질문 → 대답 → 질문 → 대답이 반복되면서 모두가 다함께 지쳐가게 됩니다.

마치 안드로이드를 쓰다가 아이폰을 쓰듯이, 처음에는 좀 버벅거리더라도 스스로 익숙해질 수 있게 그렇게 편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4. 내실 있는 개선이 필요한 시기


fix.jpg

몇 년 전부터 암호화폐의 옥석이 가려지는 시기가 오고 있고, 여기서 살아남는 것을 잘 찾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코멘트들이 계속해서 유행해왔는데, 지금이 정말 그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 보상의 페이아웃 기간이라는 특징이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는 사용자들이 정성들여 쓴 글의 유통기한이 짧을 수 밖에 없다는 것으로 연결됩니다.

  • 태그를 통해 트라이브와 연결이 필요하다는 특징이 태그를 무용지물화 하여 독자들의 큐레이팅을 어렵게 한다는 것으로 연결됩니다.

  • 카테고리나 검색/통계 기능이 미비하여 포스팅의 보상이라는 것이 부담감과 상대적 박탈감을 야기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 배워야 할 것은 많고 배울 의지도 충만한데, 초보자들을 위한 일목요연한 가이드나 사용법은 어디서 찾아야 할지 막막합니다.

정말 원론적인 말이지만 이런 것들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신규 유저도 많아지고 다양성이 높아져 그 안에 보석 같은 글들을 찾을 수 있게 될 겁니다. 가즈아를 외치는 선동글, 프로젝트 매니저들의 홍보글,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뉴스를 복붙한 글부터 일단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서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를 유저들이 설명하는 포스팅이 현격히 줄어드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독서실에서 공부하는 것보다 독서실을 가기 위해 공부해야 할 게 더 많지 않다면, 독서실이 북적거리는 날도 좀 더 빠르지 않을까 싶기 때문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 어떻게 해야 좋은 글들이 많아질까?’

스팀레오(STEEM LEO) 2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레오 보팅풀(@union.leo)에서 2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진행이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1. 리워드 배분 안내


rewards.png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7월 21일 ~ 7월 27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547.201 LEO
  • 배분액 : 547.201 LEO

#2.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list.png

기존 리스트와 큰 차이는 없으며 임대 회수자 및 신규 임대자 명단 반영이 있었습니다.

3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시에는 위의 표의 배분율에 따라 배분이 진행되며, 8월 4일(일)에 3차 배분이 진행될 예정임을 안내드립니다.

혹시라도 신규 또는 추가로 LEO토큰을 임대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보팅계정(@union.leo)에 임대 후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단, 중도에 신규임대 또는 임대수량 추가 시에는 1주일에 한 번 큐레이션 배분 정산 시점부터 리스트 업데이트가 되므로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NOTE] Union.leo is private curating group for Korea community. We are not officially affiliated with Steemleo.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레오(STEEM LEO) 2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PALKR] 큐레이팅 리워드 3차 배분 및 임대리스트 업데이트 완료 안내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큐레이팅 리워드 3차 배분이 다음과 같이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1. 리워드 배분 안내


rewards.png

  • 배분대상 : 당초 환산 보팅가중치가 100%를 초과한 임대자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7월 22일 ~ 7월 27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199.409 PAL
  • 배분액 : 199.409 PAL

#2. 보팅지원 및 큐레이션 배분 리스트 업데이트


list.png

임대량 집계 및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대상 리스트를 위와 같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임대자 및 임대수량 집계 및 대조까지 완료하였으나, 혹시라도 누락되었거나 수정이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총 임대수량 : 32132.252 PAL
  • 임대자 : 21명

보팅계정(@doingkim)에 PAL토큰을 임대해주신 분들은 모두 오토보팅 화이트리스트로 등록이 되어 있으므로, #palnet태그를 사용하여 포스팅을 업로드 해주시면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보팅지원 : 1일 2회 이내 / 1주일 7회 이내 100% 풀보팅

    1일 1회 지원을 원칙으로 하나, 1일 1회 포스팅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위와 같이 세팅하였습니다

  • 보팅계정의 보팅파워가 7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보팅 일시정지
  • #palnet태그를 사용한 포스팅이 어려운 경우, 보팅지원 대신 큐레이션 수익 배분만 신청 가능

PALKR보팅계정에 PAL토큰을 신규 또는 추가로 임대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언제든지 임대 후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원하시는 때부터 언제든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더불어, 큐레이션 수익 4차 배분은 8월 4일(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임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PALKR] 큐레이팅 리워드 3차 배분 및 임대리스트 업데이트 완료 안내’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