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자 가이드] 토큰 클레임과 스테이킹 간편하게 하기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 엔진 트라이브를 사용하시면서 혹시 토큰 클레임과 스테이킹은 어디서 하고 계신가요?

아마도 보통은 스팀엔진 월렛에 접속하여 진행을 하실 것 같은데, 생각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툴이 있습니다. 오늘은 블록체인스튜디오(@blockchainstudio)님께서 만드신 스캇 보팅파워 툴(STEEM SCOT Voting Power)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스캇 보팅파워 툴이란?


votepower1.png

아마도 웬만한 분들은 내 계정의 특정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서의 스캇 보팅파워는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 번쯤은 접속해보셨을만한 위의 툴이 스캇 보팅파워 툴입니다.

각 스팀 엔진 트라이브들의 보팅파워 소비량과 회복속도 등이 제각각인 관계로 일반적으로 스캇 보팅파워(SCOT Voting Power)를 확인하기 위해 접속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은 그 안에 굉장히 이용하기 편리한 기능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2. 토큰 스테이킹하기


votepower2.png

내 계정에 해당 트라이브 토큰의 잔고가 있는 경우 Balance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팝업창에서 Stak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votepower3.png

위와 같이 스팀키체인 팝업창이 나타나면, CONFIRM을 클릭하여 토큰을 스테이킹 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토큰의 스테이킹 시에는 액티브(active) 키를 사용합니다

스팀엔진 월렛에서는 스테이킹하고자 하는 수량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반면에 스캇 보팅파워 툴에서는 잔액 전체가 기본적으로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클릭만으로 스테이킹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토큰 클레임하기


votepower4.png

내 계정에 클레임할 토큰의 잔액이 있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Claimable 란에 잔액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votepower5.png

위와 같이 스팀키체인 확인창이 나타나면 CONFIRM을 클릭하여 토큰을 클레임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토큰의 클레임 시에는 포스팅(posting) 키를 사용합니다

#3.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 보팅가중치 구분 설정


일전에 [가이드] SCOTBOT과 STEEMIT의 보팅가중치(vote weight)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는 포스팅을 통해 스티밋과 스팀 엔진 트라이브에서의 보팅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이른바 보팅 배율(vote multiplier)를 설정하여 스티밋에서의 보팅파워 x @배로 보팅이 들어가도록 정해놓는 방식인데, @blockchainstudio님의 스캇 보팅파워툴을 사용하면 보다 간편하게 세팅을 하실 수 있습니다.

votepower6.png

① 오른쪽 하단에 보이는 Vote weight multiplier를 클릭합니다. 그 다음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나면 스팀파워의 보팅가중치 대비 몇 배로 해당 스팀엔진 트라이브에서 보팅이 되도록 할 것인지를 세팅할 수 있습니다.

스티밋에서의 보팅파워 대비 2배로 SCT보팅이 되도록 설정하려면 숫자 2를 입력한 뒤에 Change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와 반대로 1/2로 SCT보팅이 되도록 설정하려면 0.5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votepower7.png

② 숫자 입력 후 Change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스팀키체인 팝업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CONFIRM을 클릭하시면 세팅이 완료됩니다.

참고적으로 멀티플라이어 설정 시에는 포스팅(posting) 키를 사용합니다

#4. 토큰 자동클레임 설정하기


매번 클레임되지 않은 토큰들을 일일이 클레임하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지는 경우에는 블록체인스튜디오님의 스캇오토(SCOTAUTO) 서비스를 신청하여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otepower10.png

①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에 계정명을 입력하고 Authorize를 클릭해주세요

steemconnect.png

혹시라도 모바일을 이용하시는 경우라면 스팀커넥트를 통해서도 권한 승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authorize.png

②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나면 CONFIRM을 클릭해서 승인을 해주세요

③ 그다음 블록체인 스튜디오님의 포스팅(https://steemit.com/@blockchainstudio/scotauto)에 접속하신 뒤에 댓글로 스팀오토 신청을 완료했다는 댓글을 남겨주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다만, 스팀오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리소스크레딧(RC)이 소진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RC(스팀파워)가 없는 경우 주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votepower8.png

마지막으로 스캇 보팅파워 툴 화면 하단에 보면 스팀키체인을 사용한 도네이션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도네이션은 STEEM, SBD, STEEMP, SCT로 가능하며 간단한 클릭만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votepower9.png

이렇게 간단히 클릭만 해주면,

donation.png

좋은 툴을 만들어 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조금이나마 전달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중급자 가이드] 토큰 클레임과 스테이킹 간편하게 하기’

[SCT UNION] 보팅자동화 설정(테스트 버전) 안내 및 홍보소각글 태그사용 요청 등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8월 1일부터 우대보팅 정책이 변경됨과 동시에 스판유니언 운영계정의 조합원 대상 홍보소각글에 대한 보팅자동화 설정이 시작되었습니다.

#1. 조합원 및 임대현황


vote.png

8월 2일 0시 기준으로 각 조합원별 임대량 현황 및 우대보팅 지원 가중치는 위의 표와 같습니다. 혹시라도 확인 후 이상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 자동보팅을 위한 태그사용 요청


이제부터는 150 SCT 이상 홍보소각을 하고자 하는 포스팅에 #union 태그를 사용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가급적 포스팅 작성 시에 태그의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하였으나 부득이하게 태그 식별을 통해 자동보팅이 지원되는 점에 대해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현재의 보팅자동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테스트 버전으로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통해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며,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보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정상적으로 소각을 하고 #union 태그를 사용하였으나 4시간 이상 보팅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제 최근 포스팅(어떤 포스팅이든 관계 없습니다)에 댓글을 남겨주시거나 아래의 채널을 통해 연락을 주시면 빠른 처리가 가능하오니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 입장하기
  • 텔레그램 개인채팅 : @donekim

보다 완성도 높은 보팅자동화 및 분배자동화 시스템은 추후 진행상황에 대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기타 안내사항


UNION토큰의 8월 에어드랍을 위한 스냅샷은 위의 표와 같이 진행이 되었으며, 8월 중에 임대수량을 추가하시는 분들은 n/31로 일할하여 산정이 될 예정입니다. 더불어 토큰 에어드랍은 9월 1일에 진행될 예정이오니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list.png

지난 1달 동안 스판유니언 조합의 SCT보팅파워가 10만을 돌파하였습니다. 믿고 임대해주신 모든 조합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donekim, @sonki999.sct, @sct.han, @isaaclab, @deer3, @jayplayco, @zzings, @dakeshi, @seraphim502, @hyokhyok, @tradingideas, @influencer07, @storysharing, @skt1, @nexgen, @naha, @vip, @lovelyyeon.sct, @feelsogood.cur, @ssonagee, @new-jersey, @isi3.sct, @floridasnail, @kingbit, @kibumh, @parisfoodhunter, @walktoheaven, @pediatrics, @buchheim, @matildah, @happyberrysboy, @chocolate1st, @goodhello, @leeyh2, @fenrir78, @ukk, @innovit, @annvely, @fur2002ks

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보팅자동화 설정(테스트 버전) 안내 및 홍보소각글 태그사용 요청 등’

[EOS Inside] 빗썸에서 이오스 메인넷 BP후보 투표 지원을 시작합니다

done proxy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오늘 빗썸에서 이오스 메인넷 생태계에 정말 커다란 변화를 예고하는 꽤나 중요한 공지사항 발표가 있었습니다.

다운로드.jpeg

원문 출처 :빗썸의 EOS BP 투표 참여에 대한 안내

이미 빗썸 거래소의 자체 보유분을 브락피어스 프록시계정에 약 500만 개의 EOS 투표권을 위임한 바 있었는데, 이번의 공지는 이오스 BP 거버넌스에 꽤나 큰 터닝포인트로 작용할만한 임팩트있는 발표입니다.

Screenshot_20190801-191228~2.png

일단 이용약관이 개정되어 빗썸 거래소 내에 이오스를 보유 중인 토큰 홀더들도 BP 투표에 참여가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이 수량은 기존 빗썸 자체보유분의 10배 정도에 달하는 5,0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Screenshot_20190801-191137~2.png
Screenshot_20190801-191159~2.png

개인 계정의 사용법이 어렵거나 프라이빗키 탈취 및 해킹 등이 우려되어 장기 투자를 계획 중이나 투표에 참여할 수 없었던 모든 토큰 홀더들은 이제 빗썸에서 간단한 이용야관 동의 절차 후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스테이킹 및 투표 참여에 따른 REX수익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Screenshot_20190801-191635~2.png

빗썸의 이와 같은 행보는 다른 국내 거래소들도 거버넌스참여 기능을 도입하고 유저들(토큰 홀더들)에게 선택의 옵션을 주는 시작점이자 터닝포인트되지 않을까 기대가됩니다.

현재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액티브BP들은 이오스 메인넷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에는 아무런 기여도 하고 있지 않은 상위 BP들, 마이닝이라는 이름으로 투표권 매수를 공공연하게 하고 있었던 중국계 거래소 BP들이 독식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제부터는 생태계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며 가치를 만들어나가는 BP들이 그에 합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질 수 있으니까요

부디 빗썸의 이번 결정이 좋은 방향으로의 트리거가 되어주길 바라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빗썸에서 이오스 메인넷 BP후보 투표 지원을 시작합니다’

[공지] 1% 보유홀더에 대한 베네피셔리 수령액 분배 완료 안내

unionsct logo.png

안녕하세요 스판유니언입니다. 금일 스판운영진으로부터 지급된 1% 상위보유 홀더에 대한 베네피셔리 수령액이 다음과 같이 분배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참고적으로 베네피셔리 분배액은 별도의 소수점이하 절사 후 배분을 진행하지 않고 전액을 배분하였음을 안내드립니다)

분배 완료 후 스판유니언 운영계정(@union.sct)계정의 RC가 바닥난 관계로 개인계정으로 공지를 대신합니다.

  • [참고] 스판운영팀 공지

list.png

  • 베네피셔리 수령액 : 1537.79 SCT
rewards.png
  • 홀더별 배분액

홀더리워즈.png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공지] 1% 보유홀더에 대한 베네피셔리 수령액 분배 완료 안내’

[초보자 가이드] 모바일에서 로그인하는 방법 + 로그인 에러메시지 해결방법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초보자 가이드 1편에서는 스팀피플을 통해 아이디를 만들고 로그인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1편에서 설명드렸던 스팀키체인이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통해 로그인을 하는 방식은 PC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C보다 모바일을 훨씬 많이 사용하는 요즘 시대에 항상 로그인과 글쓰기, 댓글 달기를 PC에서만 할 수 있다면 굉장히 불편하겠죠?

이번에는 새롭게 생성한 내 아이디를 가지고 모바일에서 로그인을 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리는 방법은 웹페이지에서도 스팀 키체인 없이 로그인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들어가기 전에


error.png

error2.png

아마 회원가입을 하시고 곧바로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에 로그인을 하려고 하셨던 분들은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저 메시지는 “포스팅 키가 아닌 비밀번호로 접속하셨습니다!”라는 일종의 경고(안내)문구인데요, 당황하지 마시오 이 때의 대처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teempeople2.png

우리가 맨 처음에 스팀피플이라는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할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는 비유하자면, 은행에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설정한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 같은 SNS를 사용할 때 매번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는 없겠죠? 오히려 해커들에게 내 비밀번호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회원가입을 하는 동시에 프라이빗키(Private key)라고 불리는 또다른 비밀번호 자동으로 발급받게 됩니다.

  • 내가 입력한 패스워드 : 일종의 마스터 키
  • 프라이빗키 : [안방], [작은방], [다용도방]과 같이 사용 용도가 정해져 있는 비밀번호 (자동으로 발급이 됨)

open.jpg

기억나실지 모르겠지만, 1편에서 아래와 같은 설명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사실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에서 활동을 하시면 암호화 화폐(크립토커런시)를 얻으실 수 있게 되는데 이 자산을 주고 받는데 있어 보안이 중요하다보니 일반적인 SNS와 은행(계좌)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은행의 공인인증서처럼 암호화된 방식으로 로그인을 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보안을 위해서 각각의 활동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별도로 생성을 해주는데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일반적인 SNS를 즐기기 위한 비밀번호 = 포스팅 키(Posting key)라고 부릅니다

글을 쓰거나 댓글을 달거나, 다른 사람의 포스팅에 좋아요를 하는 등 포스팅(Posting)과 관련된 일종의 네이버 카페, 트위터 아이디의 비밀번호 같은 것입니다.

② 내 암호화 화폐(돈)를 주고받을 수 있는 지갑용 비밀번호 = 액티브 키(Active key)라고 부릅니다

내 돈(암호화 화폐)을 주고 받고하는 활동적(Active)인 행위와 관련된 일종의 ATM 비밀번호 같은 것입니다.

그 이외에도 아셔야 할 것들이 있지만, 여기서는 이 정도만 알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자, 이제는 모바일에서 로그인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러 가겠습니다.

#2. 포스팅키를 받아보자


key.jpg

모바일에서 스팀코인판(또는 스티밋)을 즐기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SNS를 즐기기 위한 비밀번호, 즉 포스팅 키(Posting key)를 받아야 합니다.

wallet.png

① 자동으로 생성된 내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사이트(https://steemitwallet.com/)에 접속한 뒤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wallet2.png

②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면, 스팀피플에서 회원가입 시에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wallet3.png

이런 식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wallet4.png

③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뭔가 복잡한 것들이 나타나는데, 일단 다 무시하시고 위에 보이는 권한이라는 글자를 클릭해주세요

wallet5.png

④ 영어로 뭐라고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는데, 나중에 시간이 되시면 천천히 읽어보시는 걸로 하고 여기서는 마우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봅니다

권한(permission)과 아래에 보이는 다른 종류별 키(key)들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wallet6.png

⑤ 여기에 우리가 찾던 포스팅 키(Posting key)라는 문구가 있네요. 저 QR코드 왼쪽에 회색 음영바탕에 숫자 5로 시작하는 영어+숫자 조합이 바로 내가 SNS를 즐기기 위한 포스팅 키라는 비밀번호 입니다.

  • 이 숫자 5로 시작하는 영어+숫자 조합 문구 전체를 전체 선택한 다음에 복사를 해주세요
  • 다시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 로그인 창으로 들어가주세요

#3. 로그인하기


wallet7.png

① 로그인 창에서 이번에는 스팀키체인을 사용하지 않고 로그인을 할 것이기 때문에 Use keychain extension 앞에 보이는 체크박스를 해제합니다

  • 모바일에서도 동일하게 하시면 됩니다

wallet8.png

② 이제 로그인창에 Username(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 Username : 아이디
  • Password of WIF : 방금 위에서 복사한 숫자5로 시작하는 영문+숫자 조합의 포스팅키 붙여넣기

여기서 로그인 시 위의 화면처럼 [로그인 유지]를 클릭하고 로그인을 하면, 다음부터는 별도로 로그인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로그인이 됩니다.

이 방법을 통해서 로그인을 하시고나면, 이제부터는 키체인 크롬 확장프로그램이 없이도 브라우저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이나 웹페이지에서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합니다.

즐겁고 쾌적한 스판 생활이 되시기 바랍니다^^

#4. 주의사항


key2.jpg

  • 포스팅 키(Posting key)는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에서 글을 쓰고, 다른 포스팅에 댓글을 달고, 다른 게시물에 업보팅(좋아요)을 하고, 내가 글쓰기나 큐레이팅(업보팅) 활동을 통해 얻은 토큰을 클레임하는데 사용되는 비밀번호입니다.

  • 해당 포스팅키를 모바일에서 사용하기 위해 복사하여 카톡이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하는 경우, 해킹의 우려가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비록 포스팅키는 포스팅 활동을 할 수 있는 권한만 가지고 있어서 해킹을 통해 유출이 되더라도 내가 활동을 통해 얻은 암호화 화폐(토큰, 돈)을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는 없지만 항상 비밀번호(프라이빗키) 관리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디온의 초보자 가이드 시리즈 다시 보기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초보자 가이드] 모바일에서 로그인하는 방법 + 로그인 에러메시지 해결방법’

[초보자 가이드] 스팀피플을 이용하여 신규 회원가입 및 로그인하는 방법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피플을 이용하여 스팀 계정생성을 하고 스팀코인판에 로그인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회원가입(계정생성 방법)


steempeople1.png

① 스팀피플사이트(https://join.steempeople.com/)에 접속합니다

steempeople1-1.png

② 우측에 보이는 [본인 인증 회원 가입]버튼을 클릭하신 뒤 본인 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완료해주세요

steempeople2.png

③ 스팀코인판(또는 스티밋)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가입 추천을 해준 스팀코인판 유저의 계정명을 입력해주세요

  • 계정명 입력 시에는 @를 제외한 나머지 계정명을 입력해주세요
  • [예시] @donekim → (X) / donekim → (O)

steempeople3.png

④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스팀코인판(또는 스티밋)에 회원가입 및 계정생성이 완료된 것입니다.

#2. 로그인방법


방금 생성하신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앞으로의 스팀코인판 활동을 위해 꼭 필요한 스팀키체인을 사용하여 로그인하는 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차차 하나씩 알아나가시면 됩니다.

(1) 사전준비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스팀키체인이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스팀키체인이란 내 계정의 복잡한 프라이빗키를 안전하게 잘 저장해주고 내가 사전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할 수 있는 일종의 은행 공인인증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스팀코인판이나 스티밋에서 활동을 하시면 암호화 화폐(크립토커런시)를 얻으실 수 있게 되는데 이 자산을 주고 받는데 있어 보안이 중요하다보니 일반적인 SNS와 은행(계좌)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은행의 공인인증서처럼 암호화된 방식으로 로그인을 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인증서.png

자 그러면, 스팀키체인을 다운로드 받아보겠습니다.

keychain1.png

① 다운로드 사이트 (https://github.com/MattyIce/steem-keychain)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keychain2.png

② 마우스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팀키체인 로고도 보이네요. 사용 중이신 브라우저에 맞는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래에서는 크롬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keychain3.png

③ 위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이 되면 [Chrome에 추가]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keychain4.png

④ 팝업창이 나타나면 [확장 프로그램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keychain5.png

⑤ 잠시 기다리시면 위와 같이 크롬 확장프로그램이 추가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스팀코인판에 로그인하고 활동을 하기 위한 사전준비가 모두 끝났습니다

(2) 계정정보 등록하기

keychain6.png

① 열쇠 모양의 아이콘(여기서는 키체인이라고 부릅니다)을 클릭해주세요. 앞으로 키체인을 오픈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세요

  • NEW PASSWORD : 사용할 비밀번호 입력
  • CONFIRM : 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 재입력

keychain8.png

② 방금 전에 스팀피플에서 가입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스팀키체인에 계정정보를 미리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NAME : 아이디 입력
  • PRIVATE KEY : 비밀번호 입력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IMPORT KEYS]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keychain9.png

③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SAVE]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keychain10.png

④ 이렇게 내 계정 이름이 보이면, 등록이 완료된 것입니다.

#3. 활동 시작하기


조금 복잡하셨을 수도 있겠지만,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이제 스팀코인판에 로그인을 해보겠습니다.

login1.png

① 스팀코인판 사이트(https://www.steemcoinpan.com/)에 접속한 뒤 우측 상단에 보이는 [로그인] 버튼을 클릭 해주세요

login2.png

②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나면 내 아이디를 입력한 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 때 Use keychain extension에 체크박스 표시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주세요

login3.png

③ 이런 팝업창이 나타나면, 체크 박스를 클릭하여 체크표시를 한 뒤에 [CONFIRM]버튼을 클릭해주세요

login4.png

축하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신다면 로그인이 완료된 것입니다 앞으로는 이제 스팀코인판에 접속하실 때마다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없이 스팀키체인에 비밀번호만 입력하시면 끝납니다.

이제 글쓰기와 팔로우를 통해 다른 분들과 소통을 시작해보시죠^^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초보자 가이드] 스팀피플을 이용하여 신규 회원가입 및 로그인하는 방법’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