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립스팀] 토큰 프리세일 및 스팀 엔진 트라이브 출격 준비 완료!

tripsteem.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7월 26일(월) 부터 10일간 진행되었던 트립스팀의 TMT토큰 프리세일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구분 계정명 참여액 비율
1 @rbaggo 50 0.16%
2 @junty1004 100 0.32%
3 @realprince 100 0.32%
4 @tradingideas 100 0.32%
5 @stylegold 152.283 0.49%
6 @parisfoodhunter 200 0.65%
7 @pediatrics 200 0.65%
8 @sinner264 300 0.97%
9 @suddenly12 400 1.30%
10 @sunny1124 400 1.30%
11 @jungjunghoon 600 1.94%
12 @hodolbak 1000 3.24%
13 @hyokhyok 1000 3.24%
14 @isi3 1000 3.24%
15 @jayplayco 1000 3.24%
16 @kibumh 1000 3.24%
17 @nexgen 1000 3.24%
18 @parkname 1000 3.24%
19 @sklara 1000 3.24%
20 @storysharing 1000 3.24%
21 @sbdtothemoon 1100 3.57%
22 @donekim 3150 10.21%
23 @june0620 5000 16.21%
24 @newiz 5000 16.21%
25 @viance 5000 16.21%
합계 30852.283 100.00%

TMT3.png

트립스팀 운영진에서 공식적인 발표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프리세일 결과가 궁금하여 집계해 본 결과 총 프리세일에 배정되었던 40,000 STEEM 중 약 75% 정도에 해당하는 30,852.283 STEEM 만큼의 수량이 판매가 완료된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집계한 수치임으로 실제 수치와는 조금 상이할 수도 있음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리세일 시작 초기에는 굉장히 빠르게 참여가 진행되어 프리세일 마감일 전에 빠르게 완판이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되기도 했는데, 알려진 정보가 조금 부족했다는 점, 그리고 프리세일 참여보다는 스팀파워 임대가 조금 더 안정적이고 괜찮은 ROI를 줄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 등으로 인해 완판이 되지 못한 것이 아닐지 조금 아쉽네요.

TMT2.png

아직 트립스팀에서 TMT토큰을 어떤 방식으로 발행 및 유통하고, 거래소에 상장을 시킬 것인지에 대한 자세한 계획이 공개된 것은 아니지만, 1차적으로는 스팀 엔진 트라이브의 형태로 운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TMT.png

이미 트립스팀에서는 신규 유저의 회원가입을 위한 온보딩 시스템과 니트로스 인스턴스에 대한 구축이 모두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TMT토큰만 얹으면 곧바로 작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말 머지 않은 시기에 국내 커뮤니티 기반의 4번째 스팀 엔진 트라이브를 만나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가 되네요.

이미 트립스팀 계정에 임대를 통해 TMT토큰을 많이 적립해놓으신 분들도 꽤 있으시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꾸준한 임대와 주기적 매입을 통해 TMT토큰 수량을 늘려나가고, 트립스팀에서는 저자보다는 큐레이터로서 좋은 여행 에세이와 후기들을 소비하는 독자이자 서포터로서 활동하는 소박한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행 에세이와 후기를 쓰는 것에는 영 재주가 없는 편이지만, 부지런하고 괜찮은 독자는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요즘, 트립스팀에 올라오는 각양각색의 여름휴가 정보를 빨리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트립스팀 화이팅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트립스팀] 토큰 프리세일 및 스팀 엔진 트라이브 출격 준비 완료!’

[PALKR] 큐레이팅 리워드 4차 배분 및 임대리스트 업데이트 완료 안내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큐레이팅 리워드 4차 배분이 다음과 같이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1. 리워드 배분 안내


rewards.png

  • 배분대상 : 당초 환산 보팅가중치가 100%를 초과한 임대자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7월 28일 ~ 8월 3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212.589 PAL
  • 배분액 : 212.589 PAL

#2. 보팅지원 및 큐레이션 배분 리스트 업데이트


list.png

임대량 집계 및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대상 리스트를 위와 같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임대자 및 임대수량 집계 및 대조까지 완료하였으나, 혹시라도 누락되었거나 수정이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총 임대수량 : 33,484.105 PAL
  • 임대자 : 22명

보팅계정(@doingkim)에 PAL토큰을 임대해주신 분들은 모두 오토보팅 화이트리스트로 등록이 되어 있으므로, #palnet태그를 사용하여 포스팅을 업로드 해주시면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보팅지원 : 1일 2회 이내 / 1주일 7회 이내 100% 풀보팅

    1일 1회 지원을 원칙으로 하나, 1일 1회 포스팅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위와 같이 세팅하였습니다

  • 보팅계정의 보팅파워가 7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보팅 일시정지
  • #palnet태그를 사용한 포스팅이 어려운 경우, 보팅지원 대신 큐레이션 수익 배분만 신청 가능

PALKR보팅계정에 PAL토큰을 신규 또는 추가로 임대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언제든지 임대 후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원하시는 때부터 언제든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더불어, 큐레이션 수익 5차 배분은 8월 11일(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임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PALKR] 큐레이팅 리워드 4차 배분 및 임대리스트 업데이트 완료 안내’

스팀레오(STEEM LEO) 3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레오 보팅풀(@union.leo)에서 3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진행이 완료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1. 리워드 배분 안내


rewards.png

  • 큐레이션 기간 : 2019년 7월 28일 ~ 8월 3일
  • 큐레이션 수익 합계 : 592.916 LEO
  • 배분액 : 592.916 LEO

#2.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list.png

현재 기준으로 업데이트된 임대자 및 임대수량은 위의 표와 같으며, 8월 11일(일)에 4차 배분이 진행될 예정임을 안내드립니다.

혹시라도 신규 또는 추가로 LEO토큰을 임대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참여가 가능합니다. 보팅계정(@union.leo)에 임대 후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단, 중도에 신규임대 또는 임대수량 추가 시에는 1주일에 한 번 큐레이션 배분 정산 시점부터 리스트 업데이트가 되므로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NOTE] Union.leo is private curating group for Korea community. We are not officially affiliated with Steemleo.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레오(STEEM LEO) 3차 큐레이션 리워드 배분 및 리스트 업데이트 안내’

[명성 70 달성] 스티밋에서의 600일, 스팀코인판에서의 80일,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Steemit donekim.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오래간만에 예전에 쓰던 썸네일을 사용해봅니다.

지금은 스티밋을 떠나계시지만 한 때 많은 스티미언들의 썸네일과 스티밋 관련 잇템들을 제작해주시던 코이(@designkoi)님께서 만들어주셔서 정말 애착을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제 포스팅의 첫머리로 사용해오던 썸네일을 꺼내들어 봤습니다.

# 70명성을 달성했습니다


70.png

스티미언으로서의 블록체인 기반 소셜 라이프를 시작한지 약 600일, 그리고 스팀코인판에서의 80일 동안 부지런히 그리고 끈질기게 글쓰기 활동을 하다보니 저도 모르는 사이 어느덧 명성 70을 달성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같이 칠순을 맞이한 찡쓰님(@zzings)도 축하드립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굉장히 긴 시간동안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SNS라는 곳에서 활동을 하며 많은 분들을 떠나보내기도 했고, 많은 분들을 만나 뵙기도 하며 정말 재미있게 소통하고 부지런히 공부와 글쓰기에 집중해왔던 시간과 기록들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는 숫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되돌아보면 많은 분들께서 저를 블록체인 업계에 전업으로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오해를 하실 정도로, 정말 징하고 끈질기게 글을 써왔던 것 같습니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랬었는지 모르겠고, 처음부터 다시 해보라면 못할 것 같은데 도대체 무슨 생각과 정신으로 그래왔는지 참 스스로도 신기하네요.

# 스티밋에서의 1막 1장


main deonkim eos.png

가장 많은 분들이 저의 상징처럼 기억해주시는 썸네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2018년 하반기에 불어닥친 크립토씬의 엄청난 베어마켓 분위기 속에서도 기술적으로 정말 빠르게 성장하는 이오스를 보고 배우며 공부하고 이와 관련된 지식을 많은 분들과 공유하려고 애썼던 덕분에 스티밋에서의 포스팅을 지속할 수 있었고 정말 신기하고 즐거운 경험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께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나름의 뿌듯함과 책임감을 느끼며 노력에 대한 보상과는 상관없이 정말 열심히 활동해왔었고 정말 개인적인 흥미와 재미가 없었다면 이렇게까지 꾸준히 활동을 하지는 못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관심을 가지고 봐주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사실 최근에는 이오스 관련 포스팅 휴식기를 가지고 있는 중입니다. 어디에다가 딱히 털어놓거나 하소연할만한 내용이 되지 못해 구체적인 내용까지 공개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몇몇 몰상식한 언행을 일삼는 분들과 저를 힘 빠지게 만들었던 몇 가지 일들이 계기가 되어 개인적으로 조금은 내려놓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지만 그 동안의 제 꾸준한 활동을 믿고 기꺼이 투표권을 위임해주신 분들도 계시고 이제 충분히 쉰 것 같으니, 다시 정신차리고 천천히 좋은 콘텐츠들을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해봐야겠습니다.

# 스팀코인판에서의 2막 1장


sct logo_modified.png

지난 5월 스팀코인판이 등장한 이후 정말 감사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요즘입니다. 스티미언으로 활동해왔던 1년 반 동안의 시간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었지만, 스파니언으로 활동하고 있는 3개월 동안에는 정말 많은 분들께서 분에 넘치는 관심을 주시고 응원을 해주시니 정말 스팀코인판이라는 존재가 저에게 있어 터닝포인트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함께 소통해주시고 꾸준히 응원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스티밋과 스팀코인판에는 오랜시간 동안 크립토씬에서 실전 경험을 쌓고, 많은 고민을 하셨던 분들로 가득차 있다는 것이 다른 일반적인 크립토 관련 커뮤니티와 구분되는 대표적인 차별점이자 경쟁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계정 생성 이라는 진입장벽을 비롯해 시스템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지만, 어디에서도 쉽게 찾을 수 없는 좋은 저자들과 경력자들이 퀄리티 높은 양질의 콘텐츠들을 만들어 내는 공간이기에 앞으로 당면하는 문제들은 구성원들이 함께 잘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스티밋, 스팀코인판, 트리플에이, 스팀짱 모두가 좋은 사람들이 가득한 구관이자 새로운 시도가 계속되는 변화무쌍한 명관이 되어 대표적인 커뮤니티들이 되어줄거라 믿습니다.

앞으로 남아 있는 무궁무진한 시간들 속에서도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명성 70 달성] 스티밋에서의 600일, 스팀코인판에서의 80일,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초보자 가이드] 마크다운(Markdown) 사용하기 (기초 문법 사용법 안내)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번의 초보자 가이드에 이어 이번에는 마크다운 사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안내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리는 마크다운 기초문법에 익숙해지시면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에서 글을 쓸때 에디터나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기 좋은 글, 읽기 좋은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마크다운을 처음 사용해 보시는 경우라면 처음에는 오히려 에디터보다 불편하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자연스럽게 손에 익을 수 있도록 계속해서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속도가 이전에 비해 훨씬 빨라지는 놀라운 체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markdown.png

#1. 글자 크기 조정하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2
3
4
5
6
# 글자 크기(H1)
## 글자 크기(H2)
### 글자 크기(H3)
#### 글자 크기(H4)
##### 글자 크기(H5)
###### 글자 크기(H6)

② 출력되는 화면

글자 크기(H1)

글자 크기(H2)

글자 크기(H3)

글자 크기(H4)

글자 크기(H5)
글자 크기(H6)

#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글자 크기가 줄어들며, H1부터 H6까지만 지원합니다.

#2. 글자 강조하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2
3
4
- 두껍게 하기 : **강조**
- 기울이기 :*기울이기*
- 지움표시 : ~~지움표시~~
- 음영강조 : `음영 강조`

② 출력되는 화면

  • 두껍게 하기 : 강조
  • 기울이기 :기울이기
  • 지움표시 : 지움표시
  • 음영강조 : 음영 강조

#3. 글머리 기호 및 인용구 입력 등


(1) 순서가 있는 글머리 기호 만들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2
3
1. 첫 번째 목록 구분
1. 두 번째 목록 구분
1. 세 번째 목록 구분

② 출력되는 화면

  1. 첫 번째 목록 구분
  2. 두 번째 목록 구분
  3. 세 번째 목록 구분

위와 같이 1. 을 세 번 사용한 이유는 굳이 1. 2. 3. 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오름차 순으로 목록이 정렬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1. 2. 3. 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2) 순서가 없는 글머리 기호 만들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2
3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1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2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3

② 출력되는 화면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1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2
  • 순서 없는 글머리 기호 3

위에서 보이는 어떤 기호를 입력해도 동일하게 순서없는 글머리 기호가 메겨집니다

(3) 인용문 쓰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 출처 : https://www.steemcoinpan.com/@donekim

② 출력되는 화면

출처 : https://www.steemcoinpan.com/@donekim

#(4) 문단 나누기 줄 입력하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2
--- 
***

② 출력되는 화면



(4) 바로가기 링크 입력하기

① 입력하는 방법

1
- [스팀코인판 바로가기 링크](https://www.steemcoinpan.com)

② 출력되는 화면


지금까지 살펴본 것들이 마크다운으로 사용가능한 아주 기본적인 문법들입니다. 기본 문법의 경우 생각보다 종류가 많지않고, 용도가 정해져 있다보니 며칠만 사용하시다가 보면 금방 손에 익어서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혹시라도 이 외에

이미지나 글자를 가운데에 정렬하거나

윗첨자 또는 아래첨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크다운이 아닌 HTML을 사용해야 하는데, 일단은 마크다운만 사용하셔도 충분히 읽기 편한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먼저 마크다운부터 손에 익을 수 있게 사용을 하신 다음에 HTML을 공부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디온의 초보자 가이드 시리즈 다시 보기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초보자 가이드] 마크다운(Markdown) 사용하기 (기초 문법 사용법 안내)’

[초보자 가이드] 가입인사 및 글쓰기 방법 기초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초보자 가이드 1편과 2편에서는 스팀피플을 통해 아이디를 만들고 웹브라우저 또는 모바일에서 로그인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일반적인 포털사이트나 SNS에 비해서 조금은 복잡하고 까다롭게(?) 느껴지셨을 수도 있지만 천천히 익숙해지시며 금방 적응해나가실 수 있을거라 믿습니다.

이제 오늘은 스팀코인판과 스티밋에서 가입인사를 남기고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드리는 내용은 아주 주관적인 저만의 기준이므로 그냥 참고 정도의 용도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가입인사 하기


hello.jpg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네이버나 다음 카페에서는 카페운영진들이 나름의 활동방침을 정하고 처음 가입하신 분들에게 등급업을 위한 활동방법에 대한 공지를 해줍니다. 그래서 보통은 카페에 가입을 하고 난 뒤에 가장 상단에 있는 공지사항을 읽고 해당 양식에 맞춰 가입인사를 하게 되는데,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은 딱히 이런 공지가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Hello, stranger 또는 Hello World! 같은 짤막한 인사를 해야하는지, 아니면 자기소개를 해야되는지 조금 막막하실 수 있고, 태그라는 건 뭘 써야 되는지도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딱 이런 막막함을 느꼈었습니다..ㅎㅎㅎ)

writing.png

실제로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에는 누군가가 정해준 양식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아주 단순하게 ①제목 / ②본문 / ③태그 이렇게 3가지만 입력하고 글쓰기 버튼을 클릭만 하면 되고, 굳이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소개할 필요는 없습니다.
굳이 SNS를 하면서 이름, 나이, 사는 곳, 직업 등과 같은 소중한 신상정보(?)를 밝힐 필요까지는 없겠죠^^

다만, 현재 스티밋과 스팀코인판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분께 추천을 받아서 가입을 하셨으면 ①누구의 추천으로 가입했다는 것②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정도에 대해서 소개를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기존에 활동 중이었던 분과 친분이 있는 분들이 더 친근하게 다가와서 팔로우하기도 좋고, 관심이 있는 주제나 테마에 대해서 좋은 콘텐츠를 만들고 계시는 저자들을 소개 및 추천해드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tag.png

태그는 #sct, #sct-freeboard, #zzan 정도를 사용하시면 되는데, 직접 입력하실 필요없이 위의 화면에서 보이는 태그를 순서대로 클릭만 하시면 됩니다.

각 태그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떨 때 써야되는지에 대한 커뮤니티의 암묵적인 합의에 대해서는 차차 익숙해지시면 됩니다.

#2. 글쓰기 방법


smarteditor.png

일반적으로 우리들은 위와 같은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곳에서 지원해주는 스마트 에디터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글꼴이나 크기도 자유롭게 바꾸고, 강조하고 싶은 문구를 굵게 표시하거나, 이미지를 삽입하는데 있어 스마트 에디터만큼 편하게 느껴지는 것도 없습니다.

writing.png

그래서 스팀코인판에서 글쓰기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약간의 딱딱하고 아무것도 없는 화면은 더욱 낯선 느낌을 주는데요, 이럴 때는 오른쪽 위에 보이는 에디터라는 글자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editor.png

그러면 위와 같이 내 글을 조금 더 예쁘게 꾸밀 수 있는 익숙한 툴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고 이를 사용해서 기존에 네이버나 다음에서 글을 쓰듯이 내 글을 편집하시면 됩니다.

#3. 한 발 더 나아가기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에서도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위에서 소개드렸지만, 현재 이 곳에서 글쓰기 활동을 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실제로 에디터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지 않습니다. 저도 글 작성 시에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구요. (지금 보고계시는 포스팅의 경우에도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름 글자들의 크기나 굵기도 다르고 중간중간에 이미지가 들어가 있는 것은 바로 마크다운(Markdown)이라는 것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마크다운이 뭘까요?

markdown.png

마크다운(markdown)이란 2004년 존그루버가 만든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언어로 사용이 간편하고 HTML로의 변환기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에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있는 에디터의 경우에는 단축기를 사용하거나 마우스를 사용하여 드래그를 하고 클릭을 하며 편집을 하는 방식이라면, 마크다운의 경우에는 미리 약속되어 있는 기호를 키보드로 입력하여 편집을 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요약하자면, 글을 쓰시면서 전혀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꾸미기가 가능합니다.

마크다운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특수문자 입력 등을 통해 간결하게 글쓰기가 가능
  • 별도의 도구없이도 작성이 가능
  •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플랫폼이 다양
  • 텍스트로 저장되기 때문에 용량이 적어 보관이 용이

다만 단점이 있다면, 입문자들의 경우 문법(사용법)을 공부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에디터나 모든 HTML마크업을 대신하지는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익숙해질 때까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긴 하지만, 어느 정도 익숙해지시고 나면 확실히 글쓰기 속도가 빨라지고 편리하다는 것을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이 다채롭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 글을 읽기 좋게 직관적으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정말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크다운의 사용법은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시면 충분히 많은 정보들이 있기는 하지만, 다음편에서 간략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온의 초보자 가이드 시리즈 다시 보기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초보자 가이드] 가입인사 및 글쓰기 방법 기초’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