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of of Services]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후기 - 2편

photo_2019-09-06_21-49-32.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지는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후기 2탄입니다.

왜 이번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의 슬로건은 서비스 증명일까?

1편에서 잠시 언급했었던 것처럼 2019 UDC의 슬로건인 Proof of Services(서비스 증명)는 블록체인 기술과 크립토애셋 프로젝트들의 현주소를 명확하게 대변해주는 슬로건입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카카오의 2019년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서비스들의 홍보 및 본격적인 런칭을 알리고 싶었던 마음도 옅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즉 탈중앙화, 온체인 거버넌스 등 이념적인 부분에서 탈피하여 디앱(DApp)이 아닌 비앱(BApp)으로서의 서비스 런칭을 준비해왔던 카카오가 일종의 선언문을 발표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입니다.

klaytn.png

luniverse.jpg

헤데라해시그래프, 샘슨 모우 같은 해외 일부 프로젝트 및 연사들의 발표들도 적절하게 섞여 있었으나, 이번 2019 UDC는 2018 UDC와는 달리 스피커들과 부스 운영이 주로 클레이튼, 루니버스 생태계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룸 네트워크, 빗고, OST, NEO, 온톨로지, 에브리피디아, IOHK, Aelf, 메인프레임 등 해외의 주요 프로젝트들의 연사 비중이 높았던 것과는 조금 대조적이었습니다.

계획되어 있던 다음 단계로의 도약

phone.png

UDC의 종료와 발맞추어 카카오(두나무)와 그라운드엑스에서 계획하고 있었던 클레이튼 생태계의 다음 단계로의 도약과 관련된 소식들이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프라이빗키의 보관이나 트랜잭션의 승인 등 블록체인 기술의 복잡한 개념이나 절차들을 철저히 숨긴채로 기존 앱처럼 유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클레이튼의 첫 번째 해법은 삼성 키스토어를 통해 작동되는 전용 폰을 출시하는 것이었고,

token listing.png

두 번째 해법은 KLAY토큰의 해외 거래소 유통을 통해 국내 규제에서는 살짝 비켜나가면서 토큰의 시장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었습니다. 국내 정부 및 규제기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카카오에서 클레이튼의 네이티브 토큰인 KLAY를 곧바로 자신들의 거래소인 업비트나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겁니다.

그래서 그라운드엑스에서는 내부적으로 KLAY토큰을 거래소에 상장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는 뉴스가 나오기도 했었죠. 그러나 이미 해커톤이나 BApp 개발 콘테스트 등에 KLAY토큰을 상금으로 지급하기로 한 이상에, KLAY토큰을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거래되지 않은 비상장 토큰으로만 두는 것은 또 다른 부담이 되었을 것입니다.

photo_2019-09-04_10-32-39.jpg

이번의 Proof of Services라는 슬로건에는 in Klaytn & Luniverse가 살짝 생략되어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은 인상을 받았었는데, 후속적으로 전해지는 소식들은 이런 개인적인 인상에 확실한 증거를 주고 있네요.

2019년 하반기부터 글로벌 마켓에서까지 큰 관심을 모으게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국내에서 만큼은 클레이튼과 루니버스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들로 정말 시끌벅적할 것 같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Proof of Services]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후기 - 2편’

[Proof of Services]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후기 - 1편

photo_2019-09-05_00-27-07.jpg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Upbit Developer Conference)는 개발자들의 지식 공유와 자유로운 토론, 네트워킹에 도움이 되는 개발자 중심의 컨퍼런스답게, 한자리에 모인 개발자들이 진정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의 고민을 나누는 곳이 주가 되는 곳이었습니다.

투자나 특정 프로젝트의 동향, 디앱의 체험 등을 기대하는 사용자 및 소비자나 투자자에게는 꽤나 진부하거나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곳인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 2019 UDC의 슬로건인 Proof of Services(서비스 증명)는 어쩌면 블록체인 기술과 크립토애셋 프로젝트들의 현주소를 명확하게 대변해주는 슬로건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2019년은 개발자들에게 있어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작업을 완료하고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며 수많은 사용자들을 만날 준비를 하는 해가 될 것이고, 소비자 또는 투자자들은 기존의 산업에서 애써 외면되었던 데이터나 자산의 주권을 사용자에게 찾아주는 서비스 그리고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와 매스 어답션에 성공할 서비스를 찾는 해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photo_2019-09-05_00-27-13.jpg

개인적인 아쉬움이 있다면, 하락장이 시작되었던 작년보다 올해에 사람들의 관심이나 기대치가 훨씬 떨어져 있다는 점, 그리고 클레이튼이나 람다 생태계에 진입하려는 디앱사들의 스피치는 굉장히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렀다는 점이었습니다.

플랫폼 경쟁이 시작된 지금 어쩌면 너도나도 플랫폼을 만들기 바쁘고, 시장선점을 위한 무한경쟁은 너무도 당연한 현상일 수 밖에 없지만 큰 차별점 없이 유사한 플랫폼들, 동일한 방식의 BM을 가진 중첩된 프로젝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상대 플랫폼과 디앱의 단점을 지적하며 자신의 차별점과 창립 철학을 내세우기 바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과연 이 플랫폼과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필요한가?

이들이 만들고자 하는 것이 세상에 없는 것인가?

이런 의문을 가지고 들어보면, 많은 고급인력들의 불필요한 경쟁으로 인한 에너지나 재원 낭비가 심각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사실 이제는 플랫폼 개발에 그리 욕심을 부릴 필요가 없는 시기에 진입했다고 생각합니다. EOS, STEEM, TRON, IOST 등 이미 잘 작동하고 있고 쓸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들의 옵션은 다양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업들의 관행처럼 자신들의 입맛에 따라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자체적인 플랫폼이 필요하기에 이런 인력낭비 및 시간 낭비가 지속되고 있고, 그렇게 보다 잘 정제된 서비스의 출시는 지연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까지는 컨센서스 모델, 탈중앙화, 투명성, 검열저항성 등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경쟁이 이루어져 왔다면, 이제는 생태계 참여자 확보의 싸움이 시작될 것인데 이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블록체인이나 크립토애셋 마켓에 우리들이 소위 말하는 “분위기 전환”이나 “지금까지와 다른 호재”는 결국 사용자들에게 재미를 주고, 사용자들이 애착을 가지게 할만한 욕구를 정확하게 충족시켜주는 Proof of Services가 등장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야만 다음 단계(Next Level)로의 도약이 있을 것이고, 이를 위한 엔진이라고 할 수 있는 생태계 참여자들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UI/UX 그리고 토큰 이코노미의 싸움은 정말 치열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UDC에서는 별도로 손을 들 필요 없이 온라인으로 질문을 입력하여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점이 참 좋았던 동시에, 질문에 정확히 답변하지 못하고 겉돌거나, 아직도 고민 중이라는 답변들을 하는 CEO들의 모습은 꽤나 실망스러웠습니다.

사용자들이 많아졌을 때라는 전제를 두고 청사진을 그리는 서비스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성공하지 못하는 비즈니스는 없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 상황을 해결하려는 고민보다는, 맹목적인 청사진만 그리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있어서 참 안타까웠습니다.

덕분에 몇 개는 손절을 하더라도 반드시 포트폴리오에서 조만간 정리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네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Proof of Services]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후기 - 1편’

[EOS Inside] 우리가 EOS에 베팅을 한 이유 (by DApplica)

dapplica.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 및 크립토커런시 산업에서 프로젝트 구축 및 개발 대행을 하고 있는 댑플리카(DApplica)가 왜 이더리움 대신 이오스를 선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밝힌 아티클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원문 링크 : Why our bet is on EOS?

우리가 EOS에 베팅을 한 이유


eosio ethereum.jpeg

디앱 개발자로서 우리의 주된 관심은 바로 “고객 만족”입니다. 고객들은 언제나 ①높은 퀄리티와 ②빠른 서비스, ③저렴한 가격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이 3가지 요소를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다행히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 중 일부는 제품 개발에 사용된 기술에 있습니다.

우리는 디앱 개발의 길을 걸어가기로 결정하기 전에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모든 옵션과 블록체인 플랫폼을 면밀히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EOSIO 플랫폼을 선택했습니다.

블록체인 플랫폼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의 선구자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으로 디앱 개발의 기회를 제공한 최초의 사례였습니다. 그러나 항상 최초가 최고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더리움의 기술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시장에 점점 더 많은 대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이 대안들은 저렴하고 빠르고 편리합니다. 그리고 그 주역은 바로 EOS 블록체인입니다.

EOS는 발표된 이후 “이더리움 킬러”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실제로 엄청난 추진력을 얻으며 최고의 탈중앙화된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치들


수많은 트랜잭션들에 있어서 최고의 리더는 EOS입니다. EOS 메인넷에서 매주 약 4,400만 건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며, 이는 다른 모든 블록체인들의 트랜잭션의 4배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chart1.png

이와 더불어 EOS 플랫폼은 에너지 효율이 높습니다.

chart2.png

EOS는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비트코인의 0.01% 수준입니다. 반면에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약 26% 정도를 사용합니다. 즉, EOS는 이더리움보다 17,236배 더 에너지 효율적입니다.

디앱


chart3.png

사용자 수를 기준으로 TOP 10 디앱 중 5 개가 EOS 블록체인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올해 6월 EOS의 첫 번째 MMO 게임 프로스펙터가 출시되었고, 출시와 동시에 디앱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Prospectors는 처음에 이더리움에서 출시될 계획이었으나, EOS로 기반 플랫폼을 변경하였습니다. (이것이 개발자들이 플랫폼을 마이그레이션한 유일한 사례는 아닙니다)

그렇다면 EOS 플랫폼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개발 언어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에 Solidity 언어를 사용합니다. Solidity는 Ethereum에서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의 고유 언어로, JavaScript와 매우 유사하다는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숙련된 JS 개발자는 Solidity를 이해하는데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이 언어의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개발 과정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개발 과정이 복잡해지고 Ethereum 기반 디앱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반면, EOS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C ++로 작성되었습니다. 개발적인 측면에서 이것은 큰 장점입니다. 이 언어는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왔고, 많은 정보가 있으며 대규모 개발자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C ++에는 거대한 개발 인프라가 있어 개발 프로세스를 크게 단순화하고 속도를 높입니다.

프로토콜


이더리움과 EOS 프로토콜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EOS가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편리한 기능은 바로 계정 및 권한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보안, 사용자 접근 권한 등 보다 복잡한 논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개발 환경 및 도구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출시된지 2년이 넘었기 때문에 현재는 EOSIO보다 이더 리움 디앱 개발을 위한 개발 환경 및 도구가 훨씬 많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2019년초까지 EOSIO를 위한 고품질의 개발 도구는 없었지만 현재 https://www.eosstudio.io/ 와 같은 새로운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이와 같은 사실은, EOS에게는 점점 이점이 생겨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이더리움에게는 심각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료 전송수수료


이더리움에서는 사용자들이 거래를 할 때마다 가스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 수수료는 네트워크를 유지 관리하는 마이너들의 작업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PoW컨센서스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합니다.

EOS는 다른 유형의 합의, 즉 위임된 지분 증명(DPoS)으로 작동합니다.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노드는 연간 인플레이션으로부터 보상을 받습니다. 이를 통해 거래는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사용자에게 더 유익할 것인지는 굳이 논쟁할 필요도 없습니다.

속도


이더리움 네트워크 성능은 초당 약 15-20 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더불어, 사용자가 거래에 대해 지불하는 가스 비용이 적을수록 더 많은 대기 시간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때로는 거래의 확인을 기다리는 데 몇 분 이상이 걸리기도 합니다.

반면, EOS의 경우 네트워크 성능은 최대 4000 TPS로써 이더리움보다 200 배 정도 빠르고, 모든 트랜잭션이 무료입니다. 내 트랜잭션이 처리될 때까지 차례를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거래는 거의 즉시 처리됩니다.

결론


EOS를 사용하면 정말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품으로서의 EOS는 개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여전히 매우 조잡합니다. 블록 체인 개발자, 그리고 블록원의 지속적인 테스트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더리움은 성숙도와 브랜드 인지도 등의 측면에서 EOS에 비해 여전히 앞서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쩌면 일시적인 현상일지도 모릅니다. EOS에는 여러 차별적인 강점들이 있으며, 사실 상 경쟁자인 이더리움을 따라잡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우리가 EOS에 베팅을 한 이유 (by DApplica)’

스팀 프로포절들에 관심과 투표를 부탁드립니다

thumbnail.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하드포크 이후 SPS또는 스팀다오라고 부르는 스팀 작업자 제안제도(Steem Proposal System)가 작동하기 시작했습니다.

budget.png

SPS 운영예산은 벌써 11,909 스팀달러(SBD)정도가 적립이 되었으며, 해당 운영예산을 수령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포절들이 등록되고 있습니다.

프로포절 라인업은 아래의 링크에서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return.png

크게 와닿지 않으실 수도 있으나, 적립된 운영예산은 콘텐츠 크리에이팅 활동을 하는 저자 보상을 감소시킴으로서 재원을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삼삼오오 모아서 적립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작업, 쓸모 없는 작업, 적절하지 않은 금액을 내건 프로포절 등에 대한 커뮤니티의 적절한 동의 또는 비동의 의사를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무관심하게 있다면, 정말 쓸 데 없는 곳으로 소중한 재원들이 낭비될 수 있겠죠)

혹시라도 프로포절 라인업 중에서 운영자금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고 느껴지는 프로포절이 있다면 @gtg의 Return Proposal에 꼭 투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아래의 화면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약 이틀만에 정말 많은 프로포절들이 등록되고 있는 중입니다. 커뮤니티의 참여와 선별이 필요합니다.

sps.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프로포절들에 관심과 투표를 부탁드립니다’

[2019 UDC] 업비트 개발 컨퍼런스에 왔습니다

photo_2019-09-04_10-32-39 (2).jpg.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2019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pbit Developer Conference)에 왔습니다. 날씨도 좋지 않고 크립토마켓 분위기도 침체되어 있고, 생각보다 참여하는 팀들이 많지는 않아서 참가자들이 많지 않으실 것 같았는데 생각보다 꽤 많은 분들이 오셨네요

photo_2019-09-04_10-32-39.jpg

photo_2019-09-04_10-32-40.jpg

photo_2019-09-04_10-32-38.jpg

이번 2019 UDC의 주제는 서비스 증명(Proof of Services)입니다. 아직까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들을 통틀어서 “가상화폐”라고 부르며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것, 도박성이 있는 것으로 치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으나, 이번 UDC의 주제처럼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려는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될 것이며 특히나 블록체인 기술 분야에서 본격적인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hoto_2019-09-04_10-42-38.jpg

현재 송치형 의장님의 웰컴 스피치가 진행 중입니다. UDC에서 새로운 키워드로 Uncertainty / Demonstration / Collaboration를 선정하여 각 키워드 별로 **다자간 이해관계의 조정, 서비스와 토큰 가치의 유지, 가치의 보존/전달/공유 등에 대한 내용과 DeFi, NFT 등의 키워드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발표였습니다.

추가적인 후기는 자유롭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2019 UDC] 업비트 개발 컨퍼런스에 왔습니다’

탈중앙화된 방식의 개발 생태계가 SMT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photo-1473158912295-779ef17fc94b.jpe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약 1.5일간의 스티밋에서의 비자발적인 휴가기간 동안 일상생활에 충실하시며 즐거운 시간들을 보내셨는지 궁금합니다.

Screenshot_20190903-121329~2.png

스팀 블록체인은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으나 아직 스티밋의 퍼블릭 API는 유지보수작업 중인 관계로 노드 변경을 하실 줄 모르는 유저들에게는 스팀 엔진 트라이브가 오아시스 같은 존재가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스티밋만 보면 아직도 스팀 블록체인이 죽어있는 것처럼 보이죠)

역대급으로 스무스한 HF일 줄 알았던 HF21과 HF22는 Heart Failure가 되어 돌아왔습니다. EIP는 End In being Punished가 되었구요.

이번을 계기로 SMT가 포함된 하드포크는 얼마나 하드한 시간을 견디게 될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해외 커뮤니티에서도 제법 나오는 것을 보자니, 댄 라리머의 부재가 참 크다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Steemit Inc에서 SMT를 만약 SMTs vs SE(Steem-Engine)의 분위기로 끌고 간다면, 많은 분들이 우려하고 있는 일들은 현실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 스티밋 재단의 개발능력의 한계는 어느 정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까지 왔고, 열심히 활동하며 최근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증인들의 도움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봅니다.

이번 SPS가 보다 탈중앙화된 스팀 생태계를 만드는 초석이 되긴 하겠지만, 그렇다고 하여 SMT의 개발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진행될지는 다소 의문점이 있습니다.

자체 사이드체인을 구축하여 연결하는 것과 SMT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확실한 점은 이미 충분한 경험이 있는 스팀 엔진팀을 비롯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이 관여할수록 이번 하드포크와 같은 예상치 못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더 빠르게 대처하기 좋다는 것입니다.

약 1.5일 동안의 간극에 많은 분들이 불만이 가지시겠지만, 일단은 잊고 그 다음을 지금부터 잘 준비했으면 좋겠네요. 진짜 중요한 건 지금부터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탈중앙화된 방식의 개발 생태계가 SMT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