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스 이야기] 밋원(MEET.ONE) 사이드체인 토큰 에어그랩 및 토큰전송 방법 안내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2019년 2월 26일(화) 22시에 이오스 메인넷의 두 번째 사이드체인이라고 할 수 있는 밋원(MEET.ONE) 사이드체인이 정식으로 런칭되었습니다.

밋원에서는 2019년 2월 19일 오전 11시에 전체 이오스 메인넷 계정들을 대상으로 스냅샷을 진행하였고, 이때 이오스 계정에 EOS 네이티브 토큰을 보관 중이었던 토큰 홀더라면 밋원 사이드체인에서 사용되는 MEETONE토큰을 에어그랩 하실 수 있습니다.




[MEETONE토큰 에어그랩 정보]

- 스냅샷 일시 : 2019년 2월 19일 오전 11시

- 토큰 배분비율 : 2 : 1 (2개의 EOS당 1개의 MEETONE토큰 수령 가능)

- 에어그랩 클레임 기간 : 2019년 2월 27일 22:00 ~ 3월 6일 22:00

- 에어그랩 클레임 방법: 밋원 월렛 또는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을 통해 클레임 가능







#1. 에어그랩 신청 방법




이미지 출처 : MEET.ONE 공식 미디엄


MEETONE토큰 에어그랩은 위에서 안내드린 바와 같이 ①밋원 월렛을 사용하거나, 또는 ②스캐터 데스크탑을 이용하여 클레임을 하실 수 있습니다.

> 포스팅 작성일 현재 iOS의 밋원 월렛 업데이트가 지원되지 않는 관계로 밋원 월렛을 통한 에어그랩은 Android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더불어, 밋원 월렛을 통해 에어그랩을 신청하시는 경우 반드시 최신 버전(현재 기준 2.1.2)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 하신 후에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 밋원 월렛 사용방법



- 밋원에서 작성한 MEET.ONE 익스플로 가이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가이드가 상세하게 잘 작성되어 있는 관계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2) 스캐터 데스크탑 사용방법



> 현재 밋원 월렛으로 클레임을 하실 수 없는 아이폰(iOS) 사용자분들을 위해 서리님(@indend007)께서 코리오스에 공유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스캐터 데스크탑을 사용하여 클레임하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https://meetone.eosx.io/


① 먼저, 밋원의 계정이름을 확인하기 위해 밋원 사이드체인 블록익스플로러(https://meetone.eosx.io/)에 접속하신 뒤에 노란 박스와 같이 보이는 화면에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 연결되어 있는 퍼블릭키(Public key)를 입력해주세요.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이름(Account Name) 확인


② 위와 같이 .m으로 끝나는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이름을 확인하셨다면, 에어그랩 신청을 위해 밋원 툴킷(https://meetone.eosx.io/tools/contract) 에 접속해주세요.


스캐터 데스크탑 연결 화면


③ Attach Scatter Identity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 팝업창


④ 위와 같이 스캐터 데스크탑의 로그인 팝업창이 나타나면, 방금 전에 블록익스플로러에서 확인했던 .m으로 끝나는 계정이름이 올바르게 나타나는지 확인 후에 Login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⑤ 로그인이 완료되었으면 Contract Name 입력란에 airgrab.m 이라고 입력 후에 Get Contract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⑥ Get Contract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새로운 창이 나타나는데, open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⑦ Owner, Symbol, Ram_payer라는 세 가지의 입력란이 나타나면, 다음과 같이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symbol의 경우에는 아래의 내용을 복사+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 owner : .m으로 끝나는 12자리 밋원 계정이름 입력

- symbol : 4,MEETONE

- ram_payer : .m으로 끝나는 12자리 밋원 계정이름 입력 (owner와 동일)




입력이 모두 끝났으면 Push Transaction이라는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⑧ 위와 같이 해당 트랜잭션을 수락하는 팝업창이 나타나면 Allow버튼 클릭!




⑨ 위와 같이 Transaction complete라는 화면이 나타나면 에어그랩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View tx을 클릭하여 해당 트랜잭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주의사항




이미지 출처 : 밋원 공식 미디엄


(1) 에어그랩은 신청 즉시 들어오는 것이 아닙니다. 에어그랩 클레임 기간이 모두 종료된 후 2019년 3월 7일(목)에 토큰이 배포될 예정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에어그랩 수량은 2019년 2월 19일 스냅샷을 당시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서 보유 중이었던 EOS 네이티브 토큰의 수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스테이킹된 수량, 언스테이킹된 수량, 리펀드 중인 수량 모두 포함)

(3) 2019년 2월 19일 스냅샷 이후 새롭게 생성된 이오스 메인넷 계정 소유자는 에어그랩을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4) MEETONE토큰은 이오스 메인넷에도 존재하지만, 본 에어그랩을 통해 받게 되는 MEETONE토큰은 .m으로 끝나는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으로 지급됩니다.




#3. 체인간 MEETONE토큰 전송방법






MEETONE토큰은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 보유하실 수도 있고,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에 보유하실 수도 있습니다. 즉 메인체인과 사이드체인 간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다만, 메인체인과 사이드체인은 엄연히 체인은 서로 다른 별개의 체인이고, 아직 IBC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오스 메인넷에서 밋원 사이드체인으로” 또는 “밋원 사이드체인에서 이오스 메인넷으로” 이동을 할 때에는 곧바로 계정 대 계정으로 전송할 수는 없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MEETONE토큰은 어떻게 전송할 수 있을까요? 바로 “bank.m”이라는 컨트랙트 계정을 이용합니다


이오스 메인넷 상의 bank.m 계정



밋원 사이드체인 상의 bank.m 계정


위의 두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bank.m이라는 동일한 이름의 컨트랙트 계정이 이오스 메인넷과 밋원 사이드체인에 생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 bank.m이라는 계정이 바로 MEETONE토큰이 이오스 메인체인과 밋원 사이드체인을 옮겨 다닐 수 있는 다리(Bridge)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예를 들어 토큰 전송방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 eosiomainnet이라는 이오스 메인체인 계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MEETONE토큰을 sidechains.m 이라는 밋원 사이드체인의 계정으로 보내고자 하는 경우


이오스메인넷 → 밋원 사이드체인 토큰 전송


이러한 상황이라면 이오스 메인넷의 툴킷이나 지갑에 접속한 뒤에 위와 같이 입력을 해야만 합니다. 즉, 받는 계정은 반드시 bank.m으로 입력하고 실제로 받는 계정은 메모란에 입력을 해야하는 것입니다.


토큰 전송 예시화면


위와 같이 silentknight라는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100개의 MEETONE토큰을 eosnairobi.m이라는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에 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신자가 bank.m가 되고, 사이드체인 계정명인 eosnairobi.m이 메모가 되는 것입니다.


밋원 사이드체인 전송화면


그러면 위와 같이 bank.m이라는 컨트랙트 계정에서 100개의 MEETONE토큰을 밋원 사이드체인 계정인 eosnairobi.m으로 전송해주게 됩니다. 즉 bank.m이라는 중간 다리가 받아서 넘겨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미 이오스 멀티버스에서 활발한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는 밋원팀이 과연 사이드체인의 런칭과 함께 어떤 디앱들을 선보이고, 이오스 생태계의 확장을 위한 어떤 그림을 그리고 있는지가 매우 기대가 됩니다. 이오시스는 밋원과 전략적 파트너 관계에 있는만큼 앞으로도 밋원의 사이드체인 생태계와 관련된 소식들을 빠르게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오스 이야기] 밋원(MEET.ONE) 사이드체인 토큰 에어그랩 및 토큰전송 방법 안내’

쉐어투스팀(Share2steem) 사용 및 세팅방법 안내

슬라이드4.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의 미디엄 포스팅을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공유합니다 :)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쉐어투스팀(Share2steem) 사용 및 세팅방법 안내





오늘은 지난 번의 스티밋에 기존 SNS포스팅을 연결해보자, 쉐어투스팀(Share2steem) 포스팅에 이어 쉐어투스팀을 통해 연결된 계정에서 업로드한 포스팅이 스티밋으로 플러그인 될 때 노출되는 제목, 본문 내용 등을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플러그인 포스팅 사전세팅이란?




쉐어투스팀으로 연결 가능한 소셜미디어


현재 쉐어투스팀을 통해 스티밋 포스팅으로 플러그인을 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는 위와 같이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트위치, 미디엄까지 총 5개 입니다. 인스타그램의 경우에는 이미지, 유튜브나 트위치의 경우에는 영상, 트위터의 경우에는 짧은 텍스트, 미디엄의 경우에는 블로그형의 장문 텍스트 위주의 플랫폼으로서 각 플랫폼 별로 성격이 다르고 포스팅이 노출되는 화면도 가지각색입니다.


[예시] 인스타그램 업로드 화면


아무래도 스티밋은 장문 텍스트 위주의 블로그 형식을 따르고 있다보니, 기존 소셜 미디어의 노출 화면을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에는 해당 포스팅이 굉장히 휑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인 시 사전에 설정해놓은 문구들이 해당 포스팅의 위아래로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세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 세팅은 ①스티밋 제목으로 노출되는 Title Edition, ②포스팅 본문에 노출되는 Body Edition이 있습니다. 각 영역을 어떻게 세팅하는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시죠.

#2. 세팅방법




쉐어투스팀(share2steem.io) 접속화면


먼저 위와 같이 쉐어투스팀 메인페이지에 접속하신 뒤에 좌측에 보이는 SOCIAL NETWORKS 메뉴를 선택하고 세팅을 하고자 하는 소셜 미디어의 계정이름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 피드 포스팅 세팅화면


위와 같이 Title Edition과 Body Edition이라는 영역에 YOUR TITLE, YOUR BODY라는 입력란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쉐어투스팀에서 설정해놓은 기본값이 있기는 하지만 해당 내용은 너무 피드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세팅을 다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① 제목 세팅하기




Title Edition 세팅 화면


일단 제목(타이틀)에서는 총 4가지 자동 전환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steem} : 사용자의 스티밋 아이디를 불러오는 기능 (스티밋 계정 아이디에서 @를 제외하고 불러옵니다)

- {account} : 포스팅 원문이 업로드 되어 있는 소셜 미디어의 계정이름을 불러오는 기능 (예를 들면, 인스타그램에서 사용 중인 계정이름을 불러옵니다)

- {date} : 해당 포스팅을 업로드한 날짜를 불러오는 기능 (예: 2019/02/27)

- {datetime} : 해당 포스팅을 업로드한 날짜 및 일시까지 불러오는 기능 (예: 2019/02/27 14:40:52)




위와 같이 세팅을 저장해놓고 피드 플러그인을 사용한 경우에는


스티밋 플러그인 피드 적용 화면


위의 그림과 같이 포스팅제목이 업로드 됩니다.

② 본문 내용 세팅하기




Body Edition 세팅 화면


본문의 경우에도 총 4가지 자동전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 {body} : 기존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한 내용이 옮겨지는 기능
- {footer} : 영문으로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이라는 문구가 자동으로 실리게 하는 기능
- {divider} : 가운데에 검정색 구분선을 넣는 기능
- {avatar} : 연결된 소셜미디어 계정의 로고 사진, 계정이름, 링크를 삽입하는 기능




위의 자동전환 기능을 모두 사용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에 연결된 인스타그램의 계정 링크를 노출하고 싶지 않은 경우, 또는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이라는 문구를 원하지 않는다면, 기존 소셜 미디어의 본문 내용을 불러오는 {body}를 제외한 다른 자동전환 명령어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과감히 삭제하셔도 무방하겠죠? :)

더불어 본문 내용은 스티밋에서 사용 가능한 마크다운과 HTML을 그대로 지원하기 때문에, 스티밋 포스팅에 세팅해놓은 썸네일이나 후문 이미지 등이 있다면 이를 {body}라는 명령어의 위아래로 복사+붙여넣기 해 놓으시면 됩니다.


사전에 설정한 Body Edition이 적용된 화면



위의 화면에서 “Is this a phone? Or table? #share2steem #Galaxy fold” 라는 부분이 {body}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검정색 구분선이 {divider}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작은 글꼴로 적혀 있는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이라는 문구가 {footer}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하단의 마무리 문구나 배너는 마크다운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놓은 것이 노출되는 부분입니다.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처럼 모바일에서 아주 간략하게 적은 내용이 스티밋에 옮겨지는 경우 굉장히 휑해보이는 관계로 플러그인 피드를 업로드한 뒤에 스티밋에 접속하여 수정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마크다운을 통해 사전에 어느 정도 세팅을 해 놓는다면 기존 콘텐츠의 플러그인만으로도 충분히 잘 정돈된 포스팅을 만들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꼭 한 번쯤 시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쉐어투스팀(Share2steem) 사용 및 세팅방법 안내’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거래소 프리덤엑스(FreedomEX.io) 출시 소식!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아마도 오늘 스팀(STEEM)의 가파른 가격 상승을 많이들 목격하셨을텐데요. 사실 12시간 전쯤에 많은 분들이 기다리고 계셨던 좋은 소식이 있었습니다. 바로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스마트 미디어 익스체인지 프리덤엑스(FreedomEx.io) 거래소가 오픈”한다는 소식입니다. (얼마나 큰 영향이 있었을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톡톡히 한 몫을 하지 않았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D)

프리덤엑스 거래소 런칭소식 원문 : ANN FreedomEx.io Launch:Exchange for the STEEM Ecosystem

# 프리덤엑스란?


freemdomex main.png

프리덤엑스(FreedomEx) 거래소(https://freedomex.io)는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STEEM Blockchain Ecosystem)에서 핵심적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된 거래소입니다.

freedomex.png

아직 베타 런칭 전이라 시스템이 완벽하게 구현이 되지는 않았지만, 위의 거래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페어링 거래의 주요 화폐로 스팀(STEEM)을 메인으로 하는 일종의 스팀 기축 거래소인 것입니다. (프리덤엑스 거래소 토큰인 FREEX 페어링 거래도 많이 지원하지 않을까 싶네요)

features.png

현재는 BTC, STEEM, USDT, FREEX 토큰만 보이지만 추후 스팀 블록체인 기반 디앱들이 개발되고 디앱 토큰들이 발행되면 하나둘씩 프리덤엑스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더불어, 이더리움 기반의 ERC-20토큰, 트론 기반 토큰, 스팀엔진 플랫폼을 통해 출시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토큰(SCT; Smart Contract Token)까지 거래를 지원하며, 향후 스마트 미디어 토큰(SMT; Smart Media Token)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 프리덤엑스 거래소 토큰 FREEX


freex token.png

프리덤엑스의 거래소 토큰인 FREEX토큰은 거래 수수료 수익의 75%를 돌려받을 수 있는 배당형 토큰입니다.

[토큰 정보]

  • 토큰 발행량 : 20,000,000개 (2천 만개 / 추가발행 없음)
  • 토큰 가격 : 스팀(STEEM)의 가격에 1:1로 대응되어 정해짐
    • 토큰 구매방법 : 프리덤엑스 거래소에서 구매하거나, 스팀 키체인(STEEM Keychain)을 통해 Freex-bot계정을 스팀(STEEM)과 함께 “FREEX Token Purchase”메모를 넣어 전송함으로써 구매 가능
    • FREEX토큰 역시 STEEM과 함께 프리덤엑스 거래소의 주요 거래통화로 사용

런칭부터 90일 동안 프로모션을 진행하는데, 이 기간동안 1,500개 이상의 FREEX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토큰 홀더들은 평생 거래수수료 없이 무료로 프리덤엑스 거래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90일의 프로모션 기간 동안에 1,500개의 FREEX토큰을 보유하지 못한 사용자들은 추후 FREEX토큰을 거래 수수료를 할인 받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프리덤엑스 거래소에 상장하고자 하는 디앱 프로젝트들은 스마트 드랍(Smart Drop)을 위한 일정량의 토큰을 제공해야 하고, 이렇게 디앱 프로젝트들로부터 받은 토큰들은 사전에 고지한 스냅샷 기준일의 보유량에 맞춰 FREEX 토큰 홀더들에게 스마트 드랍(토큰 에어드랍)이 됩니다.

fiat gateway.png

가장 기대되는 점은 런칭 후 3~4주 이내에 프리덤엑스 거래소에 Fiat 게이트웨이 서비스가 오픈된다는 점입니다. 해당 서비스가 정식으로 오픈되면 이제 많은 유저들이 신용카드를 통해 스팀(STEEM)을 바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제일 중요한 정보를 빼먹을 뻔 했네요, 프리덤엑스 거래소는 우리나라 시간 기준으로 2019년 2월 27일 오전 9시에 베타 런칭예정입니다.

daybit.png

스팀헌트(@steemhunt)팀을 필두로 SMT 프로젝트들이 이끌고 있는 거래소 상장 및 유동성 확보전략이 국내 커뮤니티에서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불러 일으킬 것이라면, 이번의 프리덤엑스 거래소 런칭소식은 글로벌 커뮤니티에서 또 다른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꽤 오랫동안 정체되어 있었던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가 2019년에 들어서 하나씩 제대로 된 구조를 갖추고 활로를 개척해 나가는 것 같습니다. 강력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스팀 블록체인의 성장을 믿고 지켜봐도 좋을 것 같네요. 스팀 생태계의 성장을 위한 본격적인 발걸음은 지금부터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거래소 프리덤엑스(FreedomEX.io) 출시 소식!’

[스캠주의] 이오스로 위장한 다단계 폰지사기 슈퍼이오스(SuperEOS)를 조심하세요

main deonkim eos.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마치 이오스 메인넷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위장을 하고 구매량의 5배를 지급하겠다며 암호화폐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을 현혹하는 중국계 다단계 폰지사기 “슈퍼이오스(SuperEOS)”를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의 대부분은 폰지사기라는 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슈퍼이오스(SuperEOS)라는 것은 이오스 메인넷과는 어떠한 관계도 없으며, 영국과 중국에서 실제로 개발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중국발 다단계 사기이므로 소중한 자산을 잃어버리지 않게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scam1.png

오히려 슈퍼이오스라는 다단계 사기를 홍보하는 꼴이 되어버릴 수도 있을 것 같아서 별도로 포스팅을 하지 않았으나, 네이버 밴드나 네이버 블로그 등 국내에서도 슈퍼이오스의 모객행위의 수위가 지나치게 과열되고 있습니다.

이미 네이버 밴드에서도 70개 정도의 슈퍼이오스 다단계방이 개설되어 운영이 되고 있으며,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에서도 다단계 모객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아마도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다단계 폰지 사기가 주장하는 내용을 보면 정말 가관입니다.

scam1-1.png

① 영국과 중국에서 EOS코인을 개발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EOSIO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댑이나 툴 등을 개발하는 사람들은 있지만, 누구도 EOS코인을 개발하지 않습니다. (EOS메인넷에서 사용되는 기초 통화는 EOS코인이 아니라 EOS 네이티브 토큰입니다)

② 5배로 지급….? 뭐 별도로 언급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scam3.png

③ 모바일앱 다운로드 링크 : 딱 봐도 정상적인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의 주소가 아닌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어로 링크 설명이 달린 것만 봐도…)

scam4.png

심지어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이런 메시지까지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account.png

account2.png

이미 슈퍼이오스라는 다단계 사기에 빠져들고 있는 분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이 구매량의 5배로 지급해준다는 전형적인 사기문구에 현혹되어 빠져나올 수 없는 지옥 속에 소중한 자산을 넣고 계십니다..

혹시라도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 중에 슈퍼이오스라는 다단계 사기에 돈을 넣으셨다면 하루 빨리 빠져나오시기 바랍니다

scam1-2.png

아래의 리스트를 확인하시면 아시겠지만, 지금까지 제가 이오스와 관련된 전세계의 수많은 포스팅들과 영상, 트위터, 블로그 등을 읽어보며 이오스 관련된 포스팅을 써왔지만 이런 사람들, 한 번도 듣도 보도 못한 사람들입니다.

정말 다단계 사기의 잡초보다 끈질긴 생명력은 참 무섭군요….

네이버에서 슈퍼이오스만 검색하지 마시고, 구글에서 SuperEOS를 한 번만이라도 검색해보시길…

donekim.gif

디온의 이오스 이야기 시리즈 한 눈에 보기


#1. 이오스 생태계 초심자를 위한 기초설명

(0) 암호화폐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보안 안전수칙

(1) 기존 암호화폐(비트코인/이더리움)와 이오스의 지갑생성 차이점 설명

(2) 이오스 계정 생성 방법 설명

(3) 스캐터 데스크탑 설치 및 계정등록 방법 설명

(4) 이오스 지갑들의 종류 및 특징

(5) 이오스 키쌍(Key pairs) 및 권한(Permission)에 관한 설명

(6) 액티브키(Active key) / 오너키(Owner key)에 관한 설명

(7) [토큰 배분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

(8) [EOS 키 분실자들을 위한 정보]


#2. 툴킷 설명 및 종류별 사용방법

(1) 툴킷(Toolkit)에 대한 설명

(2) 이오스 허브(eoshub.io) - by EOSYS 사용방법

(3) 마이이오스킷(myeoskit.com) - by EOS ASIA 사용방법

(4) 블록스닷아이오(bloks.io) - by EOS Cafe Block & HKEOS 사용방법


#3. 이오스 댑(DApp) 생태계 자세히 살펴보기

(0) 이오스의 댑 생태계 훑어보기 시리즈

(1) 아티디움(Atidium) : 이오스 기반 자산관리 매니저

(2) 호루스페이(HORUSPAY) : 이오스 기반 글로벌 페이롤 포탈

(3) 덱시오스(DEXEOS)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거래소

(4) 친타이(Chintai) : 이오스 자원임대 플랫폼

(5) 데블(Dabble) : 이오스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6) 파슬(Parsl) : 합법적인 대마초 공급망 관리 플랫폼

(7) 하이어바이브즈(HireVibes) : 크라우드 소싱 기반 탈중앙화 채용 플랫폼

(8) [센스챗(SenseChat)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P2P 메신저]

(9) 이오스나이츠(EOSKnights) : 이오스 기반 방치형RPG 게임

(10) 리들(RIDL)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평판 및 신원관리 시스템

(11) 카르마(KARMA)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선행보상 소셜 플랫폼

(12) 루미오스(Lumeos) : 탈중앙화된 소셜 서베이 플랫폼

(13) 엠앤에잇(Emanate) :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음원 거래 플랫폼

(14) 퍼블리토(PUBLYTO) : 크로스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15) 이오스나이츠 : 방치형RPG 게임

(16) 페트리오스(PETREOS) : 탈중앙화된 콘텐츠 공유, 구독, 펀딩지원 플랫폼

(17)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Privacy Payment Token pEOS


#4. 이오스 거버넌스 살펴보기

(1) 1편 : 레퍼렌덤 개념 설명

(2) 2편 : 레퍼렌덤 투표방법 설명

#5. EOS.IO 코드 포크체인 살펴보기

(1) EOSIO 코드 포크체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

(2) 포크체인(Forkchain)에 대한 설명

(3) 메인체인과 포크체인의 비교 설명

(4) 텔로스(TELOS)

(5) 워블리(WORBLI) : 기업 금융 시스템 운영에 최적화된 시스터체인

(6) 보스코어(BOScore) : 이오스 생태계 최초의 사이드체인(Sidechain)

donekim.gif
behind banner.gif



 H O P E   F O R   T H E   B E S T ,
P L A N F O R T H E W O R S T

https://steemit.com/@dONeki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캠주의] 이오스로 위장한 다단계 폰지사기 슈퍼이오스(SuperEOS)를 조심하세요’

[거래소 이야기] 우리가 몰랐던 빗썸 거래소의 현실

STEEMIT MAIN.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오래간만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좀 꺼내보고자 합니다.

BTI.jpg

크립토씬이 보다 더 투명해지고 신뢰 가능해질 수 있도록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리서치 그룹 Block Transparency Institute라는 곳이 있습니다. 해당 리서치 그룹에서는 2018년 4분기부터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트레이딩 볼륨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내놓고 있는데, 코인마켓캡(CMC, Coinmarketcap)에 리포팅되는 거래량과는 별도 일평균 거래소 방문자 수, API를 통한 봇 거래 정보 등의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거래소들의 실제 거래량과 세탁 거래 여부 등을 집계하여 제공합니다.

cmc.png

이미지 출처 : Blockchain Transparency Institute

위와 같이 코인마켓캡에 집계된 거래량 대비 실제 거래량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집계하여 수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투명성과 신뢰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죠. 혹시라도 리포팅 데이터 원문이 궁금하신 분들은 BTI의 공식 사이트(https://www.blockchaintransparency.org/)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ithumb_modified.png

BTI의 12월 보고서에 따르면 빗썸은 모네로, 대시, 비트코인골드, 지캐시 등 월별로 대상 코인을 바꿔가며 세탁 거래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현재는 Exchange Advisory List에 1등으로 등재가 되었습니다.

BTI의 Exchange Advisory List에 등재된 거래소는 “만약 거래소에서 상장 수수료를 요구하는 경우에 반드시 주의해야 할 거래소”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이유는 위와 같이 실제 투자자들에 의한 거래 비중이 집계되는 거래량에 비해 한참 못미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상장되는 프로젝트들도 좋지 못한 상황에 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투자자들은 더 말할 것도 없겠죠.

“내부 자전 거래를 통해 집계되는 거래량이 실제 거래량에 가장 못 미치는 거래소”라는 불명예의 타이틀을 거머쥐게 된 것인데, 실제 집계된 거래량이 $1,466,579,016인데 반해서 실제 투자자들의 실 거래량 $24,674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어쩌면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0.001%정도만이 순수한 의미에서의 암호화폐 거래량이고, 나머지는 API를 통한 봇의 자전거래라는 점은 가히 충격적인 데이터입니다.

api trading.png

이미지 출처 : The Block Crypto - Suspected wash trading rife at major exchanges, per study

위의 더 블록 크립토의 자료도 참고해보겠습니다.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을 대상으로 24시간 평균 거래량과 평균 일일 방문자 수를 비교해보면, 빗썸을 포함해 ZB, OKEX, Fcoin 등의 거래소들의 일일 거래량은 실제 사람(human)에 의한 거래가 아닌 봇(API)에 의한 자전거래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명백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빗썸은 압도적인 수준입니다..

cmc.png

어느 정도 짐작은 하고 있었지만, 빗썸의 현재 상황은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특히나 크립토씬에서 높은 신뢰도를 얻고 있는 비트피넥스(Bitfinex)나 바이낸스(Binance)와 비교했을 때는 거래소의 정직성과 투명성에 있어서 하늘과 땅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bithumbshiny.png

빗썸 거래소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이오스 토큰의 5%가량을 거래소에만 묶어놓은 채, 보팅툴 지원은 고사하고 IQ토큰을 비롯한 중요 프로젝트들의 에어드랍을 방관하는 등 이오스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에도 엄청난 악재로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투명성에 문제가 있다고 단단히 낙인이 찍혀서 DEX, 거래소 토큰 등 후속 사업들의 진행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이죠.

개인적으로 빗썸의 거래량에 따른 에어드랍 이벤트, 수수료 이벤트도 언젠가는 큰 이슈가 되지 못하게 될 것이고,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서 빗썸은 보유하고 있는 토큰들을 가지고 노드 사업에 뛰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게 빗썸이 가지고 있는 마지막 강점이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얼마나 버틸만 한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무슨 사업을 하든 빗썸은 “투명성”을 갖추고 “상식적인 것들(보안, 암호화폐 입출금 지원, 보팅툴 지원, 에어드랍 지원)”을 지켜주어야만 재기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많은 프로젝트들과 투자자들에게는 빗썸이 아닌 선택지가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donekim.gif
behind banner.gif



 H O P E   F O R   T H E   B E S T ,
P L A N F O R T H E W O R S T

https://steemit.com/@dONeki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거래소 이야기] 우리가 몰랐던 빗썸 거래소의 현실’

스티밋에 기존 SNS포스팅을 연결해보자, 쉐어투스팀(Share2steem)

슬라이드4.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의 미디엄 포스팅을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공유합니다 :)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밋에 기존 SNS포스팅을 연결해보자, 쉐어투스팀(Share2steem)



스티밋 써드파티앱 쉐어투스팀(Share2steem)


스팀 블록체인의 가장 대표적인 댑(DApp)인 스티밋(Steemit.com)에는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유용한 써드파티앱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다양한 기존의 SNS채널에서 활동 중이신 분들이 사용하기에 굉장히 유용한 써드파티앱,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https://share2steem.io/


#1. 쉐어투스팀이란?



스티밋계정과 기존의 SNS계정을 연결하여 간단한 해시태그(또는 태그) 입력만으로 기존 SNS에 업로드한 포스팅, 이미지, 영상 등의 콘텐츠를 스티밋 포스팅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피드 플러그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입니다.

> 이미 @jaydih님이나 @aaronhong님께서 몇 개월 전에 쉐어투스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셨기 때문에 추가로 궁금한 내용이 있으신 분들은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쉐어 투 스팀 (Share2Steem) / 타 SNS의 포스팅을 스팀잇에 자동으로 공유하고 보상 받자 — by @jaydih님

- Share2Steem x Medium 연결하기 — by @aaronhong님




#2. 연결방법




쉐어투스팀 사이트 접속 시 초기화면


먼저 쉐어투스팀 웹사이트(쉐어투스팀 웹사이트(https://share2steem.io/)에 접속)에 접속해주세요. 이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LOGIN WITH STEEMCONNECT 라는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스팀커넥트로 연결 중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CONTINUE 버튼을 클릭한 뒤 스티밋 계정과 Active key(프라이빗키)를 입력하고 SIGN IN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을 완료해주세요.


스티밋 계정으로 로그인이 완료된 화면


위와 같이 스티밋 계정으로 로그인이 완료되었으면 기존 SNS계정을 스티밋 계정에 연결하기 위해 기존 SNS계정을 스티밋 계정에 연결하기 위해 SOCIAL NETWORKS라는 메뉴를 클릭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연결하고자 하는 SNS 선택 화면


쉐어투스팀을 통해서는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트위치, 미디엄까지 총 5가지의 기존 SNS계정을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스티밋 계정에 연결하고자 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클릭하여 선택해주세요.


유튜브 계정 연결 화면


그 다음부터는 ①연결하고자 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계정이름 입력, ②CHECK ACCOUNT 클릭, ③계정 소유자의 진위여부 확인을 위한 붉은색 박스 안의 문구를 프로필에 입력하여 계정연결 세팅을 완료하시면 끝!

> 쉐어투스팀에서 안내해주는 문구에 따라 천천히 따라하시면 쉽게 연결하실 수 있으며, 각 소셜미디엄 플랫폼 5가지 계정을 모두 연결하실 수도 있습니다 :)





#3. 쉐어투스팀을 통한 포스팅 플러그인




트위터 예시화면


계정연결만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각 소셜 미디어에서 작성한 포스팅을 스티밋에 불러오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기존에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를 사용하던 그대로 콘텐츠를 업로드 하되, 가장 마지막에 #share2steem이라는 해시태그만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쉐어투스팀을 통해 플러그인 된 포스팅들


해시태그를 입력하고 트윗하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인스타그램 업로드 완료 버튼을 클릭하고 나면 추가적인 다른 액션을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위와 같이 피드가 업로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자동 플러그인 업로드 시에 스티밋에서 노출되는 제목, 본문 내용 등을 보기 좋게 쉐어투스팀에서 미리 세팅을 해놓으실 수도 있습니다. 각 소셜 미디어별로 Title Edition과 Body Edition을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스티밋에서 마크다운을 통해 포스팅을 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셨던 분들, 스티밋보다 다른 소셜 미디어에서의 활동이 더 활발하신 분들이라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스티밋 블로그를 보다 풍부하게 만드실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에 기존 SNS포스팅을 연결해보자, 쉐어투스팀(Share2steem)’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