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엔진(Steem-Engine) DEX 출시, 스팀엔진 소개 및 토큰거래 방법 안내


스팀엔진 홈페이지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몇 시간 전에 @dakeshi님께서 번역하여 공유해주신 스팀 엔진(Steem Engine) DEX 출시 포스팅을 보고 스팀엔진 DEX에서 직접 토큰 거래를 진행해보았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스팀엔진과 스팀엔진DEX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스팀엔진과 DEX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 :)

#1. 스팀엔진(Steem Engine)이란?



스팀엔진은 스팀 블록체인(STEEM Blockchain)에 퍼블리시 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사이드체인 플랫폼입니다. 모든 사용자들은 스팀엔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토큰 발행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코딩에 대한 지식이 하나도 없이도 3초 만에 정말 쉽고 간편하게 커스텀 토큰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ENG토큰은 스팀엔진 플랫폼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커스텀 토큰을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스팀엔진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1개의 ENG토큰은 1개의 STEEM과 동일한 가치를 가집니다.




#2. 스팀엔진 DEX 출시




Image Source : Steem Engine DEX GRAND OPENING!


몇 시간 전에 스팀엔진의 DEX(탈중앙화거래소)가 출시되었습니다. 저를 포함하여 많은 스티미언들과 스팀 블록체인 기반의 디앱 개발팀에서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SMT(Smart Media Token) 프로젝트의 일정이 계속해서 연기가 되고 있고, 그나마 3월 중 런칭예정이라고 하는 SMT-lite의 경우에도 토큰 발행 및 전송 기능만 지원할 예정인 상황 속에서 스팀엔진의 발빠른 DEX출시는 그 나름 큰 의미를 가지는 것 같습니다.

사실 SMT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연기로 인해 나름의 로드맵을 가지고 있었던 스팀 블록체인 기반의 디앱들의 계획에 차질이 많이 생기고 있고 그러다보니 스팀헌트(@steemhunt)팀을 필두로 SMT프로젝트들이 중앙화된 거래소 IEO 등을 추진하는 상황까지 이르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스팀(STEEM)을 기축통화로 하여 즉각적으로 토큰들의 거래가 가능한 DEX가 등장했다는 것은 프로젝트의 토큰화, 유동성의 공급이 수월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 스팀엔진 플랫폼에서 생성한 토큰들은 자동으로 스팀엔진 DEX에 상장되어 즉각적인 거래가 가능합니다.





#3. 스팀엔진 DEX 사용방법




스팀엔진 DEX



스팀엔진 DEX 로그인 화면



스팀 키체인 로그인 화면


스팀엔진 DEX는 스팀 키체인(Steem Keychain) 크롬 익스텐션을 사용 중이시라면 계정입력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 스팀 키체인에 포스팅 키만 등록하신 분들은 거래하려면 액티브 키도 등록해야 합니다. 안그럼 거래 과정에서 오류 화면이 뜹니다.




로그인을 완료하고 나면, 위와 같이 스팀엔진 플랫폼을 사용하여 발행된 다양한 커스텀 토큰들을 거래할 수 있는 마켓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스팀엔진이 스팀 블록체인 코어 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팀(STEEM) 토큰을 거래에 곧바로 활용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스팀엔진 DEX에 상장되어 있는 커스텀 토큰들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스팀(STEEM)토큰을 1:1로 페깅이 되어 있는 STEEMP라는 토큰으로 변환을 한 뒤에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나의 계정에 보유하고 있는 STEEM을 STEEMP라는 토큰으로 변환하기 위해 DEPOSIT STEEM이라는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STEEM토큰을 STEEMP로 변환하기


현재 스팀엔진에서 커스텀 토큰을 거래할 때 부과되는 거래 수수료는 없지만, 최초에 STEEM을 STEEMP로 변환할 때는 1%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만약 10개의 STEEM을 변환하는 경우에는 9.9개의 STEEMP 토큰을 받게 됩니다. 위의 화면에서 변환하고자 하는 수량을 선택한 뒤에 DEPOSIT STEEM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스팀 키체인 인증


위와 같이 스팀 키체인에서 해당 트랜잭션을 수락하는 화면이 나타나면 CONFIRM을 클릭하여 토큰 변환을 승인해주세요.


변환이 완료된 화면


트랜잭션을 승인하고 잠시 기다리면 위와 같이 STEEM토큰이 STEEMP토큰으로 변환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스팀엔진 DEX에 상장되어 있는 토큰들을 거래할 수 있씁니다.




저는 스팀엔진의 네이티브 토큰인 ENG토큰을 구매해보았습니다. 구매하고자 하는 가격과 수량을 입력한 뒤에 Buy ENG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구매 주문이 맞는지를 최종확인한 뒤에 BUY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한 번 스팀 키체인으로 해당 트랜잭션을 승인해주세요.


주문거래 체결 화면


최종적으로 위와 같이 거래가 체결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팀엔진 월렛 화면


스팀엔진 월렛에 들어가면 보면, DEX에서 구매한 10.47개 정도의 ENG토큰이 들어와 있네요 :)

현재 스팀엔진에서 발행된 대부분의 토큰들이 실제 유틸리티가 있거나 개발 중인 토큰들 대신에 사용자들이 호기심으로 발행해 본 토큰들이 대부분이지만, 확실히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토큰화와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팀엔진 DEX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과연 스팀엔진 DEX가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가 궁금해집니다.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Steem-Engine) DEX 출시, 스팀엔진 소개 및 토큰거래 방법 안내’

[이오스 이야기] 이오스 기반 원터치 컨트롤 게임 EOS Blasterz 오픈 베타 시작!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 디온(@donekim)입니다. 이오시스(EOSYS)와 게임 개발사 하루(DAY1) 엔터테인먼트가 합작하여 만든 첫 게임인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원터치 컨트롤 게임 ‘EOS Blasterz’의 오픈베타가 오늘 오후 5시에 시작됩니다.








※ 게임 소개


EOS Blasterz는 원터치 컨트롤 게임으로, 발판이 나타나는 적절한 타이밍에 버튼을 누르면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마지막 발판은 최대한 넓은 범위에 걸쳐 버튼을 눌렀다가 떼야 더욱 강력한 에너지파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파로 가장 많은 몬스터를 처치한 유저의 순위가 실시간으로 기록되며, 상위권의 유저에게 상금이 분배됩니다.

※ 게임 모드


오픈베타 기간 중에는 6시간/하루/일주일 3가지 게임모드로 진행되며, 실제 플레이 가능한 시간은 각각 4시간/22시간/166시간으로 마지막 2시간은 상금 분배를 위한 쿨타임입니다.

※ 상금 분배


상금 분배는 모드 별로 상위 10~50%까지 지급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합니다. 오픈베타 기간에는 6시간(상위20%)/하루(상위50%)/일주일(상위50%)로 상금이 분배됩니다.

※ 오픈베타 이벤트


EOS Blasterz의 기본 참가비는 0.5 EOS이나, 오픈베타 기간에는 0.01 EOS로 진행됩니다. 또한 이오시스의 후원으로 각 모드 별 상금에 ‘이벤트 EOS’가 투입됩니다. 이벤트 물량은 모드 별로 10~30 EOS가 투입되며, 한국 시간을 기준으로 새벽1시~오전9시에는 이벤트 EOS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다운로드 링크


- 구글 플레이스토어 : 다운로드
- 젤리주스(JellyJuice) 홈페이지 APK 다운로드 : https://jellyjuice.io/
- iOS/Web 추후 지원 예정

※ NOVA, MEETONE Wallet 로그인 지원
게임을 즐기시기 위해서는 노바 월렛 또는 밋원 월렛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소개 영상 : EOS Blasterz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아래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https://youtu.be/GVTLE35ZzmA





현재 EOS Blasterz는 오픈 베타 버전으로서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게임 모드 다변화와 신규 캐릭터 스킨 및 기능 추가가 예정되어 있으니 오픈베타 기간을 활용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버그 및 개선사항은 dappstudio@eosys.io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오스 이야기] 이오스 기반 원터치 컨트롤 게임 EOS Blasterz 오픈 베타 시작!’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KARMA) 보팅 리워드 산정방식 등 업데이트 내용 안내

main deonkim eos.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Do Good, Earn KARMA, 이오스 기반의 탈중앙화된 선행보상 소셜 플랫폼 카르마의 새로운 보팅 리워드 업데이트 정책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 발표 내용에는 ①포스팅 보상을 위한 최소 스테이킹 기준수량 적용, ②보팅 시 가중치 계산방식, ③파워 업(스테이킹) 보상계산방식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는데, 자세한 내용이 어떤 것이 있는지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문 링크 : KARMA Voting Rewards Update

#1. 업보팅 보상 최소 기준수량 적용


100000.png

최근 카르마앱은 특정 유저가 여러 개의 계정을 만들어 보팅 몰아주기 행위를 하거나 또는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여 사용하거나, 자선단체인 척 위장하거나,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여 한국인인척 위장하는 등 각종 문제를 일으키는 어뷰저들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해당 유저가 업로드한 사진이나 영상이 진짜 본인의 것인지를 사용자들이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는 점” 때문에 타인의 선행 사진이나 영상을 무단으로 도용하여 보팅을 받는 악성 유저들이 자꾸 생겨나고 있는 것이죠.

카르마 업데이트1.png

그래서 카르마 팀에서는 스팸계정을 만들어서 보팅 몰아주기 행위를 하거나, 일시적으로 타인의 콘텐츠를 무단 도용하고 사라지는 어뷰징을 방지하기 위해 보팅 보상을 받기 위한 최소 파워업(스테이킹) 수량 기준을 설정하기로 하였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제부터 타인의 포스팅에 업보팅을 한 대가로 지급받는 보팅 리워드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0,000개 이상의 KARMA토큰을 파워업하고 있어야 합니다.

karma rewards.png

100,000개 이상의 KARMA토큰을 파워업하고 있지 않은 계정이라고 하더라도 얼마든지 계속해서 포스팅을 업로드 할 수 있고 다른 유저들에게 보팅을 받을 수는 있지만, 추후에 클레임을 한다고 하더라도 karmarewards 계정에서 지급되는 보팅 보상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참고1] 카르마팀에서는 보팅 리워드만 수집한 뒤에 시장에서 KARMA토큰을 내던지는 악성 스팸 유저들을 방지하고, 카르마앱 플랫폼의 가치 상승을 위해 노력하는 유저들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위와 같은 기준을 정했다고 합니다.

[참고2] 현재 이와 같은 최소수량 기준을 정하는 경우 신규 유저들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커뮤니티 내부에서의 우려의 목소리들도 많습니다. 왜냐하면 특정 계정이 보팅을 하는 행위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최소수량 기준은 추후 언제든지 내려가거나 없어질 수도 있다고 하니, 이 정책에 대해서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2. 보팅 가중치의 계산


카르마 업데이트2.png

아직 카르마에서는 자신이 업로드한 포스팅별로 얼마만큼의 보상을 얻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데(현재는 업보팅을 받은 횟수만 확인할 수 있죠), 다가오는 업데이트에서는 각 포스팅별로 얼마나 보상을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각 사용자가 자신이 파워업(스테이킹)하고 있는 KARMA의 보팅파워를 기준으로 타인의 포스팅에 업보트를 할 때 위와 같이 보팅 가중치가 계산되는 방식으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위의 방식에 따르면 하루 동안 모든 유저가 보팅을 통해 타인의 포스팅에 업보트 해줄 수 있는 보팅 가중치의 총량은 자신이 파워업 수량으로 한정됩니다.

예를 들어 300,000개의 KARMA토큰을 파워업하고 있는 유저가 하루 동안에 타인의 게시물에 업보트할 수 있는 가중치는 300,000이기 때문에 하루 동안 1명 에게 보팅을 한 경우에는 300,000개의 가중치가 적용되고, 하루 동안 3명 에게 보팅을 한 경우에는 각각 100,000개의 가중치가 적용됩니다. 물론 하루 기준으로 보팅 가중치의 총량은 리셋이 되구요.

다만 여기서 하루의 기준이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인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없어서 추후에 정확히 리셋되는 시점에 대해 문의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3. 파워업에 따른 스테이킹 보상


the real karma.png

파워업(스테이킹) 보상은 이전과 달라진 점은 없습니다. 기존과 동일하게 “파워업되어 있는 전체 수량 대비 나의 파워업 수량 비율”에 따라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방법] 매일매일의 파워업 보상풀(power_pool) x 나의 파워업 수량 비율

  • 나의 파워업 수량 비율 : 내 파워업 수량 ÷ 전체 파워업 수량(total_power)

예를 들어 위와 같이 매일매일의 파워업 보상풀이 5,473,965이고 전체 파워업 수량이 1,477,191,632인 경우 내가 파워업하고 있는 KARMA토큰이 1,400,000개라면

그 날의 파워업에 따른 스테이킹 보상은 5,188개 = 5,473,965 x (1,400,000 ÷ 1,477,191,632)가 되는 것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나름 카르마 생태계의 운영에 있어 꽤나 중요한 정책의 변경들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의 변경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현재 카르마는 “생태계의 자체적인 정화방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커뮤니티 자체적으로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 자정작용 방법에 대해서 글로벌 커뮤니티와 카르마 앰버서더,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donekim.gif

디온의 이오스 이야기 시리즈 한 눈에 보기


#1. 이오스 생태계 초심자를 위한 기초설명

(0) 암호화폐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보안 안전수칙

(1) 기존 암호화폐(비트코인/이더리움)와 이오스의 지갑생성 차이점 설명

(2) 이오스 계정 생성 방법 설명

(3) 스캐터 데스크탑 설치 및 계정등록 방법 설명

(4) 이오스 지갑들의 종류 및 특징

(5) 이오스 키쌍(Key pairs) 및 권한(Permission)에 관한 설명

(6) 액티브키(Active key) / 오너키(Owner key)에 관한 설명

(7) [토큰 배분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

(8) [EOS 키 분실자들을 위한 정보]


#2. 툴킷 설명 및 종류별 사용방법

(1) 툴킷(Toolkit)에 대한 설명

(2) 이오스 허브(eoshub.io) - by EOSYS 사용방법

(3) 마이이오스킷(myeoskit.com) - by EOS ASIA 사용방법

(4) 블록스닷아이오(bloks.io) - by EOS Cafe Block & HKEOS 사용방법


#3. 이오스 댑(DApp) 생태계 자세히 살펴보기

(0) 이오스의 댑 생태계 훑어보기 시리즈

(1) 아티디움(Atidium) : 이오스 기반 자산관리 매니저

(2) 호루스페이(HORUSPAY) : 이오스 기반 글로벌 페이롤 포탈

(3) 덱시오스(DEXEOS)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거래소

(4) 친타이(Chintai) : 이오스 자원임대 플랫폼

(5) 데블(Dabble) : 이오스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6) 파슬(Parsl) : 합법적인 대마초 공급망 관리 플랫폼

(7) 하이어바이브즈(HireVibes) : 크라우드 소싱 기반 탈중앙화 채용 플랫폼

(8) [센스챗(SenseChat)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P2P 메신저]

(9) 이오스나이츠(EOSKnights) : 이오스 기반 방치형RPG 게임

(10) 리들(RIDL)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평판 및 신원관리 시스템

(11) 카르마(KARMA)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선행보상 소셜 플랫폼

(12) 루미오스(Lumeos) : 탈중앙화된 소셜 서베이 플랫폼

(13) 엠앤에잇(Emanate) :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음원 거래 플랫폼

(14) 퍼블리토(PUBLYTO) : 크로스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15) 이오스나이츠 : 방치형RPG 게임

(16) 페트리오스(PETREOS) : 탈중앙화된 콘텐츠 공유, 구독, 펀딩지원 플랫폼

(17)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Privacy Payment Token pEOS


#4. 이오스 거버넌스 살펴보기

(1) 1편 : 레퍼렌덤 개념 설명

(2) 2편 : 레퍼렌덤 투표방법 설명

#5. EOS.IO 코드 포크체인 살펴보기

(1) EOSIO 코드 포크체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

(2) 포크체인(Forkchain)에 대한 설명

(3) 메인체인과 포크체인의 비교 설명

(4) 텔로스(TELOS)

(5) 워블리(WORBLI) : 기업 금융 시스템 운영에 최적화된 시스터체인

(6) 보스코어(BOScore) : 이오스 생태계 최초의 사이드체인(Sidechain)

donekim.gif
behind banner.gif



 H O P E   F O R   T H E   B E S T ,
P L A N F O R T H E W O R S T

https://steemit.com/@dONeki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KARMA) 보팅 리워드 산정방식 등 업데이트 내용 안내’

디온(@donekim)의 인스타그램 이야기(2019/03/06)

슬라이드2.PNG

steemit_logo.png












오늘 컨퍼런스장에 준비된 물을 마시는데 각 페트병마다 센스있는 문구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알고 보니 작년말쯤에 풀무원 샘물에서 소비자들과의 양방향 소통을 확대하는 의미에서 “한줄 백일장”이벤트를 진행했었다고 하네요 :) 무려 8,000명이 참여한 이벤트에서 당선된 수상작들이라 그런지 확실히 드립력이 ㅋㅋㅋㅋ 내가 응모한 카피문구가 들어가 있는 물을 마시는 것도 굉장히 재미있는 경험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야근은 밀물, 월급은 썰물…


잠시 눈물 좀 닦고 올께요 ㅠㅠㅠ ㅋㅋㅋㅋ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디온(@donekim)의 인스타그램 이야기(2019/03/06)’

[테이스팀]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의 진수, 조치원 돈스

title_imag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비록 서울이 아닌 조치원의 한적한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접근성은 떨어지지만, 어렸을 적에 부모님 손 잡고 가서 먹었던 맛있는 경양식 돈가스의 향수를 제대로 리마인드 시켜주는 돈가스 집을 소개합니다.

슬라이드15.PNG

아마 어렸을 적에 부모님 손을 잡고 외식을 하러 나가서 경양식 돈가스를 먹어 본 기억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최근에는 쉽사리 찾기 힘든 경양식 돈가스 맛집을 그리워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처음에 후추를 솔솔 뿌린 수프로 시작해서, 달달하면서도 고소한 돈가스, 그리고 조금은 허접한 아이스크림이나 커피와 같은 후식으로 마무리되는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가 기억나시나요?

최근에는 대부분의 돈가스집들이 깨를 갈아서 약간은 시큼한 소스를 뿌려서 섞은 다음 찍어 먹는 돈가스 집이나 치즈 토핑들을 얹은 퓨전식 돈가스가 대부분인데, 조치원에는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의 맛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돈스”라는 맛집이 있습니다.

슬라이드11.PNG

돈스는 세종시에서도 차로 15분~20분 정도 조치원 홍대 컴퍼스쪽으로 이동해서 조그만 마을 구석으로 들어가야 찾을 수 있다보니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초행길이신 분들은 쉽게 찾기도 힘든 편이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말에는 대기표를 받아서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할 만큼 단골 손님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

슬라이드12.PNG

슬라이드13.PNG

돈스 돈가스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고, 그 외에도 피자 돈가스 스타일의 이탈리안 치즈 돈가스, 생선가스, 함박스테이크 등도 먹을 수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손님들이 “돈스 돈가스”를 시켜 먹는 편입니다. 가끔 돈가스만 먹기 아쉬운 경우에는 세트메뉴로 스파게티를 곁들여 먹어도 좋습니다.

단, 돈스 돈가스는 돈가스가 2장이 나오는데 반해 세트메뉴로 시키는 경우에는 돈가스가 1장만 나오기 때문에 처음 드시는 경우에는 돈스 돈가스를 주문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슬라이드14.PNG

요게 바로 돈스 돈가스입니다. 주문을 하면 어떤 메뉴를 주문하는지에 관계 없이 바로 수프가 나오고, 그 다음에 사이드 반찬인 단무지, 깍두기와 함께 본 메뉴가 나옵니다. (항상 두 번 이상 더 달라고 할만큼 깍두기도 맛있습니다)

슬라이드15.PNG

토마토 스파게티 세트 메뉴를 주문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스파게티도 양이 상당한 편이라, 남자 성인 1명이 먹기에 충분합니다.

사진으로 찍지를 못했는데 돈스가 특이한 점은 흰쌀밥이 나오지 않고 주먹의 반 만한 크기의 주먹밥이 2개 나온다는 것입니다. 적당히 간이 되어 있는 주먹밥이라서 돈가스와 먹기에 궁합이 좋습니다 :)

슬라이드16.PNG

요건 토마토 스파게티를 크림 스파게티로 변경한 메뉴인데, 개인적으로 둘 다 느끼한 편이라서 크림 스파게티보다는 토마토 스파게티와 함께 먹는 편이 더 맛있었어요.

돈가스를 다 먹고 나면 커피, 녹차, 오렌지주스, 아이스크림 중에서 후식을 골라서 먹을 수 있는데, 약간은 어설프고 불량스러운 맛의 아이스크림이 시그니처 후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ㅎㅎㅎㅎ

조치원 인근을 지나가실 일이 있으시다면 휴게소에서 대충 배를 채우시지 마시고 꼭 한 번 들러서 어렸을 적 추억의 돈가스의 맛을 느껴보시기를 강추합니다. 감히 말씀드리지만 저번 포스팅에서 소개한 “명성각 짬뽕”과 함께 저의 최애맛집 중 하나입니다 :)


맛집정보

조치원 돈스

score

대한민국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 291-10


[테이스팀]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의 진수, 조치원 돈스

이 글은 Tasteem 컨테스트
점심시간, 짧지만 행복하게에 참가한 글입니다.


테이스팀은 무엇인가요?

tasteem_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테이스팀] 클래식한 경양식 돈가스의 진수, 조치원 돈스’

[DrugWars] 밸런싱 조절 실시, 소문난 맛집 빈집털기도 이제는 옛날 이야기?

drugwars0.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소리소문 없이 드럭워즈가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배틀 시스템이 시작되면서 유저들로부터 많은 피드백이 있고, 이를 빠르게 반영하며 게임의 지속성을 위한 여러 밸런싱 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drugwars3.png

일단 이렇게 뭔가 다시 버전 1로 회귀한 것만 같은 인상을 주는 소소한 인터페이스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차라리 이번 업데이트 전 화면이 더 보기에 깔끔했던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네요.

drugwars2.png

중요한 업데이트는 바로 이 부분입니다. 부트캠프의 각 유닛들에 큐브 모양의 새로운 능력치가 생겼습니다. 아마도 배틀 시스템과 드럭워즈 게임의 지속성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의 밸런싱이 조절되고 있습니다. 이 업데이트 덕분에 배틀 시스템 자체의 판도가 완전히 바뀌어 버리고 있네요.

이것이 무엇인고 하면, “상대방에게 약탈해서 가져올 수 있는 최대 운송가능량”입니다. 즉 히트맨이나 닌자같은 경우에는 상대방의 약탈가능 자원이 얼마나 많든 1인당 250개(DRUG/WEAPON/ALCOHOLS 각각)만 뺏어올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drugwars4.png

그렇습니다…. 하필 이 능력치 시스템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타이밍이 맞춰서 소문난 맛집 빈집털이를 갔던 제 닌자는 수많은 자원들을 그 자리에 그대로 두고 달랑 250개만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bouncer.png

이제 바운서가 재평가를 받게 될 것 같네요 ㅎㅎㅎ 저글링인 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질럿이 따로 없습니다 :)

유닛 생산을 하지 않고 있는 임시휴업 상태의 사용자를 찾아낸다고 하더라도 1개의 유닛만으로 몽땅 털어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공격시간 뿐만 아니라 1개의 유닛이 약탈해올 수 있는 수량까지 계산해서 이에 맞춘 전략을 세우고 유닛들을 배치해야 하는 것이죠.

trainning.png

이제 효율적으로 약탈을 하려면 빠르게 유닛들을 대량생산해야 되다보니, 트레이닝 퍼실리티를 열심히 업그레이드 할 수밖에 없게 됐네요 ㅎㅎㅎㅎ Operation CWAL이라고 치고 싶은 심정..

주말과 월요일까지 귀차니즘을 극복하고 열심히 약탈을 다니신 분들 축하드립니다. 소문난 맛집 빈집털기도 이제는 옛날이야기가 되어버렸네요… ㅎㅎㅎㅎ 쉴드 타임이 1시간으로 줄어들어서 드럭워즈는 이제 정말 박진감 넘치는 실시간 전략 시뮬이 되어가고 있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DrugWars] 밸런싱 조절 실시, 소문난 맛집 빈집털기도 이제는 옛날 이야기?’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