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이야기] 스티밋 애드에 이어 이제는 크립토차트까지?

advertise.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스티밋에 접속해 보니, 스티밋 상단 배너, 포스팅 중간 배너 광고 뿐만 아니라 이제 코인마켓캡에서 제공하는 주요 크립토(STEEM, SBD, BTC, ETH, XRP)들의 차트 정보까지 제공을 하는 레이아웃으로 일부 변경이 되었네요 :)

아직 상단배너 광고는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과연 어디서 제일 먼저 시작을 할지도 궁금합니다.

coinmarketplace.png

굉장히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겠지만 스티밋 우측 공간을 주요 소식을 참고할만한 Update Log와 Coin Marketplace로 구성하여 활용하는 건 굉장히 좋은 아이디어인 듯 싶습니다. Steempeak만큼의 간결한 레이아웃이 아니더라도, 스티밋 메인 페이지에서 죽어 있는 공간 없이 유저편의성이 높은 방식으로 계속 업데이트가 되면 좋겠네요 :)

머지않아 스티밋에서 차트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며 흐뭇해할 그 날을 기대해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 이야기] 스티밋 애드에 이어 이제는 크립토차트까지?’

[EOS Inside] 이오스 계정 오너키 변경방법 가이드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즈 디온(@donekim)입니다. 연일 계속해서 프라이빗키 유출 사고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계정의 보안을 강화하여 자산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액티브키(Active key)와 오너키(Owner)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오스 메인넷에서는 계정의 권한을 액티브 권한(Active permission), 오너 권한(Owner permission)으로 분류하여 보다 강화된 보안체계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권한에 맞는 키쌍 관리 및 변경방법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아서 제대로 활용이 되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 특히, 최근 해킹 사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케이스로 한정됩니다.


> ① 이메일, 카카오톡, 휴대폰 메모, 클라우드 등에 프라이빗키를 보관하다가 계정 해킹으로 프라이빗키가 유출되는 경우


> ② 스캠사이트에 사용자 본인이 프라이빗키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 ③ 스캠사이트의 피싱 트랜잭션을 승인하는 경우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평소에 액티브키와 오너키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여지가 생기기 때문에 어렵고, 귀찮게 느껴지시더라도 반드시 아래의 내용을 따라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초심자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먼저 들어가기에 앞서 오너키(Owner key)를 바꾸는 방법을 설명드리는 이유를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① 오너키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평소에 사용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② 현재 스캐터 데스크탑이나 모바일 월렛에서 사용 중인 계정을 아무 불편함 없이 그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③ 추후에 만약 해킹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때 변경한 오너키를 꺼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설명은 스캐터 데스크탑 최신 버전(v10.1.2)을 기준으로 합니다.






#1. 오너키 변경하기






①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 후에 Add Keys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② 그 다음 Create Key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③ 좌측에 보이는 열쇠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④ 위와 같이 새로운 키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셨으면, 화면 상단에 보이는 Back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⑤ 위에서 보이는 Key Name은 새롭게 변경할 오너키(Owner key)를 스캐터 데스크탑에 어떤 이름으로 저장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본인이 알아보시기 쉬운 이름으로 입력해주세요. 저는 “새로운 오너키”라고 입력하겠습니다. 그 다음 아래에 보이는 “Keys & Blockchains”라는 탭을 클릭해주세요.




⑥ 위와 같이 EOSIO탭 하단에 EOS로 시작하는 53자리의 새로운 키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측에 보이는 Copy라는 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키를 복사해주세요.




https://bloks.io/wallet/permissions 사이트에 접속하신 다음 우측 상단에 보이는 Login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⑧ 스캐터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⑨ 위와 같은 로그인 창이 나타나면 “Show All”이라는 글자를 클릭해주세요




⑩ 새로운 오너키를 등록하기 위해 @owner 라는 문구가 붙어있는 계정을 선택하여 로그인해주세요 (@active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⑪ 로그인이 완료되었으면 위와 같이 “New Owner Key”라는 첫 번째 빈칸에 ⑥번 절차에서 복사했던 EOS로 시작하는 53자리 키를 붙여넣기 해주세요 (아래에 보이는 New Active Key라는 칸은 그대로 빈칸으로 두시면 됩니다). 그 다음에는 Change Permissions라는 파란색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⑫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Allow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참고: 권한을 변경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스캐터 데스크탑의 팝업창이 붉은색으로 경고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⑬ 위와 같이 Success라는 화면이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오너키(Owner key)가 변경된 것입니다.




#2. 스캐터 데스크탑에서 확인하기






① 이제 다시 스캐터 데스크탑으로 돌아와서 위와 같은 화면에서 “Refresh”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② 그 다음 Linked Accounts라는 탭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새로 생성한 오너키가 내 계정에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ks.io/ 에 접속해서 본인의 계정을 조회해보시면 위와 같이 방금 등록한 오너키로 변경이 되어 있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그 다음 단계는?



별도로 아무것도 하실 게 없습니다.

해당 계정을 이미 스캐터 데스크탑이나 모바일 월렛에 등록해서 사용 중이셨다면, 그대로 계속 사용하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토큰 전송, 게임하기, 토큰 에어그랩이나 클레임 등 일상 속에서 하시는 대부분의 활동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액티브키(Active key)로 승인이 되기 때문에, 지금 변경한 오너키를 새로 모바일 월렛에 등록하실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새로 변경한 오너키의 프라이빗키를 내가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해당 키 정보는 스캐터 데스크탑에 이미 안전하게 잘 저장이 되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스캐터 데스크탑의 메인화면에 가보시면 이미 잘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나중에 필요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4. 그래도 새로 변경한 오너키의 프라이빗키를 알고 싶다면?






① 해당 계정을 클릭한 뒤에 위와 같은 화면에서 “Export”라는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② 그 다음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③ 화면 좌측에 보이는 열쇠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④ 그 다음 “Reveal”이라는 버튼을 클릭하시면, 숫자 5로 시작하는 해당 오너 권한에 연결된 프라이빗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계정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오너키를 변경하신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굳이 변경한 오너키의 프라이빗키를 확인하시지 않는 편이 더 좋습니다. 애초에 어디에 복사해서 붙여넣을 일도 없기 때문에 스캐터 데스크탑이 깔려 있는 컴퓨터를 잃어버리거나, 컴퓨터를 잃어버리지 않는 이상 그냥 그대로 두시는 편이 훨씬 더 안전합니다.

이렇게 계정의 오너키를 변경해서 사용을 하시다가 혹시라도 기존에 사용 중이던 액티브키가 유출이 되어 누군가가 나의 계정에서 언스테이킹을 시도하면, 변경한 오너키로 들어가서 액티브키를 다시 바꿔버리시면 됩니다.

어떤가요? 생각보다 굉장히 간단하고 쉽지 않나요?

귀찮으시더라도 소중한 나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이참에 꼭 키 변경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이오스 계정 오너키 변경방법 가이드’

스팀 블록체인과 스티밋 관련 글로벌 텔레그램 그룹 생성 소식

슬라이드2.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STEEM)과 스티밋(Steemit) 관련 텔레그램 커뮤니티 그룹이 생성되었습니다.

글로벌 텔레그램 그룹으로 아직 한국 커뮤니티분들이 많이 없으신 것 같네요. 아래의 링크로 그룹 채팅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스팀(STEEM) : https://t.me/steemnetwork

- 스티밋(Steemit) : https://t.me/steemitinc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블록체인과 스티밋 관련 글로벌 텔레그램 그룹 생성 소식’

[테이스팀] 사계절 줄서서 사먹는 만인산 봉이호떡

title_imag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대전의 가장 대표적인 명물로 알려져있는 성심당과 더불어서 많은 등산객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는 만인산자연휴양림 안에 있는 봉이호떡을 소개드릴까 합니다.

photo_2019-03-24_23-15-53.jpg

대전 동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실 대전보다는금산군 추부면이라고 하는게 더 나을 것 같은 이 만인산자연휴양림은, 등산객들보다는 이 봉이호떡을 사먹으러 오는 분들이 더 많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저도 그 중에 한 명이구요)

photo_2019-03-24_23-15-52 (2).jpg

주차장에 북적거리는 이 차들이 금방금방 빠져나가는 것만 봐도 얼마나 많은 분들이 봉이호떡을 사먹으러 오시는지가 충분히 가늠이 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이 곳은 추부에서 가까워서, [테이스팀] 짬뽕 Hater를 짬뽕성애자로 만들어주는 추부 명성각 포스팅에서 소개드렸던 명성각에서 짬뽕 한 그릇 하고 들리기 딱 좋은 곳이기도 합니다. (차로 이동하면 5분도 안걸린다능)

photo_2019-03-24_23-15-52 (3).jpg

오늘은 유난히 날씨가 좋으면서도 살짝 쌀쌀해서 그런지 애매한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정말 많은 분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photo_2019-03-24_23-15-50 (3).jpg

봉이호떡은 봉이호떡, 가래떡, 어묵 이렇게 3가지를 판매하고 가격은 위와 같습니다. (왜 계속해서 가격이 오르니..ㅠㅠ)

photo_2019-03-24_23-15-51.jpg

이게 사계절 내내 줄서서 먹어야 한다는 그 봉이호떡입니다.

photo_2019-03-24_23-15-50.jpg

열심히 판매 중이신 사장님 뒷편으로는 어른들께 그렇게 인기가 많다는 가래떡 구이가 구워지고 있습니다. 제 또래 분들은 대부분 호떡을 사가시는데, 어르신들은 가래떡을 더 많이 드시는 것 같더라구요.

photo_2019-03-24_23-15-50 (2).jpg

사실 봉이호떡이 다른 호떡집들에 비해서 유난히 맛있거나,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재료도 생김새도 그냥 평범한 호떡인데,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지 가끔은 궁금할 정도예요 ㅎㅎㅎ

photo_2019-03-24_23-15-49.jpg

굳이 특별한 점을 찾아보자면 “부산 씨앗호떡과 비슷하게 안에는 이렇게 씨앗이 들어있다는 정도?”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마도 인기가 많은 이유는 주변에 맛있는 짬뽕집들이 많아서 뜨거운 속을 달달한 호떡으로 중화시키려고 오시는 분들이 많은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게다가 산 속에 위치하고 있어서 덜덜 떨면서 줄 서있다가 차에 들어가서 먹으면 정말 꿀맛이기는 해요 :) 혹시라도 주변을 지나갈 일이 있으시거나, 짬뽕으로 놀란 속을 달래주고 싶으시다면 한 번쯤 들러서 드셔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맛집정보

봉이호떡

score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동 460-1


[테이스팀] 사계절 줄서서 사먹는 만인산 봉이호떡

이 글은 Tasteem 컨테스트
내가 소개하는 이번 주 맛집에 참가한 글입니다.


테이스팀은 무엇인가요?

tasteem_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테이스팀] 사계절 줄서서 사먹는 만인산 봉이호떡’

[테이스팀] 국가대표급 셰프들이 만드는 태국요리 맛집, 차오프라야

title_imag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25년 이상 경력을 가진 국가대표급 태국인 셰프들이 만드는 태국음식을 맛볼 수 있는 세종 최고의 음식점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chao phraya.jpeg

상호명 : 차오프라야(Chao Phraya)
주소 : 세종특별시 장군면 전원마을2길 56
이미지출처 : 차오프라야 홈페이지

위의 사진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차오프라야는 현재 세종시 외곽에 아주 그림 같은 풍경을 자랑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사실은 대전 반석동에 있었던 곳입니다.

IMG_4232.jpg

대전에 있을 때부터 개인적으로 “가장 맛있는 쌀국수를 먹을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서 정말 자주가던 단골집이었는데, 워낙 손님들이 많아서 사장님께서 돈을 많이 버셨는지 얼마 전에 세종시로 대규모 확장이전을 했습니다.

IMG_4237.jpg

세계 여행을 다니면서 맛 보았던 현지 음식들 중에 제 입맛에 가장 맛있게 느껴졌던 음식을 꼽으라면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음식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평소에도 한국에서 쌀국수나 분짜, 미고랭, 나시고랭, 팟타이, 푸팟퐁커리 등을 찾아다니곤 했는데, “대전에서는 개인적으로 차오프라야가 가장 맛있는 곳”이라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MG_4239.jpg

양지쌀국수 (가격: 11,000원)

차오프라야는 태국 음식과 베트남 음식의 경계에 있는 음식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가 생각하는 가장 맛있는 메뉴는 바로 이 양지쌀국수입니다. 완전 베트남 현지의 맛은 아니고 한국인들의 입맛에 어느 정도 맞춰져 있어서 ,향신료의 향은 적당한 편이기 때문에 처음 쌀국수를 드시는 분들도 맛있게 드실 수 있습니다.

IMG_4236.jpg

게살볶음밥 (가격: 15,000원)

게살볶음밥도 태국 현지의 고슬고슬한 긴쌀로 볶아내서 나오는데 맛이 꽤 좋습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가격에 비해 양도 굉장히 많은 편입니다.

미처 사진으로 담아오지는 못했지만, 특별한 날 방문하신다면 꼭 푸팟퐁커리(가격: 27,000원)와 소고기 볶음면(가격 : 16,000원), 팟타이(13,500원) 중에서 드셔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볶음밥은 조금 평범한 맛이지만, 이 세가지 메뉴는 자신있게 추천할 수 있는 맛입니다)

차오프라야가 대전에서 조그맣게 장사를 하다가 넓은 주차장과 멋진 경치를 자랑하는 세종시로 대규모 이전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지가 충분히 검증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계신 분들 중 태국요리가 베트남요리를 좋아하신다면 꼭 한 번 가보시기를 추천합니다! :)


맛집정보

차오프라야(Chao Phraya)

score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금암리 302-20


[테이스팀] 국가대표급 셰프들이 만드는 태국요리 맛집, 차오프라야

이 글은 Tasteem 컨테스트
앉아서 세계여행 이국의 요리에 참가한 글입니다.


테이스팀은 무엇인가요?

tasteem_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테이스팀] 국가대표급 셰프들이 만드는 태국요리 맛집, 차오프라야’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앱(KARMA App) 가입 및 설치, 사용가이드




안녕하세요 카르마 한국 엠버서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선행보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디앱 카르마(KARMA)의 모바일 앱 가입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안내드리겠습니다.

스크린샷은 iOS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안드로이드의 경우에도 인터페이스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셔도 무방합니다




#1. KARMA 앱 다운로드 및 프로필 설정






① 앱스토어(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신 뒤 “Karmaapp”을 입력하시고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앱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혹시라도 검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의 다운로드 링크를 참고하세요.

- iOS 다운로드 링크 : 클릭

- Android 다운로드 링크 : 클릭







②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열기”버튼을 터치하여 앱을 실행해주세요




③ 앱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카르마에 대한 소개와 함께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ogin”버튼을 터치해주세요.




④ 카르마(KARMA) 앱을 사용하여 포스팅, 댓글 남기기, 업보트, 토큰 전송, 파워업/다운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필을 세팅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Create Profile”버튼을 터치해주세요.




프로필 세팅 화면입니다. 카르마앱에서 활동할 나의 계정의 프로필을 세팅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이 총 5개 항목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모두 빠짐없이 입력해야만 합니다.

- 사진 : 동그란 원 안에 있는 (+) 버튼을 터치하여 프로필 사진 등록

- 닉네임(Name) : 카르마앱에서 사용할 넥네임을 입력

- 이오스 계정 프라이빗키(Keys) : 카르마앱에 연결할 이오스 계정 등록

- 이오스 계정이름(Account) : 이오스 계정 프라이빗키 입력 시 자동 등록

- 간단한 자기소개(Bio) : 간단한 자기소개를 입력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입력해야 하는 정보는 “Keys”라고 되어 있는 이오스 계정 프라이빗키(Private key)입니다. Keys라는 단어 우측에 보이는 화살표를 터치해주세요.




⑦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Enter your private key”라는 빈칸을 터치하신 뒤에 5로 시작하는 51자리의 프라이빗키(Private key)를 입력해주세요. (카르마앱은 기본적으로 이오스 계정과 연결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계정이 없으신 경우에는 밋원 월렛 또는 포큰포켓에서 이오스 계정을 먼저 생성하셔야 합니다. 토큰 포켓을 통해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여 참고해주세요.)




⑧ 정상적인 프라이빗키를 입력하고 나면 위와 같이 해당 계정에 연결된 퍼블릭키(Public key)가 상단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⑧ 키를 입력하고 나면 위와 같이 “Account”에 나의 12자리 이오스 계정이름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차례대로 (1)동그란 원 안의 (+)모양 버튼을 터치하여 프로필 사진을 설정하고, (2)카르마에서 사용할 닉네임(Name) 입력, (3)간단한 자기소개(Bio)를 위의 그림과 같이 입력해주세요.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화면 우측 상단에 보이는 “Save”버튼을 터치해주세요.




⑨ 위와 같이 카르마앱 이용약관이 나오면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리신 뒤에 화면 하단에 보이는 “Accept terms”라는 버튼을 터치합니다.




⑩ 이런 화면이 나타나면 프로필 설정이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2. 카르마앱 기능설명 및 사용방법






카르마 앱의 메뉴버튼은 하단에 위치하며 크게 5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왼쪽의 카르마 로고 모양부터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피드 확인(카르마 로고 아이콘) : Popular, Home, New로 구분이 되어 있는 피드 확인 메뉴입니다.

- Popular : 가장 많은 보팅을 받은 포스팅들 모음

- Home : 내가 팔로우한 사용자들의 포스팅들 모음

- New : 최근에 업로드된 포스팅들 모음




② 친구 찾기(돋보기 모양 아이콘) : 카르마앱을 사용 중인 친구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카르마 닉네임 또는 이오스 계정이름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친구를 찾고나면 Follow 버튼을 터치하여 팔로우를 할 수 있습니다.

③ 포스팅 업로드(+모양 아이콘) : 새로운 포스팅을 업로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하단에 보이는 카메라 모양 아이콘, 또는 그림판 모양 아이콘을 터치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첨부한 뒤에 해당 사진이나 영상을 설명하는 내용을 본문에 입력하고 “Share”버튼을 터치하면 업로드가 완료됩니다.

④ 활동내역체크(말풍선 아이콘) : 포스팅 업로드를 하거나, 업보팅을 주고 받은 활동, 댓글을 주고 받은 활동, 누군가를 팔로우하거나 누군가가 팔로잉하는 활동 등 카르마앱 내에서 내 계정과 관련된 활동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프로필 세팅한 것 외에 다른 활동이 없기 때문에 먼저 친구들부터 찾아보라는 안내화면이 나타납니다.

⑤계정설정 및 관리(지갑 모양 아이콘) : 내 계정의 프로필 및 포스팅들을 확인하거나, 프로필 재설정, 토큰 전송 및 클레임, 파워업/다운 등 계정설정 및 관리에 필요한 메뉴입니다.




초기에는 이와 같이 세팅한 프로필 내용만 나타납니다. 프로필을 재설정하거나 로그아웃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측 상단에 보이는 점 세 개로 된 아이콘을 터치하면 되고, 토큰 전송이나 파워업/다운 등의 트랜잭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운데에 보이는 카르마 로고를 터치하면 됩니다.




카르마 로고를 터치하면 나의 계정에 보유 중인 KARMA토큰을 전송하거나, 파워업 또는 파워다운을 하거나, 저자 보상 및 파워업에 대한 토큰 클레임을 하는 월렛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KARMA토큰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카르마앱의 가입 및 설치, 사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모바일 SNS를 한 번이라도 사용하신 분들은 월렛 기능 이외의 나머지 메뉴에는 굉장히 익숙하실 겁니다. 따라서 월렛 사용방법, 특히 파워업·다운, 클레임과 관련된 내용만 조금 공부하시면 사용하시는데 전혀 불편함은 없으실 겁니다.

하나 당부드리고 싶은 것은, 가급적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이오스 메인넷 계정을 사용하기 보다는 KARMA 앱 전용으로 사용할 세컨드 계정을 만드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사실 기존 계정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아무래도 프라이빗키를 복사+붙여넣기 하는 과정에서 클라우드와 자동 연동되는 메모장에 적어놓는다거나 이메일을 통해 프라이빗키를 전달하는 경우 해킹의 위험이 굉장히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카르마에 자신의 계정을 입력하고 포스팅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다른 사용자들이 여러분들의 계정을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다른 분들께 많은 자산이 담겨 있는 계정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더더욱 세컨드 계정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 [참고] 카르마앱은 여러분들의 프라이빗키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이 프로필 설정 시에 입력한 프라이빗키는 암호화되어 여러분들의 디바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혹시라도 카르마앱 설치 및 프로필 설정이 어려우신 경우, 또는 카르마 앱을 사용하시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신 경우에는 언제든지 텔레그램으로 다이렉트메시지를 주시기 바랍니다. (텔레그램 ID: @donekim)

(P.S.) 조만간에 카르마 모바일앱의 대대적인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기대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 KARMA 홈페이지 : https://www.karmaapp.io/

- Effect.AI 홈페이지 : https://effect.ai/

- KARMA 공식 텔레그램(글로벌) : https://t.me/karmaapp

- KARMA 공식텔레그램(한국 커뮤니티) : https://t.me/karmakoreaofficial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앱(KARMA App) 가입 및 설치, 사용가이드’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