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Inside]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보안수준은 어떨까? #1편

[EOS Inside]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보안수준은 어떨까? #1편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미디어를 통해 소식을 접하셨겠지만 지난 3월 29일에 빗썸에서 내부자 횡령 사고로 판단되는 도난 사건이 발생했었습니다. 이 도난 사건으로 인해 빗썸에서 보관 중이던 EOS토큰 313만 개, 정확히는 3,130,2673.99개가 순식간에 유출되어 버리는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졌습니다.




빗썸에서는 콜드 월렛이라고 부르는 bithumbshiny라는 계정, 그리고 핫월렛이라고 부르는 g4ydomrxhege 계정 2개에 나누어서 EOS토큰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핫월렛이라고 하는 g4ydomrxhege계정에 보관 중이던 약 313만 개의 EOS가 3월 29일 오후 11시 경에 순식간에 ifguz3chmamg 계정으로 전송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Image Source : EOS Detective


도난된 EOS토큰들은 해당 계정에서 Huobi, HitBTC, WB.com, EXmo, Kucoin, Changelly 거래소 등으로 다시 한 번 흩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현재 이오스에는 EOS Detective와 같이 계정의 활동을 한 번에 파악하기 좋은 툴들이 있기 때문에 토큰들을 여러 계정(거래소)으로 분산을 시킨다고 하더라도 빠르게 파악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핫라인을 통해 해당 사실을 통보받은 거래소들, BP들의 발빠른 대처로 시장에 큰 재앙이 올 뻔했던 위험천만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었죠. 아직 이 도난 사고에 대한 모든 내용이 상세히 밝혀지고 원상 복구가 되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다른 거래소들이나 BP차원에서의 아낌 없는 도움 덕분에 시장에 충격이 오는 것을 막을 수는 있었습니다.

우리들은 이쯤에서 과연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기본적인 보안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프라이빗키를 어떻게 보관을 하고 있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프라이빗키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보안 설계가 되어 있는지는 잠시 논외로 하고 “기본적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EOSIO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안기능을 얼마나 잘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볼까 합니다. 먼저,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거래소들의 상태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적인 수준의 보안설정






제가 지난 포스팅 [EOS Inside] 이오스 계정 오너키 변경방법을 통해 간단히 설명드린 바 있는 것처럼, EOSIO 소프트웨어는 프라이빗키에 권한 계층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 A라는 프라이빗키에는 토큰 전송이나 클레임 등만 할 수 있는 활동 권한(Active permission)을 주고,

- B라는 프라이빗키에는 해당 계정의 활동 권한(Active permission)을 담당하는 프라이빗키를 포함하여 계정의 프라이빗키를 모두 변경함으로써 안전한 소유권을 유지할 수 있는 소유 권한(Owner permission)을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토큰 전송, 에어그랩 토큰 클레임, 투표 등 일상적인 활동 시에는 활동 권한에 연결된 키를 활용하고 혹시라도 활동 중에 활동 권한에 사용되는 프라이빗키를 도난당한 경우, 소유 권한에 연결된 프라이빗키로 도난당한 프라이빗키의 연결을 해제해버릴 수 있습니다. 마치 카드 분실 신고를 하는 것처럼요.

EOS메인넷 런칭 초기에 생성된 계정들은 이 활동 권한(Active permission)과 소유 권한(Owner permission) 모두에 하나의 키(Single key)가 연결되어 있지만, 모든 계정 소유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경우 각각의 권한별로 다른 키(Multi key)를 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계정의 보안 수준을 훨씬 높여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조금 더 나아간 수준의 보안설정




Image Source : Blockgenic


위에서 설명한 “권한별 키쌍 분리사용” 이외에도 EOSIO 소프트웨어에서는 멀티시그(Multi-Sig)기능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멀티시그란 하나의 트랜잭션을 승인하는데 있어서 여러 개의 서명이 필요한 기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기존에 A라는 계정에서 EOS토큰을 거래소로 보낼 때 멀티시그를 설정해놓지 않은 경우에는 스캐터 데스크탑에 입력해 놓은 내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서 마지막에 수락(Allow)버튼만 클릭해서 서명을 하면 곧바로 토큰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B라는 계정에서 토큰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B뿐만 아니라 C라는 계정의 서명도 있어야 하도록 미리 설정을 하는 경우에는, C라는 계정(정확히는 C라는 액티브 권한의 프라이빗키 소유자)도 해당 토큰 전송이라는 트랜잭션을 수락(Allow)버튼만 클릭해서 서명을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위처럼 설정이 되어 있으면, 토큰 전송을 위해서는 해당 계정들 중 15개 이상의 계정소유자들의 서명(Multi-Sig)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Bitfinex 이오스 계정 : bitfinexdep1


현재 암호화폐 거래소들 중에서 가장 보안설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곳은 바로 Bitfinex입니다. 현재 빗피넥스에서는

① 액티브 권한과 오너 권한의 키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고,

② 오너 권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서명(Multi-Sig)가 필요

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계정탈취 및 토큰 도난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극히 드물고, 혹시나 특정 권한에 연결되어 있는 프라이빗키 하나를 도난당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자체적으로 곧바로 대처가 가능합니다.




#3. 빗썸 거래소의 보안 수준




이번에 도난사고가 발생한 빗썸 핫월렛 계정 : g4ydomrxhege



빗썸의 콜드월렛 계정 : bithumbshiny


위에서 살펴본 Bitfinex와는 사뭇 대조적인 인상을 느낄 수 있는 빗썸의 계정들입니다. 액티브 권한과 오너 권한에 하나의 키(Single key)를 사용하고 있으며 멀티시그는 설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당 프라이빗키에 접근하는 내부적 절차 또는 프라이빗키의 보관 장소의 보안성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고, 이와 같이 계정 권한에 연결된 키를 하나의 단일한 키(Single key)로 사용하는 것은 보안수준이 제일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해당 프라이빗키가 유출이 되면 해커들은 바로 해당 계정에 연결된 키쌍을 변경하고 자기 계정처럼 사용이 가능하며 빗썸에서 딱히 손을 쓸 수 있는 방법은 없게 됩니다. 즉, 일단 프라이빗키가 노출되고 나면 빗썸에서는 다른 거래소나 BP들에게 도와달라고 요청을 하는 일 말고 본인들이 조치하거나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입니다.

이미 EOSIO 소프트웨어에서는 모든 계정의 보안성을 높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해 놓았으나, 정작 고객들의 소중한 자산들을 예치하고 있는 거래소는 이 기본적인 편의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다음의 이어지는 포스팅에서는 과연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들을 포함하여 다른 거래소들의 보안 수준이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보안수준은 어떨까? #1편’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앱 계정별 파워업 내역 확인방법

[카르마KR] 계정별 파워업 내역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카르마앱 한국 엠버서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카르마앱에서 활동 중인 유저들의 파워업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카르마앱에서는 특정 유저가 얼마나 많은 수량의 KARMA토큰을 파워업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지만, 이미 해외에서 활동 중인 유저들은 이 방법을 활용하여 고래 계정을 확인하고 팔로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고래 계정을 확인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별도의 스테이킹 없이 형식적인 보팅만 하고 자신들이 받은 포스팅 리워드를 시장에 던지는 페이크 계정들과 스캠유저들을 판별하기 위함”임을 말씀드립니다.

카르마앱이 다양한 유저들과 풍성한 콘텐츠로 북적거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유저들에게 더 많은 보팅으로 응원을 하고 그렇지 않은 유저들에게 소중한 보팅파워를 낭비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먼저 블록 익스플로러에서 카르마 계정을 검색해주세요.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셔서 직접 접속하셔도 됩니다.

- 링크 : https://bloks.io/account/therealkarma




그 다음으로는 Account 탭 오른쪽에 보이는 Contract라는 탭을 클릭해주세요




그 다음 powered라는 탭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12자리 이오스 계정을 Scope 하단의 박스칸에 입력하고 Refresh버튼을 클릭해주세요.




Refresh버튼을 클릭하고 나면 위와 같이 weight라는 문구 하단에 “해당 유저가 몇 개의 KARMA토큰을 파워업(스테이킹)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해당 계정의 파워업하고 있는 수량이 아닌 리퀴드 수량(파워업을 하지 않아서 당장에 전송이 가능한 토큰 수량)을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powered탭 대신에 accounts라는 탭을 클릭하시고 해당 계정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단체 보팅 리워드 답함 활동을 하는 계정들은 대부분 powered라는 탭에서 조회했을 때,

①보팅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최소 수량인 100,000 KARMA에 맞춰 파워업이 되어 있고,

②분명 카르마앱에서 많은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많은 보팅을 받고 있으나,

③파워업 수량이 늘어나지 않고, accounts 탭에서 조회되는 리퀴드 수량 또한 늘어나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니면 위와 같이 100,000 KARMA가 넘어가는 수량에 대해서는 더이상 파워업을 하지 않고 보유만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이는 다른 유저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큰 파워로 보팅을 해주는 선의의 사용자이기 보다는 거래소에서 토큰을 현금화하려고 준비 중인 스캐머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물론 자신의 리워드로 받은 토큰이나 거래소에서 투자 목적으로 구매한 토큰들의 처분은 전적으로 해당 계정의 자유의사이며, 이에 대해서 비난을 할 수도 없고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여러 개의 페이크 계정을 만들어서 조직적으로 움직이며 상호 보팅을 하고 이와 같은 이기적인 행동을 통해 얻은 수익을 자신들의 사업처럼 악용하는 사용자가 있다면 이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차원에서 스스로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기여활동에 대한 보상을 위해 존재하는 토큰 인플레이션을 마치 세금처럼 토큰 홀더들이 떠안아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보면서 웃음을 지을 수 있거나 마음이 따뜻해지거나, 즐거운 콘텐츠, 공감가는 콘텐츠 등에 대해서는 아낌없이 보팅을 해주시되 혹시라도 내가 밑빠진 독에 물을 붓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한 번쯤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이오스 이야기] 카르마앱 계정별 파워업 내역 확인방법’

[테이스팀] 숯불구이 돼지갈비 인생맛집, 원조 산장가든!

title_imag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저의 숯붋구이 돼지갈비 인생 맛집을 테이스팀에서 소개드려볼까 합니다. 사실 오래 전부터 소개를 하고 싶었지만, 일단 음식만 나오면 자르고 굽고 먹느라 바빠서 사진을 찍지 못했던 탓에 이제서야 소개를 하게 되었네요.

20190331_160855.jpg

지난 주말에는 날씨가 오락가락 하다가 잠깐 맑게 개어서 바람도 쐬고 맛있는 것도 먹을겸 산장가든이 있는 고복저수지로 드라이브를 나갔습니다.

20190331_160703.jpg

상호명 : 원조 산장가든
주소 : 세종 연서면 도신고복로 1131-7

몇년 전까지만 해도 정말 시골 할머니집 같이 생겼던 산장가든이 현재는 대대적인 건축공사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리모델링이 아니라 신규 건축입니다 덜덜) 조그맣고 오래된 한옥 건물이 세련된 건물 2채로 거듭나고 있는 것을 보고 있자니, 정말 사장님이 돈을 많이 벌긴 하셨구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20190331_161032.jpg

20190331_160751_HDR.jpg

본 건물은 2019년 4월에 완공될 예정이고, 현재는 원래 장사를 하시던 곳 옆에 있던 주거공간을 활용하여 장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4월 이후에는 뭔가 투박하고 오래된 맛집의 느낌을 더 이상 느끼지 못하겠네요 ㅠㅠ

20190331_162902.jpg

산장가든의 대표 메뉴는 “원조갈비, 매운갈비, 동치미국수” 입니다. 본래는 순한맛의 원조갈비만 있었는데 한 1년 정도 전에 갑자기 매운갈비가 메뉴에 추가되었습니다. 여친님께서는 원래부터 먹어오던 원조갈비를 좋아하고, 저는 매운갈비에 빠져 사는 중입니다.

20190331_163156.jpg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반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다할 특별한 반찬은 없지만 김치랑 샐러드, 나물무침은 꽤나 맛있는 편입니다. (원래 좋아라하던 갓김치가 최근에 없어졌네요)

20190331_163441.jpg

요것이 바로 원조갈비 2인분과 매운갈비 1인분입니다. 기본적으로 다 구워져 나오기 때문에 바로 먹어도 되고, 취향에 따라서 양파와 마늘을 넣고 조금 더 구워서 먹어도 맛이 일품입니다 :)

20190331_163629.jpg

이 죽여주는 때깔이 보이시나요. 이때가 제일 설레는 순간입니다.

20190331_163726.jpg

매운 갈비까지 먹기 좋게 잘라주겠습니다.

20190331_163927.jpg

자 이제는 마구 먹기만 하면 됩니다. 생각보다 캔들 화로의 화력이 강한 편이라서 먹는 동안 아래쪽이 탈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뒤적뒤적 해줘야만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매운 맛은 개인적인 기준에서는 일반적인 제육볶음보다 약간 더 매운 정도인 것 같아요. 매운 맛을 잘 못드시는 분들도 충분히 드실 수 있는 정도의 맵기입니다 :)

이번 방문 때도 웨이팅을 피해보고자 오후 4시반이라는 애매모호한 시간에 타임어택을 하였으나, 한 20분 정도 기다렸습니다.ㅠㅠ

원조 산장가든은 친구들이 놀러오거나 부모님께서 내려오셨을 때 꼭 들르는 곳인데, 실제로 제 친구 중에서는 이 맛이 그리워서 서울에서 1시간 반 정도 운전해서 왔던 친구도 있습니다. 그 정도로 정말 대단한 숯불구이 돼지갈비의 미친 맛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이미 몇 십년 동안 이렇게 장사가 잘 되고 있다는 사실이 이 인기와 맛을 증명해주는 것 같네요. (사실 서비스는 여느 맛집이 그렇듯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ㅎㅎㅎ)

20190331_161041.jpg

식사가 끝나고나면 주변 경치도 좀 둘러보시고, 고복저수지 드라이브를 하시다가 경치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까페에서 커피 한 잔 하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나름의 데이트코스라능!)

스티미언 이웃님들께 강추드립니다.
돼지갈비 성애자라면 산장가든은 꼭 한 번 가보세요!! :)


맛집정보

산장가든

score

대한민국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고복리 32


[테이스팀] 숯불구이 돼지갈비 인생맛집, 원조 산장가든!

이 글은 Tasteem 컨테스트
내가 소개하는 이번 주 맛집에 참가한 글입니다.


테이스팀은 무엇인가요?

tasteem_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테이스팀] 숯불구이 돼지갈비 인생맛집, 원조 산장가든!’

[EOS Inside] 퍼블리토(PUBLYTO) 커뮤니티 에어드랍 이벤트 안내

main deonkim eos.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크로스미디어 콘텐츠 플랫촘 퍼블리토(PUBLYTO)에서 오픈베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힘써주신 펍플들의 노고에 감사하는 마음과 새롭게 승선하게 될 유저분들을 환영하는 취지에서 커뮤니티 에어드랍을 진행합니다.

본 이벤트는 ①이미 퍼블리토에서 활동 중이시거나, 아니면 ②아직 퍼블리토에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신 분들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에어드랍입니다. 선착순 신청이니 아직 신청하지 못한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어 꼭 커뮤니티 에어드랍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pub airdrop.jpeg

> 이미지 출처 : 퍼블리토 공식 미디엄

(1) 에어드랍 신청기간 : 2019년 4월 1일(월) ~ 4월 8일(월) 24:00

(2) 에어드랍 시작일 : 2019년 4월 12일(금)

(3) 에어드랍 수량 : 1인당 850 PUB
※ 본 에어드랍은 1,000,000 PUB을 한도로 선착순으로 진행되는 이벤트입니다.

(4) 신청방법
본 에어드랍에 참여하시기 위해서는 텔레그램 계정과 퍼블리토 계정이 필요합니다.

① 퍼블리토 텔레그램 조인하기 (ENG/KOR 모두)
- 퍼블리토 KOR : https://t.me/publyto_kr
- 퍼블리토 ENG : https://t.me/publyto

② 퍼블리토 텔레그램에(KOR/ENG 모두) 가입인사 남기기
③ 퍼블리토에 게시물 업로드하기
퍼블리토 에어드랍 이벤트 공지문에 방문하여 댓글 남기기


(5) 댓글을 남기는 방법

reply.png

위의 예시와 같이 댓글 제목에는 본인의 텔레그램 계정명을 입력하시고, 댓글 본문에는 퍼블리토에 업로드한 본인의 게시물 URL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때 업로드한 본인의 게시물은 4월 1일부터 업로드 된 것만 인정됩니다)

  • 댓글 제목 : KOR(또는 ENG) @텔레그램계정명
  • 댓글 본문 : 퍼블리토 게시물 URL
    ※ 텔레그램계정명은 @로 시작하는 계정명을 의미합니다. 설정하신 대화명을 입력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main page.png

현재 퍼블리토의 커뮤니티 에어드랍 이벤트 공지는 퍼블리토 메인화면(https://publyto.com/)에서도 위와 같이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4월 12일에 에어드랍되는 850개의 PUB토큰을 스테이킹하고 이 상태를 1개월 간(5월 12일까지) 유지하는 경우 850개의 PUB토큰을 추가로 지급하는 1+1 스테이킹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퍼블리토의 회원가입, 사용방법 등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제가 이전에 작성한 포스팅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퍼블리토에 회원가입 후 게시물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스타그램 또는 구글(유튜브) 계정이 있어야합니다.^^

donekim.gif

디온의 이오스 이야기 시리즈 한 눈에 보기


#1. 이오스 생태계 초심자를 위한 기초설명

(0) 암호화폐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보안 안전수칙

(1) 기존 암호화폐(비트코인/이더리움)와 이오스의 지갑생성 차이점 설명

(2) 이오스 계정 생성 방법 설명

(3) 스캐터 데스크탑 설치 및 계정등록 방법 설명

(4) 이오스 지갑들의 종류 및 특징

(5) 이오스 키쌍(Key pairs) 및 권한(Permission)에 관한 설명

(6) 액티브키(Active key) / 오너키(Owner key)에 관한 설명

(7) [토큰 배분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

(8) [EOS 키 분실자들을 위한 정보]


#2. 툴킷 설명 및 종류별 사용방법

(1) 툴킷(Toolkit)에 대한 설명

(2) 이오스 허브(eoshub.io) - by EOSYS 사용방법

(3) 마이이오스킷(myeoskit.com) - by EOS ASIA 사용방법

(4) 블록스닷아이오(bloks.io) - by EOS Cafe Block & HKEOS 사용방법


#3. 이오스 댑(DApp) 생태계 자세히 살펴보기

(0) 이오스의 댑 생태계 훑어보기 시리즈

(1) 아티디움(Atidium) : 이오스 기반 자산관리 매니저

(2) 호루스페이(HORUSPAY) : 이오스 기반 글로벌 페이롤 포탈

(3) 덱시오스(DEXEOS)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거래소

(4) 친타이(Chintai) : 이오스 자원임대 플랫폼

(5) 데블(Dabble) : 이오스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6) 파슬(Parsl) : 합법적인 대마초 공급망 관리 플랫폼

(7) 하이어바이브즈(HireVibes) : 크라우드 소싱 기반 탈중앙화 채용 플랫폼

(8) [센스챗(SenseChat)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P2P 메신저]

(9) 이오스나이츠(EOSKnights) : 이오스 기반 방치형RPG 게임

(10) 리들(RIDL)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평판 및 신원관리 시스템

(11) 카르마(KARMA) : 이오스 기반 탈중앙화된 선행보상 소셜 플랫폼

(12) 루미오스(Lumeos) : 탈중앙화된 소셜 서베이 플랫폼

(13) 엠앤에잇(Emanate) :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음원 거래 플랫폼

(14) 퍼블리토(PUBLYTO) : 크로스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15) 이오스나이츠 : 방치형RPG 게임

(16) 페트리오스(PETREOS) : 탈중앙화된 콘텐츠 공유, 구독, 펀딩지원 플랫폼

(17)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Privacy Payment Token pEOS


#4. 이오스 거버넌스 살펴보기

(1) 1편 : 레퍼렌덤 개념 설명

(2) 2편 : 레퍼렌덤 투표방법 설명

#5. EOS.IO 코드 포크체인 살펴보기

(1) EOSIO 코드 포크체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

(2) 포크체인(Forkchain)에 대한 설명

(3) 메인체인과 포크체인의 비교 설명

(4) 텔로스(TELOS)

(5) 워블리(WORBLI) : 기업 금융 시스템 운영에 최적화된 시스터체인

(6) 보스코어(BOScore) : 이오스 생태계 최초의 사이드체인(Sidechain)

donekim.gif
behind banner.gif



 H O P E   F O R   T H E   B E S T ,
P L A N F O R T H E W O R S T

https://steemit.com/@dONeki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퍼블리토(PUBLYTO) 커뮤니티 에어드랍 이벤트 안내’

[테이스팀] 대통령과 백종원이 극찬한 맛집, 스마일칼국수

title_image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문재인 대통령과 백종원이 극찬한 대전의 대표 칼국수 맛집 “스마일칼국수”를 소개합니다.

photo_2019-03-31_23-50-54.jpg

상호명 : 스마일 칼국수
주소

스마일칼국수는 예전에 백종원의 3대천왕에 출연하고 한동안 엄청난 인파가 몰리기도 했었던 칼국수 맛집이라서 아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살면서 먹어본 칼국수 중에서 제일 맛있게 먹었던 곳이라 정말 애정하는 곳인데, 2015년쯤에는 너무 사람들이 많이 몰려서 한동안 못갔었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ㅎ

photo_2019-03-31_23-50-55 (2).jpg

가게에 들어가면 백종원이 방문해서 정말 맛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던 맛집답게, 메뉴 옆에 백종원의 사인이 걸려 있습니다. 벌써 약 4년 전이라 그런가 요새는 사람들이 그때만큼 미친듯이 몰리지 않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로 북적거려서 점심시간이나 저녁 시간에는 간혹 웨이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얼마 전에 문재인 대통령께서 대전에 오셨을 때도 이 곳에서 식사를 하고 가셨다고 해서 한창 이슈가 된 적도 있었죠. 위의 사진 왼편에 문대통령과 사장님이 함께 찍은 사진도 있었는데 깜빡하고 사진을 못찍어 왔네요 ㅠㅠ

photo_2019-03-31_23-50-55.jpg

스마일칼국수는 디포리로 낸 감칠맛 넘치는 칼국수 국물도 자랑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매일매일 직접 만든 수타면의 식감이 일품입니다. 이렇게 한쪽에 제면실이 따로 있어서 직접 면을 만드는 광경을 구경하실 수도 있습니다.

photo_2019-03-31_23-50-57.jpg

칼국수집의 맛은 칼국수 뿐만 아니라 김치에 의해서도 좌우된다고 할 수 있는데, 스마일칼국수의 배추김치는 정말 신선하고 식감이 좋아서 칼국수와의 궁합이 정말 좋습니다.

photo_2019-03-31_23-50-59.jpg

두 줄에 5천원인 김밥입니다. 오랜 시간 잘 조리고 볶아낸 유부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질 좋은 참기름의 향 덕분에 집에서 어머니가 맛있게 싸주신 김밥의 맛입니다.

photo_2019-03-31_23-51-00.jpg

스마일 칼국수의 대표메뉴 수타 칼국수 입니다. 기본적으로 디포리와 멸치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쑥갓과 들깨가 들어가 있습니다.

들깨가 향이 강해서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들깨를 별로 좋아라하지 않는데, 이 곳에서는 들깨가루를 함께 섞어먹어야만 감칠맛이 더 올라가는 놀라운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photo_2019-03-31_23-51-02.jpg

본연의 국물맛이 궁금하신 분들은 처음에는 살짝 들깨를 걷어내고 드시다가, 조금 심심한 느낌이 들면 그때 들깨가루를 함께 섞어드셔도 좋습니다.

photo_2019-03-31_23-51-04.jpg

수타면이라고 하면서 어설프게 기존의 면반죽을 손으로 짓이겨서 나오는 칼국수집들이 많은데, 이 곳은 기성제품처럼 잘 정돈된 수타면입니다. 확실히 전통이 오래된 집 답게 면발의 식감이 정말 좋습니다.

동죽조개나 바지락이 들어간 칼국수를 좋아라 하시는 분들께는 조금 허전한 느낌이 있을 수 있지만, 절대 양은 적은 편이 아닙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보다 양 자체가 굉장히 많아서 다 먹으면 정말 배 터지는 수준입니다)

혹시라도 칼국수 성애자이시라면, 언젠가 한 번은 꼭 스마일칼국수를 가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아마도 드실 때는 “뭐 그리 특별하진 않은데?”라는 생각을 하실지도 모르겠지만, 집에 가서 자꾸 생각나는 딱 그런 맛입니다 :)


맛집정보

스마일칼국수

score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440-1


[테이스팀] 대통령과 백종원이 극찬한 맛집, 스마일칼국수

이 글은 Tasteem 컨테스트
내가 소개하는 이번 주 맛집에 참가한 글입니다.


테이스팀은 무엇인가요?

tasteem_banner.p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테이스팀] 대통령과 백종원이 극찬한 맛집, 스마일칼국수’

[EOS Inside] 일상에서 모든 토큰전송을 간편하게? 팁잇!

[EOS Inside] 일상에서 모든 토큰전송을 간편하게? 팁잇!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즈 디온(@donekim)입니다. 비트코인이 세상에 태어난지 10년, 이더리움이 4년, 이오스가 1년이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모든 크립토애셋이나 암호화폐는 일반인들에게 있어 “굉장히 다루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앙화된 특정 서비스 업체가 나의 정보를 관리해주고, 서버 해킹에 대응을 해주며 나의 자산을 관리해주던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인간의 머리로는 쉽게 외울 수 없는 난수로 된 프라이빗키를 오롯이 나 혼자서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은 너무나 부담스럽게 느껴지고, 이것을 어딘가에 잘못 입력해서 혹시라도 해킹이 될까 우려가 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크립토애셋들을 개인 지갑보다는 거래소에 두고 있는 실정입니다. 주변의 많은 해킹사례를 접하면서, 혹시라도 지갑에 프라이빗키를 입력하다가 해커에게 유출될까봐, 또는 내가 입력한 지갑 주소가 피싱사이트일까봐 두렵기 때문에, 정말 간단한 “토큰 전송”도 너무나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토큰들을 거래소에 마냥 방치해놓은 채로 프라이빗키를 보다 편하게 관리하면서도, 계정을 안전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다리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블록체인 기술이나 암호화폐에 대한 지식이 없는 분들도 정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해야만 크립토애셋이 우리의 일상 속에 자리잡는 진정한 매스 어답션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건 너무도 자명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많은 사용자들의 니즈(needs)가 반영된 서비스들이 이오스 생태계에서 이제 하나 둘 씩 출시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고자 하는 팁잇(Tipit)이 바로 그것입니다.


A Multi-platform EOS Currency Transfer Bot : Tipit


팁잇 또는 티핏이라고 부를 수 있는 Tipit이라는 서비스는 “EOS기반 토큰들의 전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멀티 플랫폼 봇(Bot) 서비스”입니다. 팁잇을 사용하면, 별도로 모바일 월렛을 사용하거나 스캐터 데스크탑을 통해 신원인증을 할 필요 없이 채팅창에서 간단한 명령어 입력 만으로 정말 쉽고 간편하게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디앱 토큰(DApp Token)들을 다른 유저에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Image Source : Tipit.io


팁잇을 멀티 플랫폼 봇(Multi-Platform Bot) 서비스라고 하는 이유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들을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소셜 플랫폼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팁잇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인 소셜 플랫폼들을 살펴보면 디스코드(Dircord), 텔레그램(Telegram), 트위터(Twitter), 레딧(Reddit)을 포함하여 문자서비스(SMS)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디스코드에서 시범운영이 되고 있으며, 곧 텔레그램이나 트위터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개발이 진행 중에 있는 이 팁잇은 EOS토큰을 포함하여 PUB, IQ, KARMA, BEAN, BOID, PIXEOS, ZOS 등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다양한 토큰들의 전송 기능을 지원합니다.




팁잇 사용방법은 카카오페이에 내 은행계좌를 연결해놓고 카카오톡에서 사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위와 같이 팁잇 홈페이지( https://tipit.io/)에서 스캐터 데스크탑으로 먼저 로그인을 해줍니다.




그 다음 나의 소셜 계정과 이오스 계정을 연결하고, 소셜 플랫폼에서 팁잇 서비스를 통해 자유롭게 주고받을 토큰을 미리 넣어둡니다. 이렇게 미리 설정을 해놓게 되면, 그 다음에는 별도의 스캐터 데스크탑 인증 없이, 채팅창에서 상대방 계정과 간단한 명령어 입력을 통해 해당 토큰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트랜잭션들은 블록익스플로러에서 투명하게 공개되며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팁 문화가 발달되어 있지 않아서 실제로 아는 분들끼리 토큰을 전송할 때만 사용될지도 모르겠지만, 해외에서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거나, 좋은 콘텐츠를 공유해주는 분들, 난처한 상황에 있는 유저에게 온라인에서 도움을 준 사용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방식으로 이런 팁 문화가 발달해있어서 이런 서비스가 등장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카카오 친구에게 카카오뱅크나 카카오페이를 이용해 돈을 보내듯, 이제는 텔레그램이나 트위터, SMS등으로 EOS나 PUB토큰, KARMA토큰, IQ토큰 등을 주고 받는 날이 이제 더 이상 먼 미래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하나 둘 씩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여 크립토애셋과 EOS가 우리 일상 속 더 깊은 곳에 자리하길 바라봅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일상에서 모든 토큰전송을 간편하게? 팁잇!’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