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설문조사 진행중] 플래그 아이콘을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

polling.jp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몇 시간 전에 @steemitblog에서 Poll: Flags or Downvotes?이라는 포스팅을 통해서 “플래그를 다운보팅 모양의 아이콘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스티밋 커뮤니티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플래그 아이콘을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2018년 1월에 @timcliff가 Change flag to downvote #2258를 통해서 제안을 한 바가 있었고, 현재 Steemit Team에서는 이 제안처럼 플래그 아이콘을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을 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콘을 변경하기 전에 댓글로 커뮤니티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참여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질문 및 응답방법


(1) 질문 : “플래그를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2) 응답방법 : 위의 질문과 관련하여, Poll: Flags or Downvotes? 포스팅 방문후

  • 플래그 아이콘을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바꾸는 게 낫다 → 댓글에 “YES”로 응답
  • 플래그 아이콘을 현행처럼 유지하는 것이 낫다 → 댓글에 “NO”로 응답

flag.png

저도 처음에 스티밋을 시작하고 나서 꽤나 오랜 시간동안 “다운보팅”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확실히 유튜브처럼 좋아요와 싫어요 아이콘이 함께 붙어 있는 것이 아니고, 플래그는 별도로 숨겨진 기능처럼 존재하다 보니 일반적으로 유저들이 쉽게 인지하기는 어려운 특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셀프 댓글 보팅을 하는 봇을 돌리고 있는 몇몇 몰지각한 유저들이 있긴 하지만, 2018년 초만 하더라도 다계정을 만들어서 조직적으로 활동했던 어뷰징 유저들이 꽤 많았었던 관계로 이런 어뷰징 계정들을 열심히 찾아내서 다운보팅을 하는 활동을 하시는 분들도 있었죠.

그때 다른 분들의 포스팅을 보면서 “플래그가 다운보팅이었구나”라고 깨달았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쩌면 무분별한 다운보팅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을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플래그 아이콘이 보다 직관적인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되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 설문조사 진행중] 플래그 아이콘을 다운보팅 아이콘으로 변경’

[스캠주의] 슈퍼트론, 슈퍼이오스, 월드에이다 등 조직적인 네트워크 사기 조심

STEEMIT MAIN.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약 2개월 전쯤에 [스캠주의] 이오스로 위장한 다단계 폰지사기 슈퍼이오스(SuperEOS)를 조심하세요라는 포스팅을 통해 슈퍼이오스라는 다단계 사기가 조직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규모를 키워가고 있으니, 사기에 당하지 않게 조심하시라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었는데, 이러한 사기 행위가 여러 다른 프로젝트들에서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scam.png

원문 : [안내] 특정 암호화폐 명칭을 이용한 프로젝트 주의 안내 - 업비트

이 사기집단들을 집단적인 모객 행위는 오히려 블록체인 및 크립토씬의 투자자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 네이버 카페나 네이버 밴드 등을 통해 굉장히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심각한 수준이고, 주 타겟 대상이 인터넷이나 휴대폰 사용을 통한 정보습득에 있어 취약한 50대~60대입니다.

잘 아시는 분들은 '이런 말도 안되는 사기에 당하는 분들이 있을까?' 싶으시겠지만, 네이버 카페나 밴드 등에서 검색어를 통해서 찾아보시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가입되어 있으셔서 놀라운 수준입니다. 오히려 가까운 주변분들 중에서 이런 사기에 연루되신 분이 있지는 않은지 확인을 해봐야 할 정도인 듯 싶습니다.

scam tron.png

대부분의 사기 수법은 비슷합니다. 크립토씬에서 나름 인지도 있고 거대한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로젝트들을 골라서 “공동 마케팅, 네트워크 마케팅을 진행한다는 명목 하에 사람들을 가입시키고 투자를 유치하면 커미션을 주는 전형적인 다단기 사기 수법”을 따르고 있습니다.

위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트론(TRON)과는 1도 상관이 없는 “슈퍼트론(STRON) 또는 트론 골드(TRON Gold)라는 이름의 다단계 사기”가 성행하고 있으며

scam cardano.png

카르다노 재단 및 에이다(ADA)와는 1도 상관이 없는 “월드 에이다(World ADA)라는 이름의 다단계 사기”가 성행 중입니다.

참 기본적인 상식 수준에서 생각해봐도 “누가 이런 거에 당할까” 싶은데, 비트코인의 비자로 모르는 제 지인이 얼마 전에 슈퍼이오스를 물어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슈퍼” 또는 “월드”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는 업체에 투자한다고 하시는 어르신들이 계시지는 않는지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DSOP4LtWWvc

유튜브 영상까지 만들어서 선동을 하는 이런 사기꾼들에게는 “싫어요”가 답 인듯 싶습니다. (댓글은 왜 못달게 해 놓았을까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는 선의의 피해자들이 생기지 않도록 해당 영상에 싫어요 클릭을 꼭 한 번 부탁드립니다! ㅠㅠ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캠주의] 슈퍼트론, 슈퍼이오스, 월드에이다 등 조직적인 네트워크 사기 조심’

[EOS Inside] 새로운 게임 즐기고 ITAM토큰 받자!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아이텀 스토어(ITAM.store)에 스푸키즈 퍼즐 링크, 양파기사단에 이어 우주의 장애물들을 피하며 속도를 즐기는 레이싱 게임 “스페이스 라이더”가 등장했습니다.

아이텀 게임즈에서는 스페이스 라이더의 출시 기념으로 플레이어들의 Play to Earn을 위한 토큰 리워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니, 평소에 모바일 게임을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스페이스 라이더를 즐겨보시고 ITAM토큰도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1) 이벤트 내용 : 스페이스 라이더 구슬 획득점수 300점을 달성해보자!

(2) 이벤트 상품 : 총 50,000 ITAM 토큰

(3) 이벤트 기간 : 2019년 4월 29일(월)부터 시작 (33번째 순서의 달성자 발생 시 종료)

(4) 이벤트 발표 : 아이텀 게임즈 SNS채널을 통해 발표 (하단 URL참고)

(5) 상품지급대상
- 300점 첫 번째 달성자 : 10,000 ITAM
- 300점 두 번째 달성자 : 7,000 ITAM
- 300점 세 번째 달성자 : 3,000 ITAM
- 300점 네 번째부터 33번째 달성자 : 각 1,000 ITAM

(6) 주의사항 : x2 광고보기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아직 아이텀 스토어에서 다양한 게임들을 즐겨보지 않으신 분들은 아이텀 스토어 공식 홈페이지(https://itam.store/)에서 앱을 다운받아서 EOS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모바일 게임들을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


[ITAM GAMES SNS채널]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itamgames
- 트위터 : https://twitter.com/itamgames
- 텔레그램(EN) : https://t.me/itamgames
- 텔레그램(KR) : https://t.me/itamgameskr
- 미디엄 : https://medium.com/itam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itamgames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새로운 게임 즐기고 ITAM토큰 받자!’

[EOS Inside] EOSREX 총정리 가이드

[EOS Inside] EOSREX 총정리 가이드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이오스 메인넷에서 REX를 만나 보게 될 날이 이제 정말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REX에 대해 이것저것 궁금한 점이 많기는 했지만 도대체 REX가 무엇인지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분들을 위해서 EOSREX 총정리 가이드를 준비하였습니다.

> 본 가이드는 REX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서, REX가 왜 필요한지, 언제부터 사용이 가능한지, 자격요건, 작동방식, 가격책정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분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평소에 REX에 대해서 궁금한 것들이 많으셨다면, 이 포스팅 하나로 모든 것을 정리하실 수 있습니다. REX시스템을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꼭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REX란?






REX는 Resource Exchange의 약자로, 2018년 8월 8일 블록원이 공식적으로 제안“이오스 메인넷에서의 CPU 및 NET자원을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2. REX는 왜 필요할까?







Image Source : https://eosauthority.com/rex


(1) EOS 토큰 홀더



자신의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 EOS 네이티브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투표에 참여하고 있는 토큰홀더라면 누구나 REX시스템을 통해서 리스크 없이 네트워크 자원(CPU와 NET)을 빌려주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토큰 홀더의 입장에서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① EOS토큰 스테이킹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CPU/NET자원 중 여유분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임대해줄 수 있다.


> ② REX토큰으로 변환 후 4일 동안의 만기 기간(maturity period)만 지나면 언제든지 다시 EOS로 변환이 가능하다.


> ③ 친타이처럼 다른 계정으로 EOS토큰을 전송하는 방식 대신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계정에서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② 개발자(디앱)



반대로, 이오스 메인넷에서 자원이 필요한 개발자나 디앱 프로젝트사는 REX시스템을 통해서 저렴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기간동안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디앱)의 입장에서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① 개발자(디앱)은 자신들이 원하는 만큼의 네트워크 자원을 임대할 수 있습니다. 최소 또는 최대로 임대가능한 자원의 수량의 제한이 없습니다.


> ② 한 달 단위로 임대계약체결이 가능하며, 원하는 경우 동일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임대계약을 계속해서 자동갱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③ 수많은 토큰홀더들이 임대자로 참여하는 REX라는 대형 마켓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EOS토큰을 수수료로 지불하고 자원을 임차할 수 있습니다.








#3. REX는 언제부터 사용가능할까?




Image Source : https://eosauthority.com/approval


EOS메인넷에 REX를 배포하기 위한 3가지의 단계 중 2가지에 대한 액티브BP들의 승인이 이뤄지면서, 이제 최종 단계만이 남아 있습니다.

마지막 프로포절은 2019년 4월 29일에 제안되어 4월 마지막 주 또는 5월 첫째 주에 승인이 될 예정입니다.

정말 머지 않은 미래에 곧 REX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4. REX 자격요건




Image Source : https://bloks.io/vote



Image Source : https://bloks.io/vote/proxies


REX는 “이오스 메인넷에서 EOS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BP투표에 참여하고 있는 투표참여자들에게 온체인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및 보상을 지급”하기 위하여 탄생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REX시스템을 통해 자원을 임대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의 기본자격 중 하나를 반드시 충족하여야만 합니다.

① 최소 21명 이상의 블록프로듀서들(BPs)에게 직접 투표하고 있을 것
② (직접 투표가 어려운 경우) 대리투표자(Proxy)에게 자신의 투표권을 위임하고 있을 것

> [참고사항] 둘 중 하나의 요건만 충족하면 되며, 투표권을 위임하는 프록시가 반드시 21명 이상의 블록프로듀서들에게 투표할 필요는 없습니다.





#5. REX의 작동방식




Image Source : https://eos.chintai.io/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REX는 이오스 메인넷에서의 자원(resource) 거래 시스템으로 기본적인 원리는 친타이(Chintai) 플랫폼과 굉장히 흡사합니다.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계정에 보유하고 있는 EOS토큰을 시스템에서 임대해주고 이에 대한 임대수익을 얻는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① 임대(임차)기간 및 갱신가능 여부

- REX : 30일 (총 1개의 기간 존재, 1개월 단위로 갱신 가능)

- 친타이 : 7일, 14일, 21일, 28일 (총 4개의 기간 존재, 갱신 불가)




② 자원의 임대방법

- REX : 계정에 스테이킹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곧바로 임대 가능 (스테이크 되어 있는 EOS, 언스테이킹 되어 있는 EOS 모두 사용 가능)

- 친타이 : 언스테이킹 후 EOS토큰을 친타이 계정으로 전송해야 함 (언스테이킹 되어 있는 EOS만 사용 가능)




③ 임대수익의 결정

- REX : REX풀에 쌓이는 수수료 및 EOS토큰과 REX토큰의 전환/재전환 시의 전환비율에 따름

- 친타이 : 각 기간별 마켓 참여자(임차인)가 제시하는 가격에 따름




④ 임대(임차)를 위한 별도의 매개체

- REX : REX토큰이라는 전송불가능하고, 사용자들끼리의 직접 거래가 불가능한 매개체를 활용

- 친타이 : 별도의 매개체 없음 (EOS 토큰을 직접적으로 활용)




⑤ 회수시점

- REX : 최초 EOS토큰을 REX토큰으로 변환 시에 필요한 만기기간(4일) 이후 언제든지 회수 가능

- 친타이 : 각 기간별 마켓의 계약기간(7일, 14일, 21일, 28일) 만료 시 자동회수(중도 회수 불가)







#6. REX토큰의 가격책정




Image Source : https://eosrex.io/


아마도 많은 분들이 REX토큰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REX 토큰의 가격은 ①자원(resource)에 대한 임차 수요, 그리고 ②추가적인 시스템상 수수료의 적립 여부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산식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REX토큰의 가격=임대가능수량(Lendable)÷REX풀의 REX토큰 전체수량

> ※ 임대가능수량(Lendable) = 임대된 수량(Lent) + 미임대 수량(Unlent)





따라서, 위의 이미지에서 확인 가능한 수량을 예시로 계산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EX토큰의 가격 = 6,744,720.8949 ÷ 25,514,046,857.6908 = 0.00026435

그런데 여기서 누군가가 자원(resource)을 임대하고 이에 대한 수수료(EOS)를 지급하면 해당 수수료는 임대가능수량(Lendable)에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REX토큰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https://cdn-images-1.medium.com/max/800/1sBZa5AOnOgWykzeXUoWLAw.png)

네임비딩 수수료 계정(eosio.names)



RAM거래 수수료 계정(eosio.ramfee)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프리미엄 계정 비딩 수수료 계정(eosio.names)RAM거래 수수료 계정(eosio.ramfee)까지 추가로 적립이 된다면 REX토큰의 가격은 눈에 띄게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7. REX 거래 전략



토큰홀더들이 EOS토큰을 REX토큰으로 전환한 다음 다시 REX토큰에서 EOS토큰으로 회수를 했을 때 전환 전의 수량보다 더 적은량의 EOS토큰을 받을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특히 REX시스템 등장 초기에 전환을 한 경우라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따라서, 만약 REX토큰으로 전환을 계획 중이시라면 무조건 자신의 계정 사용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스테이킹 수량만 남겨놓고 최대한 신속하게 REX토큰으로 전환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 REX 거래방법



(1) 준비



REX를 거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3가지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① EOS토큰을 보관하고 있는 이오스 메인넷 계정

② (해당 계정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스캐터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월렛

REX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 접속


스캐터 데스크탑 다운로드 홈페이지 : https://get-scatter.com/



모바일 월렛 다운로드 링크 : https://eosdaq.com/


(2) REX거래 지원 플랫폼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REX거래 지원 플랫폼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참고사항] 아래에 리스트 이외에 REX거래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아직은 정상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REX출시 후 곧바로 서비스 예정)





- EOSDAQ : https://eosdaq.com

- EOSREX : https://eosrex.io

- Chintai : https://eos.chintai.io/

- TokenPocket : https://rex.tokenpocket.pro/#

- EOS Titan : https://eostitan.com/rex

- EOS inbox : https://eosinbox.io/




(3) 거래방법



본 포스팅에서는 위에서 나열한 REX거래 지원 플랫폼 리스트 중에서 국내의 대표 탈중앙화거래소 중 하나인 EOSDAQ을 통해 REX토큰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방법을 예시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TEP 1] EOSDAQ접속하기






① 먼저, EOSDAQ 사이트( https://eosdaq.com/)에 접속한 뒤, 우측 상단에 보이는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②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Scatter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스캐터 데스크탑의 팝업창이 나타나면 로그인하고자 하는 계정을 클릭하시고 위와 같이 원하는 계정으로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었는지를 확인하신 뒤, 녹색으로 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EOSDAQ은 스캐터 데스크탑 이외에도 NOVA Wallet, MEET.ONE , Math Wallet, EOS Lynx 등 다양한 모바일 지갑도 지원하므로, 모바일 월렛이 더 편하신 분들은 모바일 월렛을 통해 접속하셔도 됩니다.








④ 로그인이 완료되었으면 화면 상단에 보이는 REX버튼을 클릭해주세요.

[STEP 2] 기본요건 충족여부 확인하기






혹시라도 접속 시에 위와 같이 “Welcome to REX. To trade REX, please vote at least 21 block producers or use Proxy.”라는 문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REX거래를 위한 기본요건이 충족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평소에 BP투표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 “EOSDAQ에서는 사이트 내에서 바로 프록시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Continue with EOSDAQ Proxy”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EOSDAQ에서 운영 중인 프록시 계정에 투표권을 위임하고 바로 REX토큰의 거래참여가 가능합니다.

> [참고사항] 혹시라도 직접 투표에 참여하시거나, 다른 프록시 설정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① https://bloks.io/vote :직접 21명 이상의 BP를 골라서 투표 가능


> ② https://bloks.io/vote/proxies : 프록시(대리투표) 설정 가능








위와 같이 REX토큰 관련 정보가 나타나는 창으로 전환히 되었다면, 거래 참여를 위한 기본요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기본요건을 충족하였으니 REX토큰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TEP 3] REX토큰 구매하기






REX토큰을 구매하는 방법은 총 2가지가 있습니다.


(1) 스테이크 되어 있지 않은(Unstaked) EOS토큰으로 구매하는 방법
(2) 스테이크 되어 있는(Staked) EOS토큰으로 구매하는 방법

(1) 언스테이킹 된 EOS토큰으로 구매하기

위의 화면에서 “Buy with REX Fund”라는 탭이 스테이크 되어 있지 않은 EOS토큰으로 REX토큰을 구매하는 메뉴입니다. 구매방법은 간단합니다.

① 내가 보유하고 있는 EOS토큰 수량 확인

② 해당 수량 내에서 REX토큰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

③ “REX 매수”라는 녹색 버튼을 클릭

단, 이때 주의하셔야 하는 점은 Auto fill-in my REX fund에 반드시 체크박스가 클릭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 [참고] Auto fill-in my REX fund?


> 사실 REX토큰은 EOS토큰으로 바로 구매하는 방식이 아니라, 언스테이킹 되어 있는(즉시 전송이 가능한) EOS토큰을 REX fund라는 곳에 넣은 다음에 REX토큰으로 전환되는 방식을 취합니다.


> 예를 들자면, 주식계좌에 돈을 먼저 넣고 주식 거래를 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EOSDAQ에서는 불편한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EOS토큰이 REX fund에 들어가면서 바로 REX토큰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능을 Auto fill-in my REX fund라는 메뉴를 통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2) 스테이킹 된 EOS토큰으로 구매하기

Buy with staked EOS라는 탭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현재 CPU와 NET에 스테이킹하고 있는 EOS토큰의 수량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매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① CPU와 NET에 스테이킹 중인 EOS토큰 수량 확인

② CPU와 NET에 REX토큰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수량을 각각 입력

③ “REX 매수”라는 녹색 버튼을 클릭

[STEP 4] REX토큰 판매하기






REX토큰은 최초 구매일 이후 4일 동안의 만기기간(maturity period)가 지나야만 판매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구매일 이후 4일이 지나기 전까지는 다시 EOS토큰으로 전환할 수 없습니다.




위와 같이 구매한 시점에 따라 REX토큰의 수량이 각각 관리가 되며, 4일의 만기가 모두 지난 REX토큰(Fully Matured REX)에 해당하는 수량만 판매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계정 내에 보유 중인 REX토큰의 전체수량과 판매가능한 수량에는 항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EOSDAQ에서는 4일의 만기기간이 모두 경과되어 판매가 가능한 REX토큰은 위와 같이 My REX Token이라는 메뉴에 붉은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REX토큰을 판매하여 다시 EOS토큰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량만큼을 입력 후 “REX 매도”라는 붉은색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 이외에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들은 EOSDAQ 텔레그램에서 실시간 문의를 통해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eosdaq.com/


- REX by EOSDAQ : https://t.me/REX_EOSDAQ

- EOSDAQ(한국) : https://t.me/EOSDAQ_KOR

- EOSDAQ(EN) : https://t.me/EOSDAQ







REX는 EOS 토큰 홀더들이 자신들의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투표를 통해 온체인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훌륭한 인센티브이자 기본 소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개발자나 디앱 프로젝트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는 매우 파워풀한 시스템입니다.

대부분의 내용을 빠짐없이 설명하려다 보니 내용이 많이 길어지기는 했지만, 일단 한 번 사용을 해보시고 나면 그리 복잡한 개념이나 어려운 시스템이 아니라는 걸 금방 알게 되실 겁니다.

정말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 온 REX의 이오스 메인넷 등장이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REX시스템을 통해 많은 토큰 홀더들이 온체인 거버넌스의 적극적인 참여에 대한 기본 소득을 꼭 얻어가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EOSREX 총정리 가이드’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 출시 임박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 출시 임박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어제(4월 24일) EOS 메인넷 제네시스 계정 키 분실자들을 위한 분실키 복구 솔루션을 위한 첫 번째 프로포절이 제안되었습니다.




이전에 제네시스 분실 키 복구 솔루션 안내(EOS Lost Key Recovery Tool)이라는 포스팅에서 소개드린 바가 있는 것처럼 이번에 제안된 복구 솔루션은 “이오스 메인넷 런칭 이전 ERC-20 토큰 당시 중복 트랜잭션 등의 오류로 인해 제네시스 계정의 프라이빗키를 분실한 토큰 홀더들이 계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지난 2월 16일에 EOS Authorit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완전히 자동화된 온체인 분실 키 복구 솔루션 개발이 타당성 검증 테스트 단계를 통과하고 막바지 완성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발표하고 나서 약 2달만에 소식이 업데이트 되었네요.




#1.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은 다음과 같이 총 2단계에 걸쳐서 진행이 됩니다.

[1단계] eosio.lost 계정 생성

[2단계] 분실 키 복구 솔루션 배포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로드 업


Image Source : https://eosauthority.com/approval/view?scope=eosdacserver&name=createlost


약 14시간 전쯤에 첫 번째 단계를 위한 프로포절이 공식적으로 제안이 되었고 BP들의 투표가 진행 중에 있으며,




21명의 액티브BP 중에서 6명의BP가 해당 프로포절을 승인한 상태이므로, 추가로 9명의 액티브BP들이 승인을 하면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 절차들이 모두 끝나고 나면, 복구 대상 계정을 소유하고 계신 분들은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통해 해당 계정에 연결된 키쌍을 리셋하고 재설정하실 수 있게 됩니다.




#2. 누구나 사용할 수 있을까?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은 “복구 대상 계정 소유자”들만 해당이 됩니다. 복구 대상 계정에 해당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ERC-20 EOS토큰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지갑)에 보유하고 있을 것

② EOS메인넷 계정을 보유하고 있을 것

③ 내가 가지고 있는 프라이빗키로 해당 계정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

④ 한 번도 EOS계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⑤ 위의 ①번 조건에 해당하는 이더리움 월렛에서 메시지에 서명이 가능해야 할 것

따라서, 기존의 ERC-20 EOS토큰을 마이이더월렛이나 메타마스크에 보관 중이었으나 해당 월렛의 프라이빗키를 분실하신 경우, EOS 메인넷 런칭 이후에 계정을 생성하여 사용하다가 프라이빗키를 분실하신 경우 등은 복구 대상 계정에서 제외됩니다.




#3. 나도 복구대상 계정일까?



이오스 계정을 알고 있는 경우와 이오스 계정을 모르는 경우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더불어, 아래에서 소개드리는 사이트는 반드시 크롬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시기를 권장하고 계정 조회시에는 가급적 한글 번역 기능을 끄시기 바랍니다.

(1) 나의 EOS메인넷 계정을 알고 있는 경우

현재 내가 소유하고 있는 계정이 복구대상 계정에 해당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사이트에 “12자리의 EOS 메인넷 계정 이름”을 입력하여 직접 조회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eosauthority.com/lostkey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에 12자리의 계정이름을 입력하고 Check Account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2) 나의 EOS메인넷 계정을 모르는 경우

키 분실자들 중 더러 “이더리움 지갑 주소는 알고 있지만, 12자리의 이오스 계정이 뭔지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이오스 계정 이름이 무엇인지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https://eosauthority.com/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에 흰색 박스 안에 0x로 시작하는 이더리움 월렛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그 다음에 Check my EOS를 클릭하시면 해당 이더리움 월렛과 연결되어 있는 EOS메인넷 계정명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확인된 정보를 가지고 위의 (1)번에서의 절차를 동일하게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녹색으로 된 메시지 창이 나타나면 분실 키 복구 솔루션 대상자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EOS 메인넷에 분실 키 복구 솔루션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로드업 되고 모든 준비가 끝나면, 별도의 안내 공지와 함께 사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튜토리얼이 제공될 것입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의 경우 중복해서 여러번 신청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딱 1번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너무 마음을 조급하게 가지지 마시고, 해당 튜토리얼을 자세히 보시고 이해하신 뒤에 천천히 신중하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업데이트 되는 소식이 있으면 발 빠르게 전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 출시 임박’

[EOS Inside] EOSREX.IO 스마트 프록시 소개

[EOS Inside] EOSREX.IO 스마트 프록시 소개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즈 디온(@donekim)입니다. REX의 EOS 메인넷 배포를 위한 두 번째 프로포절이 15명 이상의 BP들에게 승인이 되면서, REX를 직접 만져볼 날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프록시와는 조금 차별화된, 30명 이상의 BP후보들을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투표가 갱신되는 EOSREX.IO 스마트 프록시(Smart Proxy)가 등장하였습니다. 오늘은 스마트 프록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원문 링크 : Introducing the EOSREX.IO Smart Proxy





#1. EOSREX.IO 프록시란?



EOSREX.IO 프록시는 EOS 토큰 홀더들이 REX Lending에 참여하기 위한 기본 요건을 간편하게 충족시키는 동시에, 강력하고 건강하며 성장하는 EOS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생각되는 모든 블록프로듀서들에게 투표를 지원함으로써 EOS 메인체인에 가치를 더하고자 탄생했습니다.

> [참고사항 1] 프록시(proxy)란?


> EOS 메인넷에 계정을 소유하고 있는 EOS 토큰 홀더라면 누구든지 토큰 스테이킹을 통해 블록프로듀서(BPs) 후보들에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BP 후보들의 생태계 기여도나 활동 등을 계속해서 확인하며 투표현황을 업데이트 하거나 투표 가중치 감소(Vote Decay)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갱신이 어려운 토큰 홀더들을 위한 위임투표 방식이 바로 프록시입니다. 프록시계정은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계정에 스테이킹 중인 EOS 토큰의 수량만큼의 투표 가중치를 위임 받아 대리 투표를 시행합니다.


> [참고사항 2] REX Lending에 참여하기 위한 기본 요건?


> REX는 온체인 거버넌스에 참여하기 위한 일종의 인센티브로서 작동하는 것을 근간으로 합니다. 따라서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계정에 보유 중이거나 스테이킹 중인 EOS토큰을 이용하여 REX 렌딩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본 요건을 반드시 충족”하여야 합니다. 기본 요건이라 함은 “21명 이상의 BP에 직접 투표”를 하고 있거나, “프록시(대리투표) 설정을 통한 간접투표”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스마트 프록시란?






EOS 메인넷에서 토큰 홀더들은 최대 30명의 BP후보들에게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일반적인 프록시 계정들 또한 최대 30명의 BP후보들에게 투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EOSREX.IO 프록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리스트에 있는 모든 BP후보들의 투표를 지원합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비롯한 실시간 랭킹 데이터를 기반으로 24시간마다 30명의 BP후보 투표 리스트들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방법을 통해 30명을 초과하는 모든 BP후보들에게 투표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현재 EOSREX.IO 프록시에서 투표를 지원하는 BP후보 명단에는 총 49개의 BP팀이 리스팅되어 있으며, 각각의 BP후보들은 보다 건강한 EOS생태계의 조성을 위해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중요도 지수(importance quotient)”를 부여받게 됩니다. 이 중요도 지수는 0부터 10까지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가장 높은 중요도 지수는 10에 해당합니다.

각각의 BP후보들에게 할당되는 “중요도 지수”는 “해당 BP가 보다 강력하고 건강하며 성장하는 EOS생태계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얼마나 더 큰 기여를 하는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노드 운영의 효율성”, “툴 개발 등 생태계 기여도”, “지역 및 기타요소” 등이 고려되어 있으며, 다양한 커뮤니티와 AlohaEOS 등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툴들과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3. EOSREX.IO의 프록시 투표 리스트



EOSREX.IO의 프록시 투표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총 49명의 BP후보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BP별로 할당된 “중요도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eosauthority, 10
eosnewyorkio, 10
eoscanadacom, 10
eosdacserver, 10
teamgreymass, 10
eos42freedom, 10
eosswedenorg, 10
eosriobrazil, 10
cypherglasss, 10
eoscafeblock, 10
eosnationftw, 10
eosasia11111, 10
argentinaeos, 10
eosiomeetone, 10
eosyskoreabp, 10
eoscannonchn, 10
cryptolions1, 10
aus1genereos, 10
eosliquideos, 10
eosisgravity, 10
eoseouldotio, 9
eosphereiobp, 9
eosdublinwow, 9
eostitanprod, 9
alohaeosprod, 9
atticlabeosb, 9
hkeoshkeosbp, 9
blockmatrix1, 9
sheos21sheos, 9
starteosiobp, 9
eostribeprod, 8
tokenika4eos, 8
libertyblock, 8
eosamsterdam, 8
blocksmithio, 8
oraclegogogo, 8
eosiodetroit, 8
eosnairobike, 8
eosvenezuela, 8
costaricaeos, 8
auroraeoscom, 8
eosmatrixeos, 8
eosnodeonebp, 7
eosfishrocks, 7
eosvibesbloc, 7
eossv12eossv, 7
eosmetaliobp, 7
bitspacenode, 7
sanfranc1sco, 7

해당 리스트는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변경되고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EOSREX.IO에서 지원하는 BP후보들의 실시간 리스트는 아래의 링크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링크 : https://bloks.io/account/eosrex.io




> [참고사항] 전체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의 링크를 클릭한 뒤, Contract → Contract Tables → prods 순으로 클릭을 하셔야 합니다.





#4.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BP투표



동적으로 작동하는 스마트 프록시를 위해서, 30명의 BP투표 리스트는 24시간 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갱신됩니다. 이렇게 동적으로 반복되는 투표 시스템을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각 BP들에게 할당된 “중요도 지수”, “실시간 랭킹 데이터”, “랭킹 임계값” 등이 고려됩니다.




현재 프록시 계정을 운영 중인 대다수의 기존 주체들도 굉장히 책임감 있게 투표현황을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투표 가중치 감소(Voting Decay)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하고, 좋은 BP들의 생태계 기여 활동에 대해서는 투표를 통해 보상을 하며, 부패하거나 방만하게 운영하고 있는 BP들에게는 투표 회수를 통한 패널티 부여 등 그 나름의 즉각적인 업데이트를 지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가끔씩 실수가 일어나거나 업데이트가 지연되는 경우들이 이따금씩 발생하곤 합니다.

EOSREX.IO 프록시에서는 곧 “스마트 프록시”를 오픈 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곧 다른 프록시들도 이 스마트 프록시 기능을 이용하게 될 수 있을 것이고, 30명의 제한 없이 생태계에 다양한 기여 활동을 하고 있는 모든 BP들에 대한 공정하면서도 액티브한 투표 지원이 가능해질 것 같네요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EOSREX.IO 스마트 프록시 소개’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