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AX플랫폼 스팀 블록체인과의 통합 발표 (SNAX토큰 에어드랍 수령하세요)

snax notice.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퍼블릭 소셜 미디어의 사용자들의 콘텐츠 크리에이팅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고, 자유로운 인스턴트 거래를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오버레이 솔루션 Snax에서 스팀 블록체인과의 통합을 발표했습니다.

원문 : Snax integrates with Steem

제일 먼저 트위터와의 통합을 시작했던 Snax팀에서는 그 다음 타자로 스팀 블록체인을 선택하며, 스티미언들을 대상으로 Snax토큰 바운티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바운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Snax란 무엇인가?


snax logo.png

Snax는 스팀, 이오스 메인넷과 동일하게 DPoS 컨센서스 메커니즘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기존의 SNS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업로드하는 콘텐츠들에 대해 토큰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중앙화된 소셜 미디어 오버레이 솔루션 플랫폼입니다.

snax.png

많은 사용자들이 암호화폐(크립토애셋) 거래를 보다 단순하면서도 빠르고, 수익성 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Snax는 지난 4월 10일에 메인넷이 런칭되었고, 트위터를 시작으로 여러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트위터에 이어 스티밋이 두 번째 순서이며, 레딧(Reddit), 유튜브 등으로 계속해서 확장예정입니다.

#2. Snax토큰을 얻는 방법


reward.png

Snax토큰을 얻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별도로 Snax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사용 중이었던 소셜 미디어에서 계속해서 콘텐츠 크리에이팅 활동을 지속하면 자동화된 솔루션을 통해 Snax토큰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최초에는 크롬 익스텐션 버전의 Snax Wallet에 가입하여 계정을 생성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아직은 스팀 블록체인과의 통합 진행 전인 관계로 트위터 계정 연동을 통해서만 Snax wallet 계정을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추후에는 스티밋 계정 연동을 통해서도 계정 생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① Snax 사이트(https://snax.one/) 접속

② Sign up with Twitter 버튼 클릭

wallet.png

③ Get from Chrome Web Store 버튼을 클릭하여 월렛 설치

wallet2.png

④ 월렛 설치 후 회원가입

wallet3.png

계정 생성 및 회원가입을 모두 완료하고 나면, 위와 같이 곧바로 50개의 SNAX토큰을 에어드랍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스팀 바운티 프로그램


bounty.png

Snax팀에서는 스티미언들이 기존처럼 스티밋에서 포스팅을 업로드하면서 STEEM토큰과는 별개로 Snax토큰을 보상으로 받아보는 경험을 해보기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SNAX토큰의 총 보상 풀에 배정되어 있는 토큰의 0.5%에 해당하는 5,000,000(5백만)개의 토큰을 바운티로 지급합니다. 해당 바운티에 참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운티 참여방법]

bounty2.png

(1) 이벤트 기간 : 2019년 5월 6일 ~ 5월 31일

(2) 참여방법 : Snax와 관련된 포스팅을 자신의 스티밋에 업로드하기

  • 포스팅은 1,000자 이상으로 작성
  • 해당 포스팅에 #snaxBountyProgram 해시태그 달기

bounty3.png

(3) 보상지급방법 : 위의 안내에 따라 포스팅을 업로드하면 Snax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자동으로 토큰 에어드랍 지급 대상 계정으로 등록되며, 스팀(STEEM)과의 통합일(5월 14일) 이후 해당 계정으로 자동 배포 예정

bounty4.png

(4) 에어드랍 수량 : 각 스티미언별로 팔로워 수에 따라 수령할 수 있는 SNAX토큰 수량에 차이가 있습니다. 바운티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에어드랍 수량은 아래의 링크에서 직접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snax.one/promo/steem-bounty

트위터, 레딧,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기존 소셜 미디어에서 지속적인 콘텐츠 크리에이팅 활동을 토큰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인센티브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는 점이 참 인상적입니다.

더불어 스티밋이 트위터에 이어 두 번째 통합 대상 플랫폼으로 선정되었다는 점은 스티밋이 블록체인 기반 SNS에서 차지하고 있는 입지와 그 영향력이 꽤 크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해당 링크에는 별도의 레퍼럴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벤트 기간 중에 SNAX에 대한 리뷰 포스팅을 작성하시고 SNAX토큰 꼭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NAX플랫폼 스팀 블록체인과의 통합 발표 (SNAX토큰 에어드랍 수령하세요)’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준비완료!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준비완료!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방금 전(2019년 5월 5일, 오전 2시 5분) “분실 키 복구 솔루션(Lost Key Recovery Solution)”의 디플로이를 위한 두 번째 프로포절이 실행되었습니다.

이제부터 이오스 메인넷 제네시스 계정 키 분실자분들께서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통해 잃어버린 계정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정말 오랜 시간동안 맘고생이 많으셨을 것 같은데, 이런 좋은 소식을 전하게 되어 개인적으로도 너무나 기쁩니다 :)


The BP proposal deploylost by eosdacserver was just executed!


> 이오스 메인넷 런칭, REX에 이어 또 다른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1. 진행경과



- 4월 24일 : eosio.lost 계정생성과 관련된 1단계 프로포절 제안

- 4월 27일 : 1단계 프로포절 15/21 BP 승인 및 eosio.lost계정 생성 완료

- 4월 28일 : 분실키 복구 솔루션 디플로이를 위한 2단계 프로포절 제안

- 5월 5일 : 2단계 프로포절 15/21 BP 승인 완료

- 5월 6일 : 분실키 복구 솔루션 디플로이 완료





https://bloks.io/account/eosio.lost


1단계 프로포절을 통해 eosio.lost라는 계정이 생성되었고, 2단계 프로포절을 통해 eosio.lost계정에 분실 키 복구 솔루션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로드업되었습니다.

이제부터는 eosio.lost계정을 조회해보시면 위와 같이 해당 계정에 분실 키 복구 솔루션과 관련된 컨트랙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이제부터 자동화된 분실 키 복구시스템을 사용하여 잃어버린 계정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해당 계정에 새로운 키쌍(퍼블릭키/프라이빗키)을 연결함으로써 계정을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어떻게 해야할까?




https://eosauthority.com/lostkey


EOS Authority의 Lost key사이트( https://eosauthority.com/lostkey)가 이번 주 내에 새롭게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해당 사이트가 분실 키 복구 시스템 포털로 변경될 예정이며 현재로서는 이번주 목요일(5월 9일)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 블록체인이나 이오스 메인넷 시스템 등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정말 직관적이고 편리한 UI/UX를 준비 중에 있다고 하니 그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3. 준비해야 할 것은 뭐가 있을까?




https://eosauthority.com/lostkey


혹시라도 아직까지 내 계정이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통한 복구 대상 계정인지 해당 여부”를 조회해보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먼저 위의 링크를 클릭 후 내 계정이 복구 대상 계정에 해당하는지 여부부터 조회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복구 대상 계정의 조건



> ① ERC-20 EOS토큰을 이더리움 네트워크(마이이더월렛, 메타마스크 등)에 보유하고 있을 것


> ② EOS메인넷 계정을 보유하고 있을 것


> ③ 내가 가지고 있는 프라이빗키로 해당 EOS 메인넷 계정에 접근이 불가능할 것


> ④ 한 번도 해당 EOS 메인넷 계정을 사용한 내역이 없을 것


> ⑤ 위의 ①번 조건에 해당하는 이더리움 월렛(마이이더월렛, 메타마스크 등)에서 메시지에 서명이 가능해야 할 것 (=해당 이더리움 월렛의 프라이빗키를 가지고 있을 것)






https://eosauthority.com/


> 내 EOS 계정명이 뭔지 모르시는 분들께서는 위의 사이트에 먼저 접속하신 뒤 ERC-20 EOS토큰을 보유 중인 0x로 시작하는 마이이더월렛 또는 메타마스크 주소를 입력하시면 12자리로 된 EOS 계정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절차를 모두 마치신 분들이라면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① ERC-20 EOS토큰을 보유 중인 이더리움 월렛의 프라이빗키



② 해당 이더리움 월렛에서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소량의 ETH 보유



③ EOS 메인넷 계정에 새롭게 연결할 키쌍(Key Pair)



> 키쌍(Key Pair) : 단 한 쌍의 퍼블릭키(Public key)와 프라이빗키(Private key)





④ 위의 키쌍을 안전하게 저장해놓을 신원인증 툴



> 대표적인 신원인증툴 : 스캐터 데스크탑 (다운로드 : https://get-scatter.com/)





혹시라도 위에서 키쌍, 퍼블릭키, 프라이빗키 등의 정확한 개념이 헷갈리는 분들께서는 반드시 시간을 내셔서 아래의 포스팅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안전하게 계정을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보셔야 하는 내용들입니다)

- [링크1] : 퍼블릭키, 프라이빗키, 오너키, 액티브키에 관한 설명

- [링크2] : 액티브키와 오너키를 반드시 분리해서 써야 하나요?

- [링크3] : 이오스 계정 오너키 변경방법




더불어, 새로운 키쌍(Key Pair)을 어디서 발급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은데 새로운 키쌍은 “스캐터 데스크탑”을 통해 쉽게 발급하고 안전하게 잘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발급하는 방법은 위의 링크3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EOS Authority의 Lost Key Portal이 업데이트 되고 나면, 보다 자세한 사항이나 가이드, 튜토리얼 영상도 함께 제공이 될 것으로 예상되니, 그 때까지는 마음을 좀 놓으시고 이오스 생태계와 시스템에 대해서 천천히 공부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그동안 키 분실자들을 위한 Lost Key Recovery System을 개발하느라 정말 고생이 많았던 기여자들의 명단입니다. 여러분들의 엄청난 열정과 노력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Michael Yeate (eosDAC)

- Rohan Abraham (EOS Authority)

- Kadar Iyer (LibertyBlock)

- Daniel Keyes (EOS Nation)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준비완료!’

[드럭워즈 업데이트] 트레이닝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unlock.jpg

logo1.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드럭워즈 등장 초기부터 업데이트 예정이었던 부트캠프 유닛들의 트레이닝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BOOTCAMP → TRAINING 순으로 클릭하여 접속하시면 이제부터 유닛들을 훈련시켜 능력치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원문 : We have unlocked trainings - by @drugwars

research center.png

물론 유닛들을 트레이닝 시키기 위해서는 OFFICE탭에 있는 RESEARCH CENTER부터 먼저 건설을 해야되고, 헤드쿼터(HQ)와 마찬가지로 리서치센터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유닛들을 훈련 시간이 단축이 됩니다.

training2.png

training3.png

리서치 센터를 건설하고 나면 위와 같이 트레이닝 기능이 활성화되고 유닛들의 공격력, 방어력 등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logo2.png

과연 잘 훈련받은 유닛 10마리가 전혀 훈련되지 않은 유닛 100마리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보여줄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드럭워즈에서 유닛들을 훈련시키라고 저렇게까지 광고를 해대니, 일단은 유닛 업그레이드 하는데 자원을 많이 투자해봐야겠습니다 :)

정말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공방3업된 질럿이나 저글링의 위력은 게임 후반에도 대단했었는데, 과연 업그레이드의 위력을 느낄 수 있게끔 상성이 맞춰져 있을지 지금으로서는 의문이네요.

upgrading.png

일단 트레이닝 초기비용은 얼마 되지도 않으니 골고루 업데이트 시켜놓고, 최근에 열심히 간보러 온 CRIMINALACORM씨에게 복수혈전(?)을 펼칠 준비를 해봐야겠습니다.

on rise.png
언제부터인가 드럭워즈를 통한 DAILY리워즈의 배당률은 똥망 수준이 되어버려서 사실상 드럭워즈에 투자했던 STEEM을 본전까지 회수하는 건 불가능에 가까워져 버린 것 같습니다.

대신에 저도 모르는 사이에 퓨처토큰이 하루에 4개 정도씩 쌓여서 벌써 75개 정도의 퓨쳐 토큰을 모았습니다. 퓨처 토큰은 아직 드럭워즈에서 말고는 딱히 쓸모가 없는 토큰이라서 잘 가지고 있다가 정말 게임이 액티브하고 재미있어지면, 그때 현질용으로 사용을 해야 할 것 같네요.

과연 나중에는 퓨처토큰을 가지고 더 많은 게임에서 사용을 할 수 있을지..

드럭워즈 팀에서 열일하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는 점은 정말 고무적인 일이지만, 사용자들이 드럭워즈 게임 자체에 빠져들어 즐길 수 있을만한 요소들을 많이 좀 추가해줬으면 좋겠네요. 등장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요새는 “방치형 건물 레벨 올리기 게임”정도 밖에 되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ㅠㅠ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드럭워즈 업데이트] 트레이닝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EOS Inside] REX 주요 Q&A 정리

[EOS Inside] REX 주요 Q&A 정리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어제(5월 1일) 이오스 메인넷에 REX가 디플로이 된 이후에 많은 분들께서 기초개념이나 참여방법 등에 대해서 많은 문의를 주고 계십니다. 이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물어보시는 내용들을 한 번에 모아서 보실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으니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X를 처음 접하셨거나, 기초 지식이 없는 분들이라면 Q&A관련 내용을 읽어보시기 전에 반드시 아래의 포스팅을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포스팅부터 읽어보셔야만 Q&A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 [EOS Inside] EOSREX 총정리 가이드








다음은 커뮤니티에서 주로 물어보시는 질문들입니다.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서 퍼블리토 및 코리오스 저널에 쓴 포스팅에 몇 가지 이미지를 함께 첨부하였습니다.

- Q1. REX는 어디서 전환할 수 있나요?

- A1. 데스크탑(PC)을 활용하시는 경우, 다음의 사이트에서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을 통해 REX 전환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Bloks.io : https://bloks.io/rex

- EOSDAQ : https://eosdaq.com/exchange/REX_EOS

- EOS Titan : https://eostitan.com/rex

- EOS Authority : https://eosauthority.com/rex

- Token Pocket : https://rex.tokenpocket.pro/#/




> 초보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순서로 정렬해보았습니다.





- Q2. 모바일 월렛을 사용 중입니다. REX는 어디서 전환할 수 있나요?

- A2. 모바일 월렛 종류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툴에 차이가 있습니다.




> ① NOVA Wallet : DApp → EOSDAQ 또는 Dapp → 돋보기터치 → 나침반터치 → 주소입력(https://rex.tokenpocket.pro/#/) 후 접속


> ② EOS Lynx : Explore → EOSDAQ 또는 Bloks.io 터치


> ③ Token Pocket : Discover(발견/디스커버) → EOS REX 터치





- Q3. REX풀이 많은 곳에서 하는게 좋나요? 어디가 좋나요?

- A3. EOS 메인넷이 은행, 각 툴(사이트)들은 그냥 ATM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ATM에서 돈을 뽑든 관계가 없는 것처럼 어떤 툴이나 어떤 사이트를 사용하셔도 차이가 없습니다.

- Q4. 스테이킹된 EOS로만 REX를 살 수 있나요?

- A4. 스테이킹된 EOS와 언스테이킹된(리퀴드) EOS 모두 REX를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ks.io/rex


> 위에서 Lend Liquid EOS가 언스테이킹 되어 있는 리퀴드 EOS를 REX로 전환하는 메뉴이고, Lend Staked EOS가 스테이킹 되어 있는 EOS를 REX로 전환하는 메뉴입니다.





- Q5. REX fund는 뭔가요?

- A5. REX를 EOS기축 거래소에서 REX라는 토큰을 구매하는 행위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즉 REX fund는 REX라는 거래소의 내 잔액계좌 같은 개념입니다.




(1) Staked EOS : 스테이킹이라는 행위를 통해 이미 해당 거래소에 EOS를 입금해놓은 것입니다. REX거래소에 잔액이 있기 때문에 바로 REX 토큰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Staked EOS → REX로 곧바로 전환 가능





(2) Unstaked(Liquid) EOS : 아직 거래소에 EOS를 입금하지 않은 것. 따라서 REX fund에 입금하는 행위를 해야만 REX 토큰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Unstaked EOS → REX fund에 이체 → REX로 전환 가능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이 REX fund로 이체했다가 REX로 전환을 하는 경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서 많은 툴들이 클릭 한 번 만으로 Unstaked EOS가 바로 REX fund에 이체된 뒤에 REX로 전환되도록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https://eostitan.com/rex


> 밑에서 후술하겠지만, REX토큰을 EOS로 다시 재전환하면 언스테이킹 상태의 EOS가 REX Fund로 들어옵니다. 여기서 인출(Withdraw)을 해야 정말 내 계정에 EOS가 들어오게 됩니다.





- Q6. Move lent EOS to Savings는 뭔가요?

- A6. 스테이킹된 EOS와 언스테이킹된 EOS모두 REX토큰으로 변환 후, 4일 이라는 만기(Matured)가 지나고 나면 언제든지 언스테이킹 된 EOS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혹시라도 계정 해킹을 당하는 경우 4일 동안의 시간을 추가로 벌 수 있는 일종의 보안을 위한 락(lock)기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https://bloks.io/rex


> “Savings로 옮겨야만 REX토큰으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이다” 또는 “Savings에 옮겨놓으면 수익률이 높아진다” 등은 틀린 말입니다. REX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개념일 뿐입니다.





- Q7. Savings로 이체를 해야만 REX가 사지는 건가요?

- A7. 위에서 설명 드린 것처럼, Savings는 REX토큰을 금고에 다시 넣어놓는 개념일 뿐입니다. 프라이빗키를 안전하게 잘 보관하고 계시거나, 권한별로 키쌍을 분리하여 사용 중이라서 굳이 락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신 경우에는 Savings로 옮기실 필요가 없습니다.





https://eosauthority.com/rex/


> Savings는 내 계정에서 EOS토큰을 스테이킹 했던 것처럼, REX토큰을 스테이킹함으로써 계정 해킹 시 시간을 벌 수 있다는 의미만 가집니다.





- Q8. 그럼 REX토큰을 아무때나 Savings에 넣을 수 있나요?

- A8. 네, 언제든지 넣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EOS를 REX로 전환 후에 4일 만기가 지난 Matured REX토큰을 Savings로 넣게 되면 Savings에서 언락(unlock)후 다시 4일을 기다려야 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 Q9. REX는 구입했는데, 임대수익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A9. REX는 친타이처럼 임차인과 임대인이 시장에서 만나 1:1로 매칭되어 거래를 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REX전체 풀에 알아서 임대수익 및 추가 재원들이 적립되기 때문에 임대수익은 REX토큰을 EOS로 다시 전환하는 순간 내 REX토큰의 지분비율만큼 실현이 되는 개념입니다.





https://bloks.io/rex


- Q10. REX전체 풀에 쌓이는 수익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A10. REX의 도입 이후부터의 ①RAM자원 거래 수수료, ②네임 비딩 수수료가 적립되고 있으며, ③REX에서 자원을 임차하는 임차인들이 지불한 EOS토큰들이 적립됩니다. REX도입 전까지 적립된 RAM자원 거래 수수료, 네임 비딩 수수료는 아직 적립재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https://eosauthority.com/rex/


- Q11. Matured가 뭔가요?

- A11. EOS를 REX로 전환하고 나면, REX토큰을 다시 EOS로 재전환하기까지 4일 동안의 만기기간이 필요합니다. 이 4일의 기간이 모두 지난 REX토큰을 Matured(또는 Liquid Loans)라고 표현합니다.




> 반면에 아직 4일이 지나지 않은 REX토큰을 To be matured, Maturing, 또는 Processing Loans라고 표현합니다.






https://eosauthority.com/rex/


- Q12. 30일이라는 기간의 락업이 있다는 말이 있던데 무슨 뜻인가요?

- A12. 30일이라는 기간은 EOS토큰을 지불하고 리소스를 빌리는 임차인의 계약단위입니다. 임차인은 EOS토큰을 임차수수료로 REX풀에 지급하고 30일 단위로 리소스를 빌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대인에 해당하는 토큰 홀더들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Q13. REX로 전환하면 제가 했던 투표들이 모두 무효화되나요?

- A13. 직접 21명 이상의 BP에 투표를 하고 계신 경우에는 투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만 프록시 설정(Set proxy)을 클릭하여 프록시에 투표권을 위임하는 경우에는 기존 투표가 무효화됩니다.

- Q14. REX토큰은 언제 다시 EOS로 전환해야 되나요?

- A14. 전적으로 토큰 홀더 개인이 판단할 문제입니다. 현재의 구조 상으로는 오랫동안 REX토큰으로 홀딩하는 경우의 수익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본인이 EOS토큰이 필요할 때 언제든(4일 만기 이후라면) 전환하시면 됩니다.

- Q15. 저는 투표를 안해서 프록시에 위임을 하려고 합니다. 근데 해당 프록시에서 21개 BP에 투표를 하지 않았는데 괜찮나요?

- A15. 프록시에 투표권을 위임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록시가 몇 개의 팀에 투표하는지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표권을 위임한 프록시 계정이 21개 이상의 BP에 투표하지 않아도 기본조건이 충족됩니다.

- Q16. REX가 나을까요? 친타이가 나을까요?

- A16. 친타이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1:1로 시장에서 합리적인 가격을 미리 정하고 이에 따라 임대 수수료를 선수령하는 반면에, REX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REX풀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수익을 적립하고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REX토큰을 다시 EOS로 전환 시에 수익을 후수령하는 방식입니다. 어떤 것이 더 낫다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개인의 선택 문제입니다)

- Q17. CPU와 NET의 최소 스테이킹 기준은 얼마인가요?

- A17. 사용자들마다 계정을 얼마나 사용하는가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다만, bloks.io에서는 스테이킹하고 있는 EOS전량을 REX토큰으로 전환 시에 CPU에 2 EOS, NET에 0.2 EOS를 최소 스테이킹으로 두고 나머지를 REX토큰으로 전환하게끔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Q18. 잘못해서 CPU와 NET에 하나도 남기지 않고 전량을 스테이킹 해버려서 계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하나요?

- A18. 세컨드 계정이나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대리 스테이킹을 받으셔야 합니다.

- Q19. REX토큰 전환 시 실시간으로 수익률이 보인다는게 사실인가요?

- A19. 현재 eosflare.io를 포함한 많은 블록익스플로러에서 REX토큰을 EOS로 변환했을 때의 수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EOS토큰의 환산 수량이 증가한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눈에 띄게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 Q20. REX토큰 전환 후에 투표를 바꿀 수 있나요?

- A20. 투표는 언제든지 바꿀 수 있지만, 직접 투표에 참여하신 경우 21개 미만으로 투표를 변경하는 것을 불가능합니다. REX토큰을 모두 처분하고 나서 21개 미만의 BP에 투표하는게 가능합니다.

- Q21. REX토큰을 구입했습니다. 저는 이제 뭘 해야 하나요?

- A21. 별도의 추가 액션은 필요없습니다. 현금이 필요하시거나 EOS가 필요하실 때 REX토큰을 다시 EOS로 변환하시면 됩니다.

- Q22. 이미 REX토큰의 가격이 너무 오른 거 아닌가요? 너무 늦었나요?

- A22.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RAM수수료가 실시간으로 적립되고 있는 중이고 앞으로 적립될 재원이 훨씬 많습니다.

- Q23. REX수익률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 A23. bloks.io/rex의 Lend/Unlend EOS탭 하단에서 30일 기준 수익률 및 APR 확인이 가능합니다. REX토큰으로 전환한 정확한 EOS토큰 수량을 기억하시는 분들은 eosflare.io에서 본인 계정 조회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환 수량을 체크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 Q24. REX를 EOS로 전환하면 스테이킹된 EOS로 전환한 REX는 스테이킹된 EOS로 들어오나요?

- A24. 재원(스테이크/언스테이크)에 관계 없이 언스테이킹된 EOS로 들어옵니다. (정확히는 REX fund로 EOS토큰이 들어오고, REX fund에서 인출을 해줘야만 온전히 계정에 리퀴드 EOS로 들어오게 됩니다)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REX 주요 Q&A 정리’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최종 프로포절 제안!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최종 프로포절 제안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4월 24일에 제안된 EOS 메인넷 제네시스 계정 키 분실자들을 위한 분실키 복구 솔루션을 위한 첫 번째 프로포절이 승인된 데 이어서, EOSIO Lost Key Recovery 컨트랙트 배포를 위한 최종 단계라고 할 수 있는 프로포절이 제안되었습니다.


https://eosauthority.com/approval/


#1. 진행상황



지난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린 바 있는 것처럼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은 다음과 같이 2단계에 걸쳐서 진행이 됩니다.

[1단계] eosio.lost 계정 생성 → 승인완료

[2단계] 분실키 복구 솔루션 배포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로드업 → 진행중




지난 번 첫 번째 프로포절은 EOSIO Lost Key Recovery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를 위한 eosio.lost계정을 만드는 제안이었고, 해당 프로포절이 승인됨에 따라 위와 같이 해당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https://eosauthority.com/approval/view?scope=eosdacserver&name=deploylost&lnc=en


현재 제안된 2번째 프로포절은 eosio.lost계정에 EOSIO Lost Key Recovery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하는 단계이자 마지막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포절이 승인되고 나면 복구 대상에 해당하는 제네시스 계정 소유자들은 2020년 4월 20일까지 자동화된 솔루션을 통해 계정 복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복구 대상 계정확인 방법과 관련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 출시 임박





#2. 실시간 확인방법




https://t.me/eos_titan_bp_msig_proposals


많은 분들이 프로포절 승인 상황을 보다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문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오스 메인넷 BP중 하나인 EOS Titan에서는 BP MSIG 프로포절에 대한 BP들의 승인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텔레그램 알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BP MSIG Proposals — EOS Titan Alerts




위의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텔레그램 그룹에 들어가시면, 어떤 BP가 어떤 프로포절을 승인하였는지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알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분실키 복구 솔루션 관련 프로포절의 이름은 “deploylost”입니다. 해당 알림에서 deploylost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포절에 대한 BP들의 승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최종 프로포절 제안!’

[EOS Inside] EFFECT.AI 토큰 스왑 가이드 (NEO→EOS)

[EOS Inside] EFFECT.AI 토큰 스왑 가이드 (NEO→EOS)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4월 30일)부터 네오(NEO) 기반의 대표적인 디앱 중 하나였던 Effect.AI 프로젝트의 EFX토큰 스왑이 시작되었습니다.

Effect.AI가 이오스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함에 따라, 기존의 네오 블록체인 기반의 EFX토큰은 모두 이오스메인넷 상의 EFX토큰으로 전환이 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네오 월렛에 NEP-5 EFX토큰을 보유 중인 토큰 홀더들은 기한 내에 토큰 스왑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Image Source : Effec.AI twitter


오늘은 EFX 토큰의 스왑방법과 더불어, EFX토큰의 스테이킹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토큰스왑 방법




https://swap.effect.ai/


① 토큰 스왑을 위해 EFX Token Swap 사이트( https://swap.effect.ai/)에 접속해주세요.




② EFX토큰을 네오 월렛에 보관 중인 경우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 프라이빗키(Private Key)입력

- 암호화된키(Encrypted Key) + 비밀번호 입력




> 혹시라도 EFX토큰을 렛저 나노(Ledger Nano)에 보관 중이신 홀더들은 Ledger Nano탭을 클릭 후 안내에 따라 로그인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프라이빗키를 입력하셨으면, 하단에 보이는 “I agree with the Terms & Conditions” 문구 앞의 체크박스를 클릭 후 “Login”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③ 로그인이 완료되면, 본인의 NEO Address가 맞는지, 그리고 EFX토큰의 잔액이 정확한지를 확인해주세요.




④ 지갑주소와 계정 잔액이 올바르게 확인이 되셨으면, 마우스 스크롤을 내려서 하단에 보이는 EFX Amount에서 Max버튼을 클릭한 뒤에, EFX토큰을 받고자 하는 본인의 EOS 메인넷 계정명(12자리)을 입력하시고, Swap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⑤ 다음과 같이 NEO블록체인에서 EOS메인넷으로의 EFX토큰스왑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트랜잭션이 완료될 때까지 잠시 기다리시면 토큰 스왑 과정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나의 이오스계정에 EFX토큰이 들어왔는지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오스 블륵익스플로러인 eosflare 또는 bloks.io 등에서 계정명을 입력하여 직접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eosflare.io/account/efxtokenswap


위와 같이 efxtokenswap계정으로부터 본인의 이오스 계정으로 EFX토큰이 전송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스테이킹 방법



(1) 스테이킹이란?




Image Source : Get ready for the EFX Swap to EOS


EFX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기 전에, 스테이킹이라는 기능이 뭔지 생소하게 느껴지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립니다.

EOS 메인넷을 비롯하여 블록체인과 크립토 세계에서 스테이크(stake)라는 행위는 토큰 홀더들이 자발적으로 자신들의 토큰에 락(lock)을 걸어둠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믿음과 지지를 증명하는 행위로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스테이킹 기간 동안에는 해당 토큰을 다른 계정이나 거래소로 전송하는 것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토큰의 가격변동 위험에 장기간 동안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각 프로젝트들에서는 가격변동 위험에 자발적으로 노출이 됨에도 불구하고 토큰을 홀딩하고 스테이킹에 참여한 토큰 홀더들을 위한 다양한 보상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물론, 스테이킹과 관련하여 합의 알고리즘 방식, 스테이킹 기간, 스테이킹에 따른 보상 등에 대해서는 각 프로젝트들의 정책에 따라 굉장히 다양한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Effect.AI 프로젝트 역시 네오에서 이오스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을 하면서 EFX토큰의 스테이킹에 따른 보상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것이 바로 ESP와 NFX토큰입니다.

Effect Staking Protocol(ESP)을 통해 EFX토큰을 스테이킹 하는 토큰 홀더들은 Effect Network에서 DAC에 대한 엑세스 권한 및 투표 참여 등을 위한 거버넌스 토큰인 NFX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스테이킹 방법






① Effect Dashboard 사이트( https://dashboard.effect.ai)에 접속해주세요.




② 스테이킹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대시보드 사이트에서 스캐터 데스크탑으로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스캐터(Scatter)로고를 클릭해주세요.

> 혹시 스캐터 데스크탑을 아직 다운받지 않으신 분들은 스캐터 공식 홈페이지( https://get-scatter.com/)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계정정보 입력 등의 기초 설정을 먼저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③ 로그인이 완료되셨으면 “Stake”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현재 내 계정에서 몇 개의 EFX토큰을 스테이킹 중이고, 스테이킹에 따른 보상으로 NFX토큰을 얼마나 클레임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스테이킹을 한 내역이 없기 때문에 Staked 수량이 0으로 나타납니다.




⑤ 마우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스테이킹하고자 하는 EFX토큰의 수량을 입력한 뒤에 Stake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스캐터 데스크탑 팝업창에서 해당 트랜잭션을 수락하면 정상적으로 스테이킹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워낙 Effect.AI팀에서 토큰 스왑이나 스테이킹을 위한 툴들을 잘 준비해놓았기 때문에 이미 이오스 생태계에 익숙하신 분들이라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Effect.AI의 마이그레이션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만큼, 과연 Effect.AI가 어떤 프로젝트인지에 대한 커뮤니티의 궁금증도 높아질 것 같네요. 조만간에 EFX토큰이나 NFX토큰을 비롯한 Effect.AI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포스팅도 준비해 볼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EFFECT.AI 토큰 스왑 가이드 (NEO→EOS)’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