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Inside] 스캐터 11 프리릴리즈 버전 출시!

[EOS Inside] 스캐터 11 프리릴리즈 버전 출시!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오랫동안 기다리셨던 완전히 새로운 버전의 Scatter 11 프리릴리즈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 다운로드 링크 : https://github.com/getscatter/scatterdesktop/releases/tag/11.0.0-prerelease







스캐터 데스크탑 이전 버전에서는 블랙 테마로 바뀌었었는데 스캐터 11에서는 다시 원래의 하늘색 테마로 다시 돌아왔네요. 일단 로그인 후 모든 기능들을 만져보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의 업데이트 중에 가장 많은 업데이트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기분 탓인지는 모르겟지만 이전 버전에 비해서 프로그램이 훨씬 가벼워진 것 같고, RIDL네트워크를 포함한 여러 기능들이 추가됨과 동시에 메뉴들이 잘 정돈되어 처음 사용해보는 유저들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NFT거래를 위한 마켓플레이스도 이렇게 포함이 되어 있네요




더불어 스캐터 등장 초기부터 관심을 모았던 RIDL의 평판시스템도 스캐터 11에 탑재되었습니다. RIDL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추후에 별도로 자세하게 리뷰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물론 이번 프리릴리즈 버전은 퍼블릭 테스팅을 위한 단계로서 예상치 못한 오류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불안하신 분들은 서둘러서 설치하지 마시고, 많은 기능들이 대폭 업데이트 된 스캐터가 궁금하신 분들은 바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스캐터 11 프리릴리즈 버전 출시!’

스팀코인판 커뮤니티에 대한 기대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 블록체인의 AMG엔진이라고도 할 수 있는 SCOT이 등장하면서, 최근 스티밋 커뮤니티도 조금씩 활력을 되찾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하루에 올라오는 피드들을 다 소화하기에 벅찼던 2017년~2018년 초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들과 포스팅으로 북적거리는 날이 오려면 아직 멀었다 싶지만, 그래도 잠시 스티밋을 떠나 일상에 집중하셨던 분들도 하나둘씩 돌아오시니 개인적으로도 참 반갑습니다.

스팀엔진은 과연 그 이름답게 스팀 블록체인의 훌륭한 성장동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중인 것 같습니다. 대단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디앱을 빌딩하는 것도 좋겠지만, 그보다는 “참여와 커뮤니케이션”스팀 블록체인만의 가장 큰 특성이자 차별점”이라는 점에서 정말 제대로 된 방향으로 커뮤니티가 성장하고 있는 중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치(@virus707)님께서 운영하시는 JJM토큰, 선무(@leesunmoo)님께서 운영하시는 KRWS와 STEEMSC, 유쓰미(@y-o-u-t-h-m-e)님과 지젤(@ukk)님께서 운영하시는 YBT토큰, TR(@tradingidea)님께서 운영하시는 SSC토큰, 솔나무(@solnamu)님께서 운영하시는 ORG토큰을 비롯하여 @minigame에서 운영 중인 MINI토큰 등 KR커뮤니티에서도 각 스티미언들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자체 토큰들의 토큰 이코노믹스에 대한 배틀테스트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사실 아직은 스팀엔진의 극 초기단계라서 우려가 되는 부분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스팀엔진의 토큰들은 “스팀파워의 임대” 또는 “스팀 투자를 통한 구매”활동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보니 어찌보면 스티밋에도 적응하지 못한 새로운 뉴비들에게는 진입장벽처럼 작용할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스티밋 시스템에 익숙한 OB들에게는 스팀P전환 후 스팀엔진 토큰들을 키체인 익스텐션을 통해 구매하는 것이 딱히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뉴비들에게는 꽤나 까다로운 절차로 느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팀엔진 토큰을 구매한 사람들의 그들만의 리그”라고 스티밋에서 나름의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분들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 스팀엔진은 SCOT을 통해서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스팀엔진 기반의 토큰들이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글로벌 커뮤니티에서의 첫 번째 시작이 WeedCash였다면, KR커뮤니티에서의 첫 번째 시작은 스팀코인판(steemcoinpan.com)이 아닌가 싶습니다.

steemcoinpan.png

[관련 링크]

sct.png

스팀코인판은 SCOT를 활용한 스팀엔진 기반의 커뮤니티이자 코인 투자와 블록체인 정보 교류의 장이 될 대한민국 커뮤니티로서, 스팀코인판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모든 퍼블리셔들과 큐레이터들은 스팀(STEEM)과 더불어 SCT코인(Steem Coinpan Token)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완전히 동일한 개념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기존에 주로 여행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저자들은 트립스팀을 통해, 그리고 주로 맛집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저자들은 테이스팀을 통해, 새로운 제품들에 대한 리뷰 및 프로덕트 헌팅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저자들은 스팀헌트를 통해 더 많은 보상들을 받을 수 있었다면, 코인투자 및 블록체인 관련 콘텐츠를 주로 업로드 해 오셨던 분들은 이제 SCT코인으로 더 많은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17년, 2018년에 스티밋에서의 코인투자, 블록체인 관련 콘텐츠만큼 양질의 콘텐츠가 올라오는 공간은 없었다고 감히 자부합니다. 저 역시 2017년에 현재는 스팀헌트를 운영 중이신 @project7님이나 @tabris님의 포스팅, 코리오스의 설립자이신 @indend007님의 포스팅을 읽어가며 열심히 공부하곤 했었으니까요.

2018년 2월 이후 1년이 넘는 긴시간 동안에 많은 투자자들이 크립토씬을 떠나갔지만, 끝까지 계속해서 남아 있는 투자자들이나 유저들은 정말 많이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커뮤니티의 콘텐츠가 온라인 상에서의 댓글 등을 통한 소통의 매너 등이 함께 성장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선동 글, 비난 및 비방 글, 조롱 글, 무분별한 광고 및 희망회로 등이 판치는 크립토씬 커뮤니티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양질의 포스팅과 커뮤니케이션의 매너가 기본이 되어 있는 좋은 커뮤니티 그러면서도 특정 프로젝트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들이 풍부하게 공유될 수 있는 포괄적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티밋에서는 이미 충분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오랜 시간 활동해 온 좋은 저자들과 큐레이터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런 고유하면서도 차별적인 이점을 잘 살려서 스팀코인판 커뮤니티가 정말 블록체인 연구와 코인 투자에 대한 정보 교류에 있어서 상징성을 갖는 대표 커뮤니티로 거듭나기를 희망해봅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코인판 커뮤니티에 대한 기대’

스티밋도 미디엄처럼 포스팅 통계를 제공해주면 좋을 것 같다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별도의 썸네일 없이 그리고 미디엄에서의 쉐어투스팀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스티밋에 조금은 투박하게 글을 써보는 게 꽤나 오래간만인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제 스티밋 포스팅에 관심을 가지고 읽어주신 분들은 잘 알고 계시겠지만, 저는 몇 개월 전부터 스티밋에 직접 포스팅을 업로드하는 대신에 미디엄에 포스팅을 하고 이를 쉐어투스팀을 통해 스티밋에 옮기는 방식으로 포스팅을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몇 가지를 짚어보자면,

① 스티밋의 마크다운 작성법에 이제는 꽤 익숙해지긴 했지만, 확실히 미디엄의 포스팅 작성툴이 단순하면서도 꽤나 편리하다

② 스티밋 포스팅의 인덱싱 기능을 미디엄에서 대체할 수 있다

③ 쉐어투스팀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퍼블리시 이동이 가능하다

④ 미디엄에서는 포스팅 통계 자료를 제공해준다

제가 개인적으로 미디엄에서 포스팅 퍼블리싱을 하고 스티밋으로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사용하는 이유는 사실 마지막 4번의 이유가 가장 큽니다.

stat1.png

stat2.png

stat3.png

사실 스티밋에서도 이전에는 각 포스팅별로 View 관련 데이터를 제공해주었었으나, 보팅 수가 뷰 수를 초과하는 보팅봇 사용자들의 어뷰징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View 관련 데이터를 없애버렸죠.

사실 최근 제 포스팅들도 고정적으로 읽어주시는 분들, 스팀엔진 토큰 보팅지원 서비스, 고정 보팅을 세팅해주신 분들 이외에는 보팅이 각 포스팅별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떤 포스팅들을 구독자들이 좋아라하고 많이 읽는지, 그리고 댓글 등을 통한 피드백이나 커뮤니케이션이 없더라도 얼마나 Reader나 Viewer가 늘어가고 있는지 등에 대한 통계자료가 계속해서 포스팅을 쓸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되는 것 같습니다.

stat4.png

stat5.png

사실 아직까지 미디엄에서는 팔로워 수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링크를 클릭하여 직접 방문하시는 분들의 숫자일 뿐이고, 오히려 스티밋에서 고정적으로 포스팅을 읽어주시는 분들도 많아서 위의 데이터가 굉장히 유의미하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각 포스팅별 통계를 보며 구독자 또는 팔로워분들이 어떤 포스팅을 기대하고 좋아라하시는지 대략적으로 파악이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계속해서 포스팅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지속하는 스티미언의 수가 급격히 줄어든 지금의 상황 속에서, 스티밋 포스팅의 View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해주면 오히려 좌절스러울지도 모르겠지만 보팅을 얼마 받지 못하더라도 계속해서 의욕을 가지고 포스팅을 업로드할 수 있는 또 다른 인센티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퍼블릭하게 View데이터가 제공되지는 않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의 포스팅에 대한 View는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조금 변경되는 건 어떨까 싶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티밋도 미디엄처럼 포스팅 통계를 제공해주면 좋을 것 같다’

[EOS Inside] 모든 계정관리를 한 곳에서, EOS Authority Wallet!

[EOS Inside] 모든 계정관리를 한 곳에서, EOS Authority Wallet!



Image Source : https://twitter.com/EOSauthority/status/1127968924128223232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이오스 메인넷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BP팀 중 하나인 EOS Authority에서 모든 계정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한 곳에서 끝낼 수 있는 EOS Authority 월렛 & 익스플로러를 출시하였습니다.

- 링크 : Official EOS Wallet & Explorer of EOS Authority




그동안 툴킷에서 네트워크를 바꿔가며 계정을 관리하고, 각 툴킷 사이트마다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어서 여러 툴킷 사이트를 돌아다니느라 애를 먹으셨다면, 이제부터는 EOS Authority 월렛&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시면 정말 편리하고 간편하게 멀티계정을 관리하고, 계정에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해보니 처음에는 조금 낯설게 느끼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조금만 익숙해지면 하나의 웹페이지에서 정말 간편하게 계정 정보를 조회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툴입니다.


Image Source : https://twitter.com/EOSauthority


4월 30일에 EOS의 사용자 경험을 새로운 단계로 끌어 올려주는 무언가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했던 그 발표가 바로 이것?이 아니었나 싶네요. 그럼 EOS Authority의 월렛&익스플로러가 어떤 기능들이 있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용방법




https://eosauthority.com/dashboard


사용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위의 사이트에 접속한 뒤 Add account버튼을 클릭해서 나의 계정을 연결합니다.




그냥 계정이름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계정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고, 스캐터 데스크탑, Ledger 하드웨어 월렛, 모바일 월렛(EOS Lynx, Token Pocket, Meet.one Wallet 등)으로 로그인하여 계정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 가급적 계정이름 수동 입력보다는 스캐터 데스크탑 또는 월렛 등을 통해 로그인하여 계정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왜냐하면, 해당 월렛&익스프로러는 기존 툴킷들과는 달리 EOSIO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계정을 한 곳에서 쉽고 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스캐터 데스크탑이나, 월렛을 사용하여 계정을 등록하는 경우 해당 키쌍이 연결되어 있는 모든 EOSIO 체인들(이오스 메인넷, 텔로스, 워블리, 보스코어, 밋원 사이드 체인 등)의 계정정보가 한꺼번에 자동으로 등록이 되어 계정을 다양한 체인들의 계정을 원스탑으로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이 완료되었으면, 좌측에 보이는 메뉴들을 통해서 토큰전송, REX전환, 에어그랩 클레임, 계정 리소스 관리, 권한별 키쌍 변경, 투표, 신규 계정 생성, 프리미엄 네임 비딩 참여, 계정 알림 관리, 보유하고 있는 토큰 트레이딩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해당 계정의 보안성이 얼마나 높은지에 대해서 자가 진단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우측에 보이는 5가지를 모두 충족하고 있는 경우 계정의 보안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 ① 오너키(Owner key)와 액티브키(Active key)를 분리하여 사용 중인가?


> ② 보유하고 있는 토큰을 스테이킹(stake)하고 있는가?


> ③ BP투표에 참여하고 있는가?


> ④ 텔레그램 알림봇을 사용 중인가?


> ⑤ 이메일 알림 서비스를 사용 중인가?






에어그랩 클레임 페이지






텔레그램 및 이메일 계정 알림 서비스 신청 페이지


토큰 에어그랩 신청이나 자체 내장되어 있는 Findex거래소를 통한 토큰 트레이딩 기능부터 시작해서 계정 보안관리를 위한 알림 서비스 신청 등 계정관리 및 활동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이 곳에서 원스탑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약 1년 동안 서비스를 제공해왔던 노하우가 담겨 있어서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메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초보자들이 놓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 자가점검할 수 있도록 편리한 대시보드를 제공함으로써, 계정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입장에서 배려한 UI가 눈에 띠는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가장 맘에 드는 부분은, 로그인만 하고 나면 EOSIO 코드포크 체인들의 계정정보도 등록이 되어 계정관리가 정말 간편하다는 점입니다.





그동안 계정관리에 어려움을 느끼셨던 분들이라면 꼭 한 번 접속해서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정말 높은 만족도를 느끼실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모든 계정관리를 한 곳에서, EOS Authority Wallet!’

[EOS Inside]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 에어드랍 신청하세요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의 프리세일 일정 및 에어드랍 관련 소식이 공개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생소하실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Crypto Sword and Magic)이라는 게임은 이오스 메인넷 기반의 2D RPG게임으로서 블록체인 전문 투자 기업 해시드(Hashed)가 블록체인 댑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해시드 랩스(Hashed Labs)”에서 투자, 기획, 개발, 퍼블리싱, 컨설팅 등을 지원하며 투자를 한 노드 게임즈(NOD Games)에서 개발하고 있는 게임입니다.



당시 해시드 랩스에는 총 45개의 프로젝트가 지원하여 최종적으로 노드브릭(NODEBRICK), 노드 게임즈(NOD Games), 팀크래프트(Team Craft)라는 세 개의 개발사가 선정되어 크립토씬에서 꽤나 화제가 되었으나 아직까지 이렇다할 세부적인 정보들은 많이 공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노드 게임즈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게임 세상의 경제구조를 만들고자 2019년 3월에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현재는 정통 2D RPG게임인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을 개발 중입니다.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은 영웅을 선택하여 성장시키고 새로운 던전에 도전하는 RPG게임으로 모든 영웅, 장비, 펫에 대한 데이터가 이오스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며, 게임의 로직은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동작합니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게이머가 플레이를 하지 않을 때에는 용병 모드로 다른 사람들과 던전 플레이를 함께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고 하네요.

presale.png

오늘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에서는 5월 15일 프리세일 일정을 발표하면서 “신청자 전원에게 실제 게임에서 1 EOS에 구매 가능한 상자를 에어드랍”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잊지 마시고 에어드랍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에어드랍 신청 링크 : https://forms.gle/rLDWLftx1nsNMk5u6


> 혹시라도,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에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 - 공식 웹사이트: https://cryptoswordandmagic.com
> - 공식 텔레그램 뉴스(한글): https://t.me/cryptosnm_kr
> - 공식 트위터 : https://twitter.com/sword_and_magic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크립토 스워드 앤 매직 에어드랍 신청하세요’

[위드캐시] 이제 스티밋은 메인체인의 종합 포털이 되고, 사이드체인 형태의 커뮤니티 포털이 등장할 것인가?

stake.png

보팅 테스트를 위해 일단 소량 구매를 해보고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jayplayco님의 [위드캐쉬] SMT의 미래가 손에 잡히다. 포스팅 및 @virus707님의 SCOT를 확인해보려고 와봤습니다 포스팅을 보고 위드캐시(http://www.weedcash.network/)에 놀러와봤습니다.

weedcash.png

처음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에는 키체인 크롬 익스텐션으로 로그인하는 기능이 있어서 신기방기하게 느껴집니다.

weedcash2.png

키체인으로 로그인을 해주고나면,

weedcash3.png

기존 스티밋과 같이 피드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좌측 상단에 Steemit 베타 로고 대신에 WeedCash로고가 뜬다는 점, 그리고 ②로고를 비롯한 링크들이 스티밋에서는 연두색이라면 위드캐시 네트워크에서는 형광에 가까운 연두색으로 보인다는 점, ③보여지는 태그가 다르다는 정도만 차이가 있네요.

weedcash logo.png

많은 분들이 위드캐시의 등장을 격하게 반기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ㅎㅎㅎ) 이미 오랜 시간 동안 스티밋에서 활동해오던 유저들이 자신들의 명성과 스팀파워, 아이디어 등을 가지고 “유저 기반의 자체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팀엔진은 너무나 멋진 작품이기도 했지만 거기서 한 발자국 아니 수 백 걸음을 더 내딛는 SCOT은 유저들이 오랫동안 꿈꾸어왔던 스팀 블록체인 멀티버스를 가능케 해 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서비스가 활성화 되면 스티밋(Steemit)은 스팀 메인체인을 기반으로 한 종합 커뮤니티 포탈이 되고, 각각의 커뮤니티들은 위드캐시처럼 고유한 URL을 가지고 별도의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하여 운영이 되며 사이드체인 형태로 운영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저들은 내가 주로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커뮤니티에서만 활동해도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유저들과 스티밋이라는 종합 포털에서 소통할 수 있고, 내가 주로 활동하는 커뮤니티에만 집중해서 소통을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죠.

Steemit 개발진들로부터의 SMT는 멀었지만, 스팀몬스터 개발진들로부터의 SMT는 이제 정말 가까워진 것 같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위드캐시] 이제 스티밋은 메인체인의 종합 포털이 되고, 사이드체인 형태의 커뮤니티 포털이 등장할 것인가?’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