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T] 카카오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클레이튼(Klaytn), 6월 27일 메인넷 런칭?

kakao wallet.jpg

이미지출처 : 카카오톡 암호화폐 지갑, 다음달 27일 베일 벗는다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지난 10월에 프라이빗 테스트넷을 런칭했던 클레이튼(Klaytn)이 퍼블릭 테스트넷을 거쳐 6월 27일에 메인넷을 런칭한다고 밝혔습니다. 위 링크의 기사에 따르면 클레이튼의 메인넷 런칭 일자는 카카오 또는 그라운드X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내용은 아니고, 그라운드X와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개발 중인 복수의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입수된 소식인 것으로 보입니다.

groundx.png

카카오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대중적인 서비스들을 발굴하기 위해 탈중앙화를 일부 포기하고 탈중앙화와 중앙화의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클레이튼 역시 누구나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는 개방형 퍼블릭 네트워크가 아니라, 파트너들이 블록 생성과 검증을 맡는 컨소시엄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될 예정이라고 밝혔었죠.

그래서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DApp(디앱) 대신 BApp(비앱)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일컬어집니다. Decentralized Application이 아니라 Blockchain Application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탈중앙화”라는 특징을 어느 정도 포기하는 대신 업계에서 실제로 널리 활용되는 것에 중점을 두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klaytn logo.png

현재까지 공개된 클레이튼의 ISP(Initial Service Partner)사로는 콘텐츠프로토콜, 보라, 픽션네트워크, 위메이드트리, 인슈어리움, 휴먼스케이프, 캐리프로토콜, 식스네트워크, 코스모체인, 에어블록프로토콜 등 총 26개사가 있으며, 이들은 그라운드X에서 클레이튼의 메인넷을 런칭한 후 3개월 내에 서비스를 출시하기로 계약을 맺은 상황입니다.

partnership.png

카카오에서는 클레이튼 메인넷 공개와 동시에 일부 ISP의 서비스를 선보이는 한편, 자신들의 주요 서비스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게임,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지 등이 가장 유력한 서비스로 손꼽히고 있는데 이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먼저 대중들에게 다가가게 될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진진한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결국 디앱의 매스어답션을 위해서는 서비스 운영자들은 “탈중앙화의 망령”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이 반드시 탈중앙화에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탈중앙화라는 망령을 과감하게 벗어던진 클레이튼 기반의 비앱(BApp)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모르는 대중들에게 어떻게 잘 다가갈 것인지가 매우 기대가 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카카오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클레이튼(Klaytn), 6월 27일 메인넷 런칭?’

크립토마켓의 엄청난 변동성을 감당할 수 있느냐

STEEMIT MAIN.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방금 전 클레이옵님의 주변에서 비트코인을 사야하는지 물어볼 때 이렇게 답해봅시다라는 포스팅을 읽고 어제, 오늘 개인적으로 겪었던 일들에 대해 썰을 잠시 풀어볼까 합니다.

어제는 비트코인의 “비”자도 잘 이야기 하지 않은 친구들의 단톡방을 비롯해서, “아직도 비트코인 투자하냐”고 비아냥 거리던 친구들, 회사에 나이가 지긋하게 드신 어르신들로부터 유난히 연락을 많이 받은 날이었습니다.

오랜만에 연락 온 사람들의 메시지는 “잘 지내고 있냐, 돈 좀 많이 벌었겠다”라는 인사 같지 않은 인사로 시작해서, “지금 어떤 코인을 들고 있는지,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한 질문, 그리고 “하락장이 끝났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지금 들어가도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들이었습니다.

조금 더 나아가서는 뭘, 어떻게 얼마나 사야되는지 아주 원초적인 질문들도 많이 받은 날이었죠. 그래서 그 질문들에 대해서 저는 이렇게 답을 했습니다.

① 너무 종류가 많아서 다 알려주려면 하루 정도는 만나서 이야기 해도 부족하다.
② 지금 올라가고 있는 건 내려온 거에 비하면 잠깐 꿈틀거리는 정도에 불과해서 돈을 번 것도 없다
③ 하락장이 끝났는지는 신이라도 알까 싶다
④ 지금 들어와도 안전하지 않다. 그리고 언제 들어와도 안전하지 않다
⑤ 뭘 얼마나 어떻게 사야되는지 궁금할 때는 그냥 사지 마라

그리고는 마지막에는 하루에도 수십퍼센트가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곳이 크립토 마켓인데 과연 이 엄청난 변동성을 감당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신경 쓰지 않고 일상에 집중하며 살 수 있는지에 대해서 되물어 보았습니다.

혹자는 “너보다 싸게 사는게 배 아파서 그런게 아니냐?”라고 물어보셔서, "내일 가격이 내려가면 저를 원망하며 배 아파 하실 것 같아 그렇습니다"라고 대답을 드리기도 했네요.

몇 달 전에 친구들과 일본에 놀러 갔을 때가 비트코인이 4백만 원하던 때였습니다. 친구들 중에서 블록체인 관련 대학원 과정을 다니는 친구가 있기도 하고, 금융권에 종사하고 있는 친구들이 많아 잠시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시간이 있었는데 “그럴 시간에 주식차트나 한 번 더 보라”고 했던 친구가 “그때 너 말 듣고 비트코인 샀으면 250% 벌었겠네 젠장” 이라고 말하더군요.

사실 정말 오랜 기간의 하락장을 온 몸으로 체험해 본 입장에서, 가장 비겁하면서도 현실적인 대답은 “사지 마라”라는 대답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제 2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야되는지 말아야되는지”에 대해서는 물어봤지만, 정작 사지말라는 저의 대답에 “제가 왜 투자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다시 물어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더군요.

언젠가는 “왜 비트코인이나 크립토애셋에 제가 투자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보는 주변인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그 질문에는 클레이옵님께서 말씀해주신 내용처럼 최대한 성심성의껏 자세히 제 견해를 풀어보고 싶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크립토마켓의 엄청난 변동성을 감당할 수 있느냐’

[SCT] 스팀코인판 주요 Q&A 간단 요약

sct logo.png

steemcoinpa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코인판과 관련하여 접속방법, SCT구매, 태그사용 등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주요 Q&A를 간단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 Q2. 스팀코인판은 어떻게 로그인 하나요?
  • A2. 위의 사이트 접속 후에 기존 스티밋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 Q3. 스팀코인판에서 쓴 글이 스티밋에서도 보이나요?
  • A3. 넵, 스팀코인판에서 쓴 글은 스티밋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Q4. 스팀코인판에서 사용하는 SCT토큰은 어떻게 구매하나요?
  • A4. 스팀엔진 마켓에서 STEEM토큰을 STEEMP토큰으로 전환하여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Q5. STEEMP토큰은 뭔가요?
  • A5. 스팀엔진 마켓에서 스팀(STEEM)과 1:1로 페깅(pegging)되는 토큰입니다. 스팀엔진 토큰 거래소에서는 스팀 토큰을 직접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페깅된 STEEMP토큰을 사용합니다.
  • Q6. 스팀엔진을 사용하려면 키체인을 사용해야 되던데, 키체인은 어떻게 설치하나요?
  • A6. 롱다리(@tailcock)님께서 작성하신 왕초보를 위한 스팀키체인 사용방법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Q7. SCT을 구매했는데, 스테이킹은 어떻게 하나요?
  • A7. 오치(@virus707)님께서 작성하신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Q8. SCT을 스테이킹하고 나면 어떻게 되나요?
  • A8. 스팀파워업을 하신 것과 동일하게, 스팀코인판에서 다른 분들의 포스팅에 업보팅을 하면 SCT가 해당 유저에게 지급됩니다.
  • Q9. 저자 보상에 찍힌 SCT토큰은 자동으로 제 계정에 들어오나요?
  • A9. 직접 클레임을 해주셔야 합니다. SCT토큰 클레임 링크를 클릭하신 뒤 Continue버튼을 클릭하여 클레임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Q10. SCT의 페이아웃 기간은 스티밋과 동일한가요?
  • A10. 스팀코인판의 SCT의 페이아웃 기간은 3일입니다. (언스테이킹 기간도 페이아웃과 동일하게 3일입니다)
  • Q11. 스티밋에서 글을 쓰면 스팀코인판에서도 볼 수 있나요?
  • A11. 스티밋에서 쓴 글이 스팀코인판에서도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태그에 반드시 #sct를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물론 스팀코인판에서 글을 쓰실 때는 첫 태그로 #sct를 쓰지 않아도 잘 보입니다)

스팀코인판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 포스팅들이 #sct 태그를 통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해당 태그 검색을 통해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스티밋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 주요 Q&A 간단 요약’

[SCT] 스팀코인판 큐레이팅 활동을 시작합니다

steem logo.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블록체인 연구와 코인 투자에 대한 대표 커뮤니티이자,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훌륭한 퍼블리셔들로 가득할(?) 집단지성의 장 스팀코인판이 1시간 뒤(2019년 5월 17일 12시)에 독립된 커뮤니티로서의 첫 발을 내딛습니다.

sct logo.png

steemcoinpan.png

어찌보면 스티밋에서 #coinkorea로 대표되었던 블록체인 또는 크립토투자 관련 포스팅들의 대표 태그는 #sct로 대체가 되면서 그동안 조금은 뜸했던 크립토&블록체인 관련 양질의 포스팅들이 대거 올라오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물론, 스티밋에서도 스팀코인판의 포스팅들을 접하실 수 있겠지만 SCT토큰을 구매하고 스테이킹하신 분들이라면 스팀코인판 사이트(http://www.steemcoinpan.com)를 통해서 포스팅 퍼블리싱 및 큐레이팅에 함께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

스팀코인판 커뮤니티에 대한 기대라는 포스팅을 통해 개인적인 생각 및 기대를 남기기도 했지만 스팀코인판은 아마도 선동 글, 비난 및 비방 글, 조롱 글, 무분별한 광고 및 희망회로 등에서 자유로운 청정구역이자, 다양한 프로젝트 분석 및 소개, 튜토리얼, 블록체인 관련 기술 설명, 차트 분석 등 다양한 주제들이 집약되어 있는 포괄적 커뮤니티로 성장해 줄 것이라 믿습니다.

curator.png

이미 스티밋에서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활동해오고 계신 멋진 스티미언님들과 함께 스팀코인판의 큐레이터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스팀코인판에 올라올 멋진 양질의 포스팅들을 기대하며, 신명나게 큐레이팅 활동을 해보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 큐레이팅 활동을 시작합니다’

[EOS Inside] 제네시스 키분실자 계정 복구솔루션 출시!

recovery.png

steemit_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이오스 메인넷 런칭 당시 제네시스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 솔루션이 출시되었습니다. 이중등록 등으로 인해 제네시스 계정의 키를 분실하신 분들은 이제부터 해당 계정에 연결된 키쌍(퍼블릭키/프라이빗키)를 재설정하여 계정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신청절차 요약]

  1. https://eosauthority.com/lostkey 접속
  2. 스크롤을 내려서 Reset your account key란에 0x로 시작하는 이더리움 주소 또는 12자리 이오스 계정명 입력 → Submit 클릭
  3. 하단에 이오스 계정 및 이더리움 주소가 나타나면 내 계정이 맞는지 확인
  4. 스캐터 데스크탑 다운로드(https://get-scatter.com/download)
  5. 스캐터 데스크탑 설치 및 실행
  6. Add Keys → Create Key → 열쇠모양 아이콘 클릭
  7. EOSIO 하단에 보이는 EOS로 시작하는 53자리 키 오른쪽에 복사모양 아이콘 클릭 (주의 : 키 정보는 스캐터 데스크탑에 자동으로 저장되나, 프라이빗키를 따로 보관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Reveal버튼을 클릭하면 프라이빗키 확인 가능)
  8. New EOS Key에 붙여넣기 (주의 : 5로 시작하는 51자리의 프라이빗키가 아니라 EOS로 시작하는 51자리 퍼블릭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9. Submit signed message 버튼 클릭
  10. 메타마스크 로그인
  11. 새창이 나타나면 Sign버튼 클릭

[주의사항]

① 새로 생성한 키쌍의 프라이빗키(5로 시작하는 51자리의 영어+숫자조합 문구)를 이메일, 카카오톡, 메모장 등에 보관하시면 안됩니다
② 스캐터에 내가 새로 생성한 키쌍이 잘 저장되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보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③ New EOS Key에는 반드시 EOS로 시작하는 53자리로 된 퍼블릭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lostkey.png
④ 메타마스크에 로그인할 때는 반드시 위의 화면에서 조회되는 이더리움 월렛으로 로그인하셔야 합니다.





본 포스팅은 인스타그램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Instagram via Share2Steem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제네시스 키분실자 계정 복구솔루션 출시!’

드럭워즈에 엄청난 업데이트가 있네요

drugwars main.png

드럭워즈팀이 비록 유저들이 게임을 재밌게 즐기게끔 하는 상성들을 세팅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난관에 부딪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정말이지 부지런한 개발 속도는 존경할만 해 보입니다.

위와 같이 드럭워즈의 로그인 화면이 새롭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뭐 카드 모으기, 땅따먹기 싸움 등은 이미 어느정도 예측되었던 업데이트라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drugwars main2.png

두둥!!

스티밋 유저뿐만 아니라 스티밋 계정이 없는 사용자들도 드럭워즈를 즐길 수 있게끔 다양한 로그인 방식을 지원하는 업데이트가…

아마도 이 로그인 방식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라 그런지 현재 드럭워즈에 정상적으로 로그인은 안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게이트웨이를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유저들을 유입시키려는 드럭워즈의 노력에 엄지척을 해주고 싶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드럭워즈에 엄청난 업데이트가 있네요’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