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Inside] 불필요한 토큰정보를 지워서 RAM자원 확보하는 방법

[EOS Inside] 불필요한 토큰정보를 지워서 RAM자원 확보하기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께서 쓰시고 계신 이오스 메인넷 계정에 잔액이 없는 토큰들이 잔뜩 쌓여있으실 것 같습니다. 이런 토큰들의 컨트랙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내 계정의 소중한 RAM자원을 잡아먹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불필요한 토큰 정보를 삭제하여 내 계정의 RAM자원을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따라하시기 전에 주의하실 점은 먼저 해당 토큰의 잔액을 0으로 만들고 토큰 정보 삭제를 진행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시작 전에 토큰 정보를 삭제하고자 하는 토큰을 다른 계정 또는 거래소로 보내서 꼭 잔액을 0으로 만들어주세요.

#토큰 정보 삭제방법






https://bloks.io/ 에 접속한 뒤에 우측 상단 검색창에 삭제하고자 하는 토큰의 12자리 컨트랙트 계정명을 입력해주세요




[참고사항] 여기서 12자리 컨트랙트 계정명은 eosflare.io 또는 bloks.io에서 조회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토큰 심볼 하단에 보이는 12자리 계정명)




② 해당 컨트랙트 계정명 하단에 보이는 [Contract]탭을 클릭해주세요




③ 그다음 Contract Actions 하단에서 [close]라는 액션 항목을 클릭해주세요




④ 위와 같이 owner와 symbol을 입력하는 창이 나타나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주세요

- owner : 나의 12자리 이오스 계정명

- symbol : 4,해당토큰심볼




예를 들어서 steemdonekim이라는 계정에서 NEB토큰의 컨트랙트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 owner : steemdonekim

- symbol : 4,NEB




입력이 모두 완료되었으면 스캐터 데스크탑으로 로그인하신 뒤에 [Push Transaction]버튼을 클릭해주세요




⑤ 트랜잭션 팝업창이 나타나면 [Allow]를 클릭해주세요




⑥ 해당 토큰의 정보가 잘 삭제되었는지 확인해보고 싶으시면 다시 https://bloks.io/에 접속한 뒤 내 계정을 검색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트랜잭션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Txid 오른쪽에 칩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이는 RAM자원의 변동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아이콘입니다. 해당 아이콘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으시면 위와 같이 RAM자원이 어떻게 변동되었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에서는 NEB토큰의 정보를 삭제하고 240 Bytes의 RAM자원을 얻었네요)


변경 전 RAM자원



변경 후 RAM자원


위와 같은 경우는 3개의 토큰 정보를 삭제했을 때 변경된 RAM자원입니다. 토큰별로 정보를 삭제했을 때 확보되는 RAM자원은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 예외사항






어떤 토큰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close라는 컨트랙트 액션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토큰을 다른 계정으로 전송했다가 다시 받으면 close메뉴가 활성화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토큰 정보 삭제를 통해 RAM을 반환받을 수 있는 토큰은 해당 토큰을 받으며 나의 RAM자원을 사용한 경우만 해당합니다. 따라서 온전한 에어드랍(에어그랩, 스카이훅 등이 아닌 에어드랍)으로 지급받은 토큰들의 경우에는 해당 토큰정보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RAM자원을 반환받을 수 없습니다.

> 에어드랍을 진행 토큰들은 해당 디앱사에서 RAM자원을 부담했기 때문에 이미 나의 계정에서 RAM자원을 점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여러 토큰들이 점유하고 있는 RAM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토큰정보 삭제를 통해 이전에 부담했던 RAM자원을 다시 반환 받으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Posted from Medium via Share2Steem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EOS Inside] 불필요한 토큰정보를 지워서 RAM자원 확보하는 방법’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을 위한 DACT토큰 클레임 방법 가이드

dact.jp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보인다 포스팅을 보고, 혹시 DACT(Discounted Account Creation Token)을 어떻게 클레임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실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DACT클레임 방법 가이드를 준비해봤습니다.

아래의 내용에 따라 클레임을 하시면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을 생성해줄 수 있는 DACT를 받으실 수 있으며, RC가 여유가 있을 때마다 해 놓으시면 내 계정에 차곡차곡 쌓아놓을 수 있으니 정기적으로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 타계정에 임대해준 스파를 제외하고 6,000~8,000 SP 이상을 보유한 분들께만 권장합니다)

더불어, DACT를 가지고 실제로 계정을 생성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툴을 사용하셔야 하며 여기서는 간단하게 클레임 방법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DACT클레임 방법


DACT를 클레임하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아래의 주소링크를 모두 복사하신 뒤(주소를 복사하실 때는 반드시 마지막에 보이는 대괄호 부호 []까지 복사를 하셔야 합니다)계정명을 삭제하시고 @를 제외한 본인의 계정명을 넣으시면 됩니다.

  • 주소링크 : https://app.steemconnect.com/sign/claim_account?creator=계정명&fee=0.000%20STEEM&extensions=[]

예시 : https://app.steemconnect.com/sign/claim_account?creator=donekim&fee=0.000%20STEEM&extensions=[]

rc.png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CONTINUE를 클릭하여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pending.png

이미지 소스 : 오치(@virus707)님 스팀디

클레임을 완료하시고 나면 스팀디(https://steemd.com/@계정명) 사이트에 접속하시어 마우스 스크롤을 아랠로 내려보시면 DACT가 클레임 되었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Pending claimed accounts라는 메뉴입니다. 여기를 확인해보시면 내가 보유하고 있는 DACT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DACT 클레임 시 주의사항


rc.png

이미지 소스 : 오치(@virus707)님 스팀디

DACT를 클레임하는 경우에는 나의 계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RC(Resource Credits)를 대량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 말인 즉슨, 충분한 수준의 스팀파워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분들은 DACT를 클레임하고 나면 글쓰기, 댓글 쓰기, 보팅, 전송 및 파워업 등의 활동을 일시적으로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알려진 정보에 따르면 DACT 클레임에 소모되는 RC는 대략 3,184개의 댓글 쓰기 및 17,730개의 보팅 활동에 소모되는 RC와 동일합니다.

따라서, 스티밋 활동에 큰 제약이 생기지 않을 수준의 DACT 클레임을 위한 최소 권장 스파(SP)는 약 6,000~8,000 SP라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이하의 스파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RC전량 소진으로 인해 DACT클레임 인증글(?)을 한동안 못 쓰시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RC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니 조심하실 필요가 있습니다ㅠㅠ)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을 위한 DACT토큰 클레임 방법 가이드’

[스팀엔진]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보인다

scot ninja.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애그로드(@aggroed)를 필두로 한 스팀엔진팀은 “미쳤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애그로드의 포스팅에 따르면 스팀엔진팀이 스팀닌자 서비스(https://steem.ninja)를 운영하고 있는 오라클디(@oracle-d)팀과 협업하여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문 링크 : Introducing Scot.Ninja! Steem-Engine and Steem.Ninja (from Oracle-D) team up to empower onboarding!

signup.png

일반 대중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들이 친숙하게 다가가지 못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진입장벽은 바로 온보딩 문제입니다. 스팀 블록체인과 스티밋도 결국에는 기존의 중앙화된 포털 사이트들 처럼 언제든지 쉽고 빠르게 계정을 생성할 수 있어야 진정한 매스 어답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스티밋의 경우에는 회원가입 신청 후 1~2주 정도를 기다리면 무료로 스팀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할 수 있지만, 정말 많은 사람들에게 1~2주라는 시간은 기억 속에서 잊혀지기 쉬운 꽤나 긴 시간이 분명합니다. 그래서 스티밋 포크 서비스인 스팀코인판도, 그리고 트리플에이도 보다 많은 유저들이 유입되어 강력한 커뮤니티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체인 상의 신규 생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입니다.

#1. 신규 계정 생성문제


steem ninja.png

oracled3.jpg

해외 유저들은 Oracle-D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팀닌자(https://steem.ninja/) 사이트를 통해서 페이팔이나 카드결제, ETH결제 등을 통해 신규 계정을 즉시 생성할 수 있지만, 계정을 유료로 생성한다는 개념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대중들에게 효과적인 유입 창구가 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dact.jpg

그나마 HF20 이후에 약 2,500~3,000 이상의 SP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유저들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여유RC를 사용하여 DACT(Discounted Account Creation Token)을 클레임 할 수 있고, DACT를 통해 신규 계정생성을 무료로 지원해줄 수 있습니다.

rc.png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DACT라는 토큰은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주거나 거래를 할 수 있는 FT(Fungible Token)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각 DACT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1:1로 대화를 걸어 신규 계정 생성을 요청해야 하는 관계로 계정을 생성해주는 사용자도, 그리고 계정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도 꽤나 번거로운 상황을 겪어야 합니다.

#2. 스팀엔진팀의 해결방안 : DACT의 유동성 부여


스팀엔진팀의 계획은 DACT를 소유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스캇닌자(Scot.Ninja)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어떤 방식일까?

DACT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보유하고 있는 DACT토큰의 수 만큼 커스터마이징 된 SCOT토큰을 발행해주고, 해당 사용자가 신규 계정을 생성해주면 해당 SCOT이 @null 계정으로 자동으로 보내져 소각되는 방식입니다. 물론 이 커스터마이징된 SCOT토큰은 스팀엔진 마켓에서 거래가 가능하구요. (물론 신규 계정생성은 봇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DACT 토큰소유자들은 자신들의 여유 RC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대규모의 신규 유저들의 유입이 필요한 서비스 제공자들은 SCOT토큰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즉시 해결할 수 있습니다.

voucher.png

스티밋 포크 프로젝트(SCT, AAA, PAL등) 서비스 운영자들은 스팀엔진 마켓에서 DACT토큰을 구매하면 구매한 수량만큼의 리딤코드를 받아서 신규 계정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방식입니다.

#3. 언제부터 가능할까?


현재 애그로드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7월 초 경에는 이 DACT토큰에 유동성 불어넣기 프로젝트를 만나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스팀엔진에 DACT라는 토큰이 있는데 아마도 이 토큰이 스팀엔진 마켓에서 신규계정생성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래가 되겠네요.

합리적인 선에서 시장가격이 형성되면 충분한 스팀파워 보유자들은 공급자로서 수익을 창출하고, 다양한 스티밋 포크 프로젝트 운영진들은 신규 계정생성 문제라는 골치거리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정말 놀라운 솔루션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말 스팀엔진팀은… 대박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보인다’

디커머스(dcommerce) 임대스파를 모두 회수했습니다 (회수방법 안내)

yaddy.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최근 들어서 디커머스의 개발 진행 상황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스티미언님들이 많았으나, 아쉽게도 지난 4월 4일 이후에 @dcommerce계정에서 새롭게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소식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yaddy2.png

2개월 전의 포스팅에서도 디커머스가 Yaddy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 되었다는 소식과 디스코드, 텔레그램 채널 공지 정도 이외에는 별다른 특이사항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더불어 새롭게 리브랜딩된 공식 홈페이지(https://yaddy.io/)나 텔레그램에서는 별다른 활동적인 움직임도 감지할 수가 없습니다. (텔레그램의 경우에는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그룹 참여인원이 5명 밖에 되지 않으며 그룹 생성 이후에 별다른 코멘트나 공지도 없네요)

dcommerce.png

rebrand yaddy.png

디커머스, 아니 야디의 최신 소식을 해진님이나 스타주노님께서 업데이트하여 전해주시면 가장 좋겠지만, 별다른 소식을 들을 수 없는 지금 상황에서 임대를 회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초에 1,000 SP 임대시 2% 보팅 비율이임대자가 늘어나며 보팅파워가 1%로 줄어들었으나, 보팅파워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현재 보팅 비율의 변동이 없어 수익성 저하

② 프로젝트의 업데이트 소식이나 활동내역을 파악할 수 없는 관계로 토큰을 받기 위해서 6개월을 반드시 채워야 할지에 대한 의문이 생김

혹시라도 이 글을 보시고 임대회수를 고려하시는 분들께서는 최초 스파임대일 이후 6개월이 초과되었는지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6개월을 채우지 않고 스파임대를 회수하는 선택을 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향후 디커머스 토큰을 수령하실 수 없습니다.

#임대시작일 확인 및 스팀파워 회수방법


혹시라도 스파임대 시작일과 스팀파워 회수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한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절대 디커머스의 스파임대 회수를 장려할 의도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아래의 방법으로 스파임대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스팀 키체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굉장히 편합니다.

steemworld1.png
① 먼저 스파임대 시작일을 확인하기 위해 스팀월드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그 다음에는 좌측에 보이는 [Delegations]탭을 클릭해주세요

[참고] 스팀월드 사이트 : https://steemworld.org/@계정명

steemworld2.png

② 그 다음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Outgoing]탭을 클릭해주세요

steemworld3.png

③ 해당 탭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Delegation Time에서 @dcommerce에 임대를 시작한 날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eemworld4.png

④ 임대스파를 회수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위의 그림과 같이 [Delegate SP]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steemworld5.png

⑤ 그 다음 To Account라는 입력창에 dcommerce라고 입력하고 Ok버튼을 클릭합니다.

steemworld6.png
⑥ 위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나면 Amount (SP)가 0으로 정상적으로 나오는지를 확인하신 뒤에 Yes버튼을 클릭해주세요

steemworld7.png

⑦ 위와 같이 스팀 키체인 팝업창이 뜨면 [CONFIRM]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여기까지 진행을 하셨다면 스파임대 회수가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steemworld8.png

⑧ 혹시라도 정상적으로 임대스파가 회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Expiring댑을 클릭하셔도 되고,

steemworld9.png

⑨ 마우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Delegate Vests라고 쓰여 있는 탭을 클릭하셔도 됩니다.

steemworld10.png

⑩ Delegate Vests탭을 클릭하면 헤당 트랜잭션에 관한 정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동안 디커머스의 보팅 덕분에 잘 먹고 잘 살았지만 현재로서는 보팅파워 수익률이 매우 적어졌고, 사용자들과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신뢰성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비록 디커머스 토큰을 배분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일단은 조금이라도 더 나은 곳에 스파를 쓰는 것이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뚜렷한 용처를 정한 것은 아니라 일단은 임대가 필요한 프로젝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디커머스(dcommerce) 임대스파를 모두 회수했습니다 (회수방법 안내)’

새로운 SCOT 프로젝트 PAL은 무엇일까? PAL토큰은 파는게 나을까?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해외 커뮤니티에서 스팀엔진 기반의 PALnet이라는 새로운 스티밋 포크 프로젝트를 내놓으면서 모든 스티미언들을 대상으로 클레임드랍(claim-drop)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아마도 클레임드랍이 없었다면 국내 커뮤니티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겠지만, 클레임드랍 덕분에 PALnet이 무엇인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PAL토큰의 클레임드랍을 신청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읽어보시고, 6월 내에 PAL토큰을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조금 간단하게 PALnet프로젝트가 뭔지, 그리고 토큰을 파는 것이 나을지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PAL이란?


pal logo.jpg

PAL네트워크의 PAL의 의미는 Peace(평화) / Abundance(풍요) / Liberty(자유)의 약자를 따온 것으로 이 스티밋 포크 프로젝트는 스티밋 커뮤니티에 갓 입문한 뉴비들(=피라미=Minnow)을 포함하여 전세계 각국의 유저들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 보팅 등을 지원하는 MSP(Minnow Support Project)를 기반으로 합니다.

aggroed.png

msp.png

MSP의 창립자는 스팀엔진 덕분에 이미 국내 커뮤니티에서 익히 잘 알려진 애그로드(@aggroed)입니다. 애그로드는 MSP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티 봇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고, 기존 스티밋에서의 보상만으로는 커뮤니티 참여자들에게 골고루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생각에서 PALnet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2. PALcoin은 어떻게 할까?


explorer.png

솔직히 영어로 포스팅을 작성하거나, MSP디스코드에서 활발한 활동을 할 유저가 아니라면 국내 스티미언들이 PALnet에서 보상을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해외 커뮤니티 기반의 프로젝트이다보니 거의 모든 포스팅이 영어로 작성된 포스팅들이죠.

PALnet에서는 사용자의 포스팅 주제를 특정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그나마 PALcoin의 클레임 드랍 이후 한국어로 된 포스팅들도 눈에 띄기는 하지만, 확실히 많은 보팅을 받고 있지는 못합니다.

inflation.png

그런데 주목할 점은, 연간 인플레이션 발행분 2,100,000개 중에서 PoB(저자 및 큐레이터 보상)에 배정된 것은 75%로 하루에 약 4,300개 정도만이 저자 및 큐레이터 보상으로 배분이 된다는 점입니다. 100명의 활성 유저가 동일하게 포스팅에 보팅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사실 43개의 절반인 21.5개 정도 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pal market.png

orders.png

런칭 초기에 1 PAL = 1 STEEM으로 판매가격이 책정되어 있던 PAL토큰은 초반 덤핑으로 인해 0.02 STEEM 정도까지 가격이 급하락했다가 이제는 다시 균형가격을 찾아가고 있는 중 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추천을 드리자면, 조금 늦게 PAL클레임 드랍을 신청하신 분들은 굳이 시장에 던지지 마시고 잠시 잊고 지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물론 PALM이나 PALMM을 통한 채굴 물량도 시장에 계속 쏟아져 나올지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PALnet도 PALcoin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초반이니 만큼, 일단은 PALnet에 한국어 포스팅으로 참여를 해보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새로운 SCOT 프로젝트 PAL은 무엇일까? PAL토큰은 파는게 나을까?’

Bind Steem

I want to link my Steem account with my account on Snax blockchain using https://snax.one
Please, create Snax account for me!
My authentication hash: 5e62cb1fb06f3d0e08ede51735079b39a4ffe3eb973751d7e69fdc86436c7952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Bind Steem’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