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오브리치(RORS) 토큰 사전판매 참여, 개인적인 생각

rors logo.jpg

Image source : https://steemit.com/@roadofrich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아직 정식 출시까지는 한참 남았지만 저도 로드오브리치(RORS) 토큰 사전판매 참여물결에 동참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일정에 따르면 로드오브리치는 7월말 알파테스트 시작, 8월 커뮤니티 밋업을 계획 중이며, 지금까지의 경험상 블록체인 기반 게임들의 출시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다반사라 실제로 RORS토큰을 언제쯤 실제로 활용하게 될지 섣불리 예측할 수는 없으나 지금까지의 분위기를 보았을 때 스팀엔진을 활용한 펀드레이징은 굉장히 성공적인 분위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까지도 스팀 블록체인과 이오스 메인넷을 모두 사용하는 듀얼 블록체인 모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지는 못했고, 게임이 얼마나 완성도 있게 출시되어 많은 유저들을 유입시키고 RORS토큰의 유틸리티와 가치가 극대화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되겠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현재로서는 충분히 투자해볼만 한 가치가 있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① ROR팀의 보유스파를 활용한 보팅지원

steem power.png

현재 ROR팀이 보유하고 있는 스팀파워는 314,753SP 수준으로, RORS토큰 홀더들에게 1일 1회에 안해 보팅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요거 하나로도 충분한 메리트가? :D)

② 200,000개 이상 토큰 홀더 대상 아이템 프로모션

rors2.png

1차 프라이빗 세일이 빠르게 마감되고 현재 진행 중인 2차 프라이빗 세일 물량도 1인당 200,000개를 기준으로 했을 때 약 17명 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3차로 넘어가는 경우에는 현재의 가격에서 추가로 10%가 인상되어 1RORS = 0.0055 STEEM이 됩니다.

저는 현재 블록체인 씬에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게임을 즐기고 있는 유저이기도 하고, 게임이 충분히 재미가 있다면 현질(?)을 하는 것은 당연한 예의라고 생각을 하고 있는 관계로, 어짜피 게임이 출시된 후 게임을 할 예정이라면, 아이템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30 상당의 게임 유료 아이템을 받고 시작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③ 스팀엔진 토큰 투자의 귀재들

rors.png

앞서 RORS토큰 프라이빗 세일에 참여하신 분들 대부분이 스티밋에서 오래 활동해 오신 분들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스팀엔진 토큰 투자의 귀재들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저도 RORS토큰에 1,500 스팀을 투자한 관계로 결코 작은 금액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현재 RORS토큰 상위 홀더들의 투자현황을 보면 살벌할 정도로 갭 차이가 느껴지더군요. 아마도 이렇게 많은 금액을 투자하신 분들께서는 나름의 잠재력과 소통능력, 그리고 최근의 ROR팀의 움직임을 보고 투자결정을 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teemit.INC와 ROR팀의 미팅 소식 그리고 토큰 판매를 통해 모금한 스팀을 현금화하는 대신에 개발팀 계정의 스파업에 사용한 점이 ROR팀의 신뢰도 상승에 주요한 역할을 한 것 같습니다.

rors logo2.jpg

Image source : https://steemit.com/@roadofrich

이오스 나이츠도 그랬고, 드럭워즈도 그랬고, 유저들로부터 결국에는 기존 게임에서 살아남지 못할 게임들이 돈을 벌고 싶어서 블록체인 기반 게임으로 나왔다는 혹평들이 많습니다. 스타크래프트처럼 완벽한 상성 조합을 만들어내거나, 리니지처럼 유저들의 본질적인 소유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게임이 살아남기 위한 위한 방법은 유저들의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로드오브리치팀이 스티밋을 기반으로 소통도 하고 있고, 많은 스티미언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조금 부족하게 나오더라도 유저들의 피드백을 잘 반영하여 계속해서 성장해나가는 게임이 되어줬으면 좋겠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로드오브리치(RORS) 토큰 사전판매 참여, 개인적인 생각’

[임대모집] PAL토큰 임대보팅 조합원 모집 관련 소식 업데이트 (보팅테스트 결과 및 운영계획)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국내 커뮤니티 PAL토큰 홀더 대상 임대보팅 조합원 모집공고와 관련하여 모집현황 및 보팅 테스트 결과, 세부 운영계획 등에 대해서 안내 드립니다.

현재 PAL토큰 홀더들을 대상으로 한 임대보팅 조합원 모집이 계속해서 진행 중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어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1. 모집현황 업데이트


① 모집된 인원 / 모집인원 : 12명 / 20명

② 모집된 토큰 수량 : 19,600 PAL (196구좌)

③ 신청인원 명단

  • @donekim : 5구좌 (=500) (46개는 지분율 산정 시 버림처리)
  • @dailypro : 5구좌 (=500)
  • @happy-banguri : 5구좌 (=500)
  • @kingbit : 6구좌 (=600)
  • @rhodium : 50구좌 (=5,000)
  • @kstop1 : 4구좌 (=400)
  • @kiwifi : 24구좌 (=2,400)
  • @ayogom : 10구좌 (=1,000)
  • @bji1203 : 12구좌 (=1,200)
  • @storysharing : 25구좌 (=2,500)
  • @walktoheaven : 25구좌 (=2,500)
  • @flicktaste : 25구좌 (=2,500)

유저간 토큰편차의 간극이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최소 100개 ~ 최대 2,500개로 제한을 하였으나, @rhodium님께서는 큐레이션 보상 분배만 참여하신다는 의사를 밝히신 관계로 예외처리 하였음을 안내 립니다.

#2. 보팅 테스트 결과


현재 임대 받은 계정의 수량이 정확히 표기되고 있지 않은 관계로, 임대보팅 조합 운영이 당장 가능한지를 가늠하기 위해서 테스트를 실시하였습니다.

① 보팅 전
before.png

② 보팅 후
after.png

staked.png

→ 테스트 결과 = 정상작동

@doingkim 계정에서는 자체적으로 스테이킹하고 있는 PAL토큰의 수량이 2개 밖에 없으나, 보팅 테스트 결과 위와 같이 100% 풀보팅 시에 약 9.12PAL이 추가로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에 안내 드린 일정대로 보팅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찍이 임대해주신 분들 모두에게 100% 풀보팅 진행하였습니다. (#palnet태그 포스팅이 없는 @rhodium님, @storysharing 님 제외)

#3. 운영계획

① 보팅 가치(vote value) 계산 기준

홀거(@holger80)가 밝힌 PAL 보팅파워 계산방법에 따른 계산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olger.png

vote_value = rshares / pending_rshares reward_pool
= vote_value = rshares / 135119929971
27913667 = rshares / 4,840.64

따라서 현재 4,840PAL을 보유하고 있는 계정이 100%로 보팅을 하는 경우 vote value가 1 PAL입니다.

② 보팅비율 및 큐레이션 수익 분배

KakaoTalk_20190621_012923248.png

시뮬레이션 및 계산 결과 현재까지 신청하신 분들의 수량 및 조정 비율에 따른 보팅 및 큐레이션 수익을 위와 같이 진행할 계획입니다. 위의 표에서 [실제보팅 파워] 부분과 [큐레이션 보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시면 됩니다

당초 계획은 보팅 순서를 고정으로 두고 보팅 순서에 따른 파워 감쇠율을 반영하여 설계해 볼까 계획하였으나, 참여하신 모든 분들의 포스팅 업로드 시간이 제각각 다를 수 있다는 랜덤변수를 고려하는 것이 불가능한 관계로 고정형 보팅웨이트로 진행 예정입니다.

@rhodium님께서 큐레이션 수익 분배에만 참여하신다는 의사를 밝히셨기 때문에 Vote Weight를 위와 같이 재조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참여해주신 분들의 포스팅에 실제로 보팅이 되는 비율은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보셔야 할 점은, 상대적 조정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분들만을 대상으로 큐레이션 보상이 분배될 예정이라는 점입니다. 이는 상대적 조정 비율에 따른 보팅파워가 100%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보팅 수익에 있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는 분들께 큐레이션 보상을 통해 손실 분을 보전해드리기 위함입니다.

③ 보팅 및 분배주기

(1) 보팅주기 : PAL의 경우에는 풀보팅에 따른 파워 소비량이 2%인 관계로 하루 최대 12명까지 보팅 후 1일 휴식하는 경우 보팅파워가 100%로 회복이 됩니다.

  • 현재까지 모집된 인원에서 종료되는 경우 : 격일(2일)에 한 번씩 보팅 지원

    1일차 : 보팅 / 2일차 : 휴식

  • 추가로 신청자가 있는 경우 : 4일에 한 번씩 보팅 지원 (A조 / B조 2개로 구분하여 보팅 예정)

    1일차 : 보팅 (A조) / 2일차 : 휴식 / 3일차 : 보팅(B조) / 4일차 : 휴식

(2) 분배주기 : PAL의 경우에는 페이아웃기간이 7일입니다. 기존 공고문에 명시한 바와 같이 소수점 단위까지의 큐레이션 분배 비율의 반영을 위해, 1달(4주)에 한 번 큐레이션 리워드를 분배합니다. 더불어, 분배 대상은 조정비율을 반영한 VW(Vote Weight)가 100%를 초과하는 분들을 대상으로만 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운영 계획은 계획(안)으로서 모든 조합원 분들이 동의하신 경우에 계획(안)대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혹시라도 다른 의견이 있으시거나 제안이 있으신 경우에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위의 내용에 동의하시는 경우에는 댓글로 “동의합니다”라고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현재 PAL토큰 임대를 고려 중인 분들께서는 6월 23일(일)이 마감일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조합 모집은 당초부터 2개조 운영을 목표로 설계된 조합이므로 부담 갖지 마시고 신청해주시기 바라며, 문의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임대모집] PAL토큰 임대보팅 조합원 모집 관련 소식 업데이트 (보팅테스트 결과 및 운영계획)’

[SCT] 스팀코인판 1개월 순항 축하기념 이벤트 당첨자 발표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3일 전에 진행했던 스팀코인판의 1개월 순항 축하기념 이벤트 당첨자 2분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payout.png

해당 포스팅의 저자 페이아웃 총액은 28.263입니다. 따라서 당첨되신 2분께는 각각 14.132 SCT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아웃 금액이 얼마 되지 않아 굉장히 죄송하고 아쉽네요. 양해 부탁드립니다^^)

event.png

  • 주사위 결과 이벤트 당첨자 : @bluengel, @naha

현재 포스팅 홍보 기능을 다른 유저가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별도로 토큰을 송부해드립니다. 얼마되지 않는 금액이지만 유용하게 사용해주세요! 소소한 주사위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 1개월 순항 축하기념 이벤트 당첨자 발표’

[임대모집] 국내 커뮤니티 PAL토큰 홀더들을 위한 임대보팅 조합원을 모집합니다

PALCOIN.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잘 알고 계시는 것처럼 스팀엔진 하드포크 이후에 임대(delegate)기능이 활성화되었습니다. 덕분에 임대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BM들의 프로포절들이 쏟아져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미 SCT나 SCTM과 관련된 마이닝풀 운영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네요.

오늘은 본격적인 SCT금융조합을 설계해보기 전에 일종의 테스트 플라이트로 PAL토큰을 보유하고 계신 국내 커뮤니티 토큰 홀더를 대상으로 임대보팅 서비스를 제안해볼까 합니다.

(임대 기능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제안배경


현재 저는 개인적으로 스판 운영진에서 권장하고 있는 스팀코인판토큰(SCT)의 SCT금융조합을 만들어보는 것을 고려하며 최대한 공평하고 안정적으로 조합원들을 모집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있는 중입니다.

1차적으로는 10만, 2차적으로는 20만의 조합을 목표로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있는 중입니다. 보팅을 할 때마다 보팅파워가 감소하는 점을 고려하면서도 모든 조합 참여자에게 동등한 수준의 보팅 보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분들이 반드시 지켜주셔야 하는 구속력 있는 계약이 필요하다는 점, 자율적인 수량 임대가 아닌 동일한 수량으로 진행해야만 오류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점, 아직까지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토큰 홀더의 보유수량이 적다는 점, 시스템으로의 구현 등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포스팅으로 다루겠습니다)

특히나 SCT는 국내 커뮤니티에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 관계로 충분한 준비 및 실전 테스트 없이 시작하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부담 없이 시작해볼 수 있는 소위 몸빵 테스트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따라 PAL토큰 임대보팅조합원 모집을 제안해봅니다.

#2. 제안사유


① 완만한 편차 : PAL토큰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스팀파워를 기반으로 클레임드랍을 지원한 관계로 홀더들의 보유량 편차가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② 조합원 모집의 용이성 : 보유량 편차가 적고, 국내 커뮤니티 토큰 홀더 중에서 PAL토큰을 구매한 분들은 사실상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조합원 모집이 용이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③ 보팅 리워드의 부재 : 해외 커뮤니티 기반의 토큰인 관계로, 현재 #palnet 태그를 사용하여 pelnet.io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보상을 받아가시는 국내 커뮤니티원들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④ 포스팅 주제 제한 없음 : PALnet은 스팀코인판이나 트리플에이처럼 포스팅 주제나 테마가 정해져 있지 않다보니, 기존 포스팅에 #palnet 태그만 추가하여 사용하시면 되므로, 누구나 쉽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PAL토큰과 PALnet에 대한 설명

#3. 조합개요


① 모집 대상 : PAL토큰을 100개 이상 스테이킹하고 있는 국내 커뮤니티원

② 모집 인원 : 최대 20명 (선착순 마감)

③ 모집 기간 : 2019년 6월 20일(목) ~ 6월 23일(일)

④ 참여방법 : 1구좌당 100개 단위로 신청, 최대 25구좌(2,500개)까지 신청가능

예시 : 524개의 PAL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최대 5개 구좌(500 PAL)로 신청 가능

⑤ 보팅시작일 : 2019년 6월 24일(월) 23:00부터 시작

⑥ 보팅방법 : 최대 20명이 모집되는 경우 10명씩 나누어 각각 4일에 한 번씩 보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1일차 : A조 10명 일괄 보팅
  • 2일차 : 휴식 (보팅파워 회복 기간)
  • 3일차 : B조 10명 일괄 보팅
  • 4일차 : 휴식 (보팅파워 회복 기간)
  • 5일차 : A조 10명 일괄 보팅

PAL토큰은 1일에 20%의 보팅파워가 회복되므로 1일 10명 보팅 시 20%에 해당하는 보팅파워가 차감될 수 있도록 맞춰볼 계획입니다.

⑦ 큐레이션 리워드 정산 : 1달에 한 번만 정산하며, 중도 임대회수 시에는 일할계산하여 지급합니다.

#4. 참여방법



현재 SCOTBOT을 위한 별도의 세컨계정을 생성하였습니다. 본래 트리플에이의 큐레이팅을 위해 생성한 계정이나, 1차적으로 PAL토큰 임대보팅 조합 테스트용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참여하시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아래의 내용에 따라 임대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① 본인의 계정에 PAL토큰 스테이킹
② 스테이킹 후 @doingkim 계정으로 임대
③ 본 포스팅에 “임대 완료” 댓글 남기기
④ 추후 포스팅에 #palnet 사용하기
⑤ @doingkim 계정의 보팅 받기

#5. 주의사항


  • PAL토큰 임대보팅 조합은 테스트의 목적이 강하므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필요로 합니다.
  • 보팅파워 감소를 고려하여 Vote Weight를 조정하며 보팅할 예정이나 유저별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모든 조합원의 기여율이 동일해야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 해외 커뮤니티에서 다운보팅을 시작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본 조합은 해체될 수 있습니다.
  • 임대 시에는 반드시 자신의 본 계정에 스테이킹(Stake) 후에 임대(Delegate)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 본 조합은 임대 기능을 활용한 BM모델의 구현이 가능한지를 실전 테스트 해 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 운영에 미숙한 점이 있는 경우 언제든 피드백과 제안을 부탁드립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임대모집] 국내 커뮤니티 PAL토큰 홀더들을 위한 임대보팅 조합원을 모집합니다’

스팀엔진 하드포크 이후 업데이트 기능 및 아이콘 기능 기초설명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엔진 하드포크 이후에 토큰의 소수점 자릿수 조정 및 임대(delegate) / 임대 회수(undelegate) 뿐만 아니라 아주 소소한 업데이트가 하나 더 있었으니, 이름하여 리워드 알림 및 클레임 메뉴 분할입니다.

이제 임대와 임대회수 기능까지 추가가 되면서 스팀엔진 월렛 내의 각 토큰 정보 옆에 붙는 아이콘들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유저들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 기존의 리워드 클레임 기능을 별도로 넣은 것으로 보입니다.

#1. 리워드 알림 기능


update1.png

스팀엔진 월렛에 접속하시면 위와 같이 계정이름 오른편에 붉은색 숫자 아이콘이 떠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 클레임하지 않은 토큰이 없는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update2.png

계정이름을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기존에 보지 못했던 [Rewards]라는 메뉴가 새롭게 생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pdate3.png

이것을 클릭해보면, 기존에 화면 상단에 [Click here] 또는 토큰 리스트 오른편에 [돈을 받는 모양의 아이콘]이 사라진 대신에 위와 같이 클레임을 할 수 있는 별도의 메뉴가 생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리워드 탭(https://steem-engine.com/?p=rewards&a=계정명)으로 접속하신 뒤에 클레임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2. 아이콘 기능 기초설명


update4.png

스팀엔진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각 토큰의 오른편에 보이는 아이콘들의 종류도 굉장히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미 각 아이콘의 기능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각 아이콘이 어떤 기능을 의미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info1.png 토큰 정보 : 토큰 이름, 토큰 공급량(유통량 / 전체 발행량 / 최대 발행량), 토큰 발행자, 웹사이트, 토큰 설명 등 해당 토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ansfer2.png 토큰 거래 : 해당 토큰의 스팀엔진 마켓으로 이동하여 구매/판매가 가능합니다.

send.png토큰 전송 : 해당 토큰을 다른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history.png 히스토리 : 해당 토큰을 주고 받은 내역 등의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ke1.png 스테이크 : 내 계정 또는 타인의 계정에 해당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크 기능을 지원하는 토큰에서만 활성화되는 기능입니다.

unstake icon.png 언스테이크 : 내 계정에 스테이킹 되어 있는 토큰을 전송 또는 판매가 가능한 리퀴드(liquid) 상태로 만들기 위해 언스테이킹 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계정에 스테이킹 해준 토큰은 내가 언스테이킹을 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delegate icon.png 임대 : 내 계정에 해당 토큰을 스테이크를 하고 나면 활성화되는 기능입니다. 내 계정에 스테이킹을 한 후 타인에게 스테이크된 형태로 임대를 해줄 수 있습니다.

undelegate icon.png 임대 철회 : 타 계정에 임대(delegate)해준 토큰을 회수하는 기능입니다. 타 계정에 임대를 해준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기능입니다.

pending icon.png 펜딩 확인 : 현재 펜딩(pending) 상태이거나 언스테이킹 중인 토큰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입니다. 언스테이킹 중이거나 펜딩상태인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기능입니다.





[#1] 스팀코인판 필수 링크 모음

- 스팀코인판 사이트 : https://www.steemcoinpan.com/
- 스팀코인판 보팅파워 확인 : https://economicstudio.github.io/vp/?a=계정명&t=SCT (계정명 입력 시 @제외)
> [예시] 계정이름이 donekim인 경우 https://economicstudio.github.io/vp/?a=donekim&t=SCT
- 스팀엔진 사이트 : https://steem-engine.com/
- 스팀엔진 지갑 링크 : https://steem-engine.com/?p=balances&a=계정명 (계정명 입력 시 @제외)
- 스팀코인판토큰(SCT) 거래 사이트 : https://steem-engine.com/?p=market&t=SCT
- 스팀코인판토큰 리치리스트 확인 : https://coin-on.com/rich
- 스팀코인판토큰 오더북 실명 확인 : https://coin-on.com/SCT
- SCT홀더리스트 뷰어(SCOT매니저 - by @sct.jcob) : https://passionbull.github.io/scot-manager/


[#2] 스팀코인판 유저가이드 모음

- [0편] : 스팀코인판 관련 주요 Q&A
- [1편] : 스팀 키체인(Steem Keychain) 가이드
- [2편] : 스팀엔진과 SCOT의 히스토리 알아보기
- [3편] : 스팀엔진 소개 및 토큰거래 방법 가이드
- [4편] : 스티밋과 스팀코인판의 차이 및 스팀코인판 사용방법
- [5편] : 스티밋 사용 기본 툴 알아보기
- [6편] : 스팀코인판 포스팅 프로모션 기능 사용방법
- [7편] : 6월 스팀코인판 관전포인트 3가지




sct logo.png

steemcoinpan.png

[간단요약] 스티밋이나 스팀코인판 사이트에서 #sct태그를 달고 블록체인이나 크립토애셋(코인) 관련 글을 작성하시면 스팀, 스팀달러 뿐만 아니라 스팀코인판토큰(SCT)도 얻으실 수 있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엔진 하드포크 이후 업데이트 기능 및 아이콘 기능 기초설명’

[중요] 스팀엔진 하드포크와 위임기능 활성화에 따른 개념정리

sct logo_modified.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금일 오전에 스팀엔진 하드포크가 성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토큰들의 임대(delegate) 기능이 활성화 되었고 이제부터 스테이크와 언스테이크 기능을 지원하는 토큰들의 타계정 임대가 가능해졌습니다. 아마도 스티밋에서 오래 활동해오신 분들은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시겠지만, 혹시라도 개념을 헷갈려 하실 분들을 위해서 스테이크(Stake)와 언스테이크(Unstake), 임대(Delegate), 임대 철회(Undelegate)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teemengine hardfork.png

#1. 임대(Delegate)와 임대철회(Undelegate)


스팀(STEEM)을 스팀파워(SP)로 파워업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스테이크(STAKE)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스테이크를 해놓은 스팀(=스팀파워)을 다른 계정에 위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임대(Delegate)라고 부릅니다.

임대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소유권은 이전하지 않고 사용권만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0개의 SP를 임대해주는 경우 SP의 소유권은 A가 가지고 있고, SP의 사용권은 B가 가지게 됩니다. 소유권이 A에게 있기 때문에 A는 언제든지 B로부터 SP의 사용권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임대 철회(Undelegate)라고 합니다.

사실 여기서 설명을 드리려는 중요한 내용은,
임대(Delegate)는 반드시 내 계정에 스테이킹을 진행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delegate.png

위와 같이 PAL토큰을 @doingkim이라는 계정에 임대(Delegate)해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내 계정(@donekim)에 PAL토큰을 스테이킹(Stake) 한 뒤에 임대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doingkim계정에 임대(Delegate)를 해주고자 했는데, Delegate기능 대신에 스테이크(Stake)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권뿐만 아니라 소유권까지 @doingkim 계정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undelegate.png

임대(Delegate)기능을 사용하여 타계정에 임대를 해준 경우에는 사용권만 이전을 해준 것이라 위와 같이 언제든지 다시 임대철회가 가능하지만,

balance.png

unstake2.png

스테이크(Stake)기능을 사용하여 타계정에 임대를 해준 경우에는 사실상 임대가 아니라 전송을 해준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다시 말해, 즉시 이동가능한 토큰이 아닌 스테이킹된 형태의 토큰으로 전송을 해준 것이죠

transaction.png

Stake와 Delegate는 엄연히 다른 트랜잭션이므로 혼동하시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2. 용어의 정리


혹시라도 스테이크(Stake)와 임대(Delegate) 기능을 혼동하여 타계정에 토큰을 임대하는 대신에 스테이킹을 해주는 경우에는 자칫 잘못하면 해당 토큰을 잃어버리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개념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① 스테이크(Stake) : 내 계정 또는 타계정에 스테이크(일종의 파워업)를 시키며 소유권과 사용권을 모두 가지게 하는 기능

[A에서 B계정으로 스테이크를 해주는 경우]

  • 소유권 = 이전됨 (=언스테이크 및 토큰 전송 권한을 B가 가짐)
  • 사용권 = 이전됨 (B가 소유)

② 언스테이크(Unstake) : 내 계정에 스테이크된 토큰의 파워다운(락업 해제)를 시키며 토큰의 유동성을 부여하는 기능

③ 임대(Delegate) : 내 계정에 스테이킹된 토큰을 다른 계정에 스테이킹된 형태로 빌려주는 것

[A에서 B계정으로 임대를 해주는 경우]

  • 소유권 = 이전되지 않음 (=임대철회 및 토큰 전송 권한을 A가 가짐)
  • 사용권 = 이전 됨 (B가 소유)

④ 임대 철회(Undelegate) : 타 계정에 스테이킹된 형태로 임대해준 토큰을 내 계정으로 다시 가져오는 것

[짧은 요약]

혹시라도 타 계정에 토큰을 임대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①내 계정에 스테이크(Stake)를 먼저 하고,

②스테이킹된(Staked) 토큰을 임대(Delegate)설정을 해 주셔야 합니다.

언제든 전송이 가능한 리퀴드(Liquid) 상태에서 곧바로 타계정에 스테이크(Stake)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중요] 스팀엔진 하드포크와 위임기능 활성화에 따른 개념정리’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