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신규계정생성 기능을 가진 INVITE토큰의 등장, 굉장히 실망스럽습니다

invite.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팀 유료계정생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스팀닌자의 개발팀 @oracle-d에서 스팀 신규 계정생성 유틸리티 토큰인 INVITE토큰 런칭소식을 발표하였습니다.

일전에 [스팀엔진] 스팀 블록체인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보인다라는 포스팅을 통해서 스팀엔진팀과 오라클디의 협업으로 신규 계정생성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지도 모르겠다는 예상을 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발표된 소식을 살펴보면 이 또한 기존의 모델과 크게 차별점이 없어 스팀닌자팀에서 정말 어그로를 끄는 정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세히 살펴볼만한 내용이 있는 것 같지는 않아서 세부 번역은 생략하겠습니다)

invite2.png

1개의 INVITE토큰은 1개의 스팀 신규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그리고 당초 제가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steem.ninja에 최소 7일 이상 스팀파워를 임대해주어야만 INVITE토큰을 얻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invite4.png

invite5.png

invite6.png

여기서 참 안타까운 한계점들이 많이 보입니다.

① INVITE토큰은 사용자들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DACT를 토큰화하여 거래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스팀닌자에게 임대를 해주고 남 좋은 일을 해주는 꼴입니다.

② 결국 INVITE토큰으로 결제를 하면 바우처 코드를 발급받는 거라, 기존의 스팀 결제와 차이가 없습니다

결국 스팀키체인으로 결제할 수 있는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겠네요

③ INVITE토큰 결제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해준 사용자가 15SP를 임대해주고 계정이 악용되지 않는지 확인하라고 합니다.

invite token.png

이런 방식이라면, 스팀파워를 다른 계정에 임대해주고 받은 INVITE토큰을 스팀으로 현금화할 수 있다는 정도 말고는 딱히 달라진 것이 아무것도 없어 보입니다. 현재 스팀엔진에서 1 INVITE토큰이 약 2 STEEM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네요.

현재 스티미언들이 스팀파워 임대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BM들은 상당히 많이 존재합니다. 과연 이런 상황에서 오라클디 팀이 소개하는 INVITE토큰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신들의 기존 플랫폼을 활용해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려는 허접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밖에 평가할 수가 없네요.

steem people.png

국내 사용자들에게는 @clayop님께서 제공해주시는 스팀피플(https://www.steempeople.com/)이라는 무료 계정생성 서비스가 있다는 점이 참 감사하게 느껴집니다. 국내 사용자분들께는 스팀피플을 강추하는걸로!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 신규계정생성 기능을 가진 INVITE토큰의 등장, 굉장히 실망스럽습니다’

스팀피크의 진화는 어디까지일까? 스캇봇 사이트 플러그인 기능 제공!

SteemPeak1.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 스팀피크를 접속해보니 페이지 상단에 [Tribe]라는 새로운 메뉴가 생긴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 메뉴는 스팀코인판, 트리플에이, PALnet 등 스캇봇 기반의 스티밋 포크 서비스들을 스팀피크 안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는 플러그인 메뉴입니다. (아마도 애그로드가 스캇봇 기반의 프로젝트들을 Steem Engine Tribe라고 부르는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pal.png

아직까지는 스팀엔진팀에서 운영하고 있는 PALnet과 SplinterTalk만 활성화가 되어 있는 상태이며, [OPEN]이라는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에는 실제 해당 스티밋 포크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피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steempeak3.png

아직 스팀피크에서의 Steem Engine Tribe통합 사이트 플러그인 기능 스팀코인판이나 트리플에이는 미지원 상태이며, 해당 운영진에서 스팀엔진팀에 요청하는 경우에 활성화가 된다고 합니다.

이전에도 한 번 포스팅을 통해 설명드린 적이 있지만, 스팀코인판도 그리고 트리플에이도 State of the DApps 같은 디앱 통계 사이트에서의 순위를 올리고,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홍보를 하기 위해서는 우리 커뮤니티 유저들이 스티밋이나 스팀피크 플러그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해당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여러 스티밋 포크에서 활동 중이신 유저분들의 입장에서는 스팀피크의 Tribe탭에서 자유롭게 여러 스티밋 포크들을 오가면서 편하게 구독 및 큐레이팅 활동을 하기에 정말 유용한 기능이 생긴 것 같네요.

steempeak4.png

이미 스팀피크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참 사용하기 편리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스티밋 대신에 스팀피크를 애용하시기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스팀엔진 토큰들까지 한꺼번에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한 지갑 기능이 있습니다.

steempeak5.png

그 뿐만 아니라 내 포스팅 페이아웃 일정 부분을 다른 계정의 베네피셔리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스팅 예약 업로드 기능도 있죠.

steempeak6.png

포스팅 예약 업로드 기능과 함께 제가 정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은 바로 Switch User 기능입니다. 다계정을 사용하며 큐레이팅 활동을 하는 사용자에게는 이 기능이 정말 편리하고 파워풀 합니다. 키체인 또는 스팀커넥트를 통해 정말 쉽고 간편하게 계정 전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애용할 수 밖에 없는 기능입니다.

스팀피크를 사용하다 보면, Steemit Inc가 얼마나 사용자들을 위한 UI/UX 개선에 소홀했고,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었는지를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마치 3G폰을 사용하다가 최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기분마저 들 정도니까요.

혹시라도 “스티밋에서 뭔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또는 “글쓰기 또는 큐레이팅 활동에 있어 사용하기 편리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시는 분들은 꼭 한 번 스팀피크를 사용해 보시기를 강추합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스팀피크의 진화는 어디까지일까? 스캇봇 사이트 플러그인 기능 제공!’

[SCT]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 런칭, 개념설명 및 사용방법 안내

logo3.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정말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서비스들과 유틸리티가 등장하며, 스파니언들이 즐거운 함성을 지르게끔 만드는 스판운영진입니다. 오늘은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가 런칭되었습니다. 불과 어제 스팀코인판에서 저자 보상을 많이 받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홍보 기능을 이용하는 법에 대해서 다루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란 무엇인지, 그리고 사용방법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란?


bidbot1.png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란 SCT토큰을 내고 보팅 입찰에 참여하여 해당 라운드에서 한 번의 풀보팅(100%)을 입찰자들끼리 나눠서 받게 되는 서비스입니다.

sct voter.png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정은 @sct.voter계정인데, 현재 546,048 스팀파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2시간을 한 라운드로 하여 각 라운드의 100% 풀보팅 입찰에 참여한 사용자들에게 보팅파워를 비례적으로 나누어 보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Q1. 비례적으로 나눈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 A1. 예를 들어, 1라운드에서 A는 2개의 SCT를, B는 3개의 SCT를, C는 5개의 SCT를 입찰금액으로 지불하고 라운드가 종료된 경우 A는 20%(2/10), B는 30%(3/10), C는 50%(5/10)의 보팅가중치로 @sct.voter로부터 보팅을 받게 됩니다.

  • Q2. 그러면 SCT파워로 보팅을 받는 건가요?

  • A2. SCT를 지불하여 입찰하게 되지만 스티밋에서 스팀파워(SP)로 보팅을 받게 되기 때문에 스팀달러(SBD) 및 스팀파워(SP)로 리워드를 수령하게 됩니다.

#2. SCT토큰 비딩 봇 사용방법


(1) 간단사용법

비딩 봇은 사실 꽤나 편리하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스팀키체인이 설치된 브라우저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참여가 가능합니다.

bidbot3.png

① 받는 계정에 @sct.voter를 입력해주세요 (@를 제외하고 위와 같이 sct.voter만 입력)

② 보내고자 하는 적정한 수량을 입력해주세요 (현재 기준으로는 1부터 13이하가 좋습니다)

③ 보팅을 받고자 하는 포스팅의 URL을 메모란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스티밋 또는 스팀코인판)

위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해당 비딩 라운드에 몇 명이 몇 개로 입찰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말 운이 없는 경우에는 수익률이 최대 -10%를 찍을 수도 있습니다. (지불한 SCT의 가치보다 못한 보팅이 찍힐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정식 사용법

그래서 가급적이면 조금 복잡하게 느껴지더라도 정식 사용법에 따라 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 참여해보시면 그 다음부터는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sct voter2.png

① 먼저, 스팀 봇 트래커 사이트(https://steembottracker.com/)에 접속합니다.

② 그 다음 스크롤을 내려서 Bot Name에서 @sct.voter를 찾아주세요.

sct voter3-1.png

③ 우측에 보이는 [Action]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Details]를 클릭하세요.

sct voter4.png

④ 그러면 현재 몇 명이 몇 개의 SCT로 입찰에 참여했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해당 회차에 참여한 인원과 SCT의 수량이 적을수록 입찰 참여 시 더 많은 보팅을 받게 됩니다

sct voter5.png

⑤ 상단에 보이는 [Last Round]탭을 클릭하면 지난 회차에는 어떤 유저들이 몇 개의 SCT를 가지고 입찰에 참여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ct voter3-2.png

⑥ 만약에 입찰에 참여하기로 마음을 먹으셨다면, [Actions] → [Send Bid]순으로 클릭을 해주세요

sct voter6.png

⑦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아래와 같이 순서대로 입력을 해주세요

  • Account Name : 스팀코인판 계정명 입력 (@는 제외)
  • Bid Amount :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SCT수량 입력
  • Your post URL : 보팅을 받고자 하는 포스팅의 주소 입력

sct voter7.png

[꿀팁참고] 만약에 가능한 많은 보팅을 받고 싶은데 얼마나 입찰에 참여해야 하는지 잘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Display Currency를 POST REWARDS (What is shown on steemit.com)으로 변경해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이 해당 회차에 최대 입찰 추천수량이 SCT로 보여집니다. 이를 참고하여 입찰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3. SCT토큰 비딩 봇 주요 Q&A


  • Q1. SCT토큰 비딩 라운드는 몇 시간 간격으로 진행되나요?
  • A1. 비딩 봇은 100%로 보팅파워가 회복되었을 때 1회의 보팅을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임대받는 수량 등에 따라 시간은 다소 유동적이나 1시간~2시간 정도 간격으로 한 라운드가 진행됩니다.
  • Q2. 비딩에 참여하는 경우 손해일수도 있나요?
  • A2. 비딩 봇은 최대 20%이익에서부터 최소 -10%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회차 참여자들의 SCT입찰 수량 합계에 따라 손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Q3. @sct.voter계정이 임대받는 스팀파워(SP)가 늘어나면 어떻게 되나요?
  • A3. 해당 계정의 스팀파워가 증가할수록 해당 회차에 참여할 수 있는 SCT토큰의 수량이 비례적으로 계산되어 늘어나게 됩니다.
  • Q4. 아무 포스팅이나 보팅을 받을 수 있나요?
  • A4. 현재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를 통해 보팅을 받을 수 있는 포스팅은 [업로드 후 15분이 지난 포스팅이면서 3.5일이 지나지 않은 포스팅]으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작성한 지 15분이 되지 않았거나, 작성한지 3.5일이 지난 포스팅 주소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Q5. 결국 보팅 서비스라고 보면 되나요?
  • A5. 사실 어떤 라운드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의 차이가 발생하는 일종의 운 싸움이기도 하지만, SCT토큰을 스팀달러(SBD)와 스팀(STEEM)으로 환전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이번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 시작으로 인해 SCT토큰은 또 하나의 새로운 유틸리티를 가지게 되었고, 사용자들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 SCT토큰을 자유롭게 환전하고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또 하나의 옵션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홍보/소각 기능에 참여하기 위한 비용이 부담스럽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를 이용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 것 같네요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SCT토큰 비딩 봇 서비스 런칭, 개념설명 및 사용방법 안내’

[SCT UNION] 스판유니언 세부 운영계획(안) 및 조합원 대상 에어드랍 계획 안내

unionsct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스판유니언의 세부적인 운영 계획(안)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아래에서 안내드리는 운영 계획(안)은 현재까지 설계된 스판유니언의 운영 정책에 관한 세부사항들을 담고 있으며, 조합원들의 의견 및 제안, 수익성 및 효율성 저하 등 정책변경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스판유니언 운영 계획(안)


[1] 운영기간 및 청산일자

① 운영기간 : 2019년 6월 30일(일) ~ 12월 31일(화)

  • 1차 조합원 마감일 : 2019년 6월 29일(토) 23:59
  • 2차 조합원 마감일 : 2019년 7월 1일(월) 23:59

② 신규 조합원 모집 : 매월 마지막 주 사전 공지 후 말일에 조합원 임대 시작
③ 청산일자 : 2019년 12월 31일(화)

[보충설명]

  • 청산일자가 존재하는 이유는 수익 모델을 단순히 대세글 보팅 및 큐레이션 분배만으로 가져가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수익추구 모델 + 조합원 수익 분배 활동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청산일자는 운영기간 동안 적립된 재원을 최종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기준일자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하단에서 후술하도록 하겠습니다.

[2] 운영방법 및 계획

① 운영방법 : 조합원들로부터 임대받은 SCT보팅 파워를 통해 보팅활동을 진행하고, 2주 단위로 큐레이션 수익을 분배합니다. 단, 일일 최대 보팅 가능횟수인 13회를 다음과 같은 스케쥴로 활용합니다.

정산_수정.png

  • 대세글 보팅 진행요일 : 일 / 화 / 목, 각 8회씩 (격일제로 진행)

  • 유료 보팅 진행요일 : 일 / 화 / 목 / 토, 각 5회씩 (토요일만 6회 진행)

※ @union.sct계정의 보팅파워가 낭비되지 않는 것을 가장 최우선 원칙으로 합니다. 따라서 유료 보팅 희망수요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 여유 횟수만큼 대세글 보팅으로 대체합니다

정산2.png

[참고사항] 위와 같은 보팅 스케쥴을 결정한 것은 SCT보팅파워 감쇠율 및 회복시간이 위와 같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② 큐레이션 수익 분배일자 : 이전 분배일 이후 2주 뒤 토요일에 진행됩니다

③ 운영 베네피셔리 : 스팀유니언(@union.sct)의 운영과 관련된 공지는 간단한 내용이더라도 2일에 한 번 이상 작성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할 계획입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얻게 되는 UBI보상을 포함한 저자 보상 및 정책변경 의사결정 투표에 따른 수익은 운영 베네피셔리로 귀속됨을 사전에 안내 드립니다.

④ 정책 변경 의사결정 : 스판유니언의 운영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책 변경 의사결정은 스판유니언 운영계정(@union.sct)에서 포스팅 후 댓글 보팅을 통해 진행됩니다.

  • 최소 참여율 : 조합원 중 과반 수(50%) 이상
  • 최소 찬성율 : 참여자 중 과반 수(50%) 이상

⑤ 유료 보팅 분배정책

  • 스판유니언은 보유하고 있는 SCT파워를 이용하여 유료 보팅을 진행합니다.
  • 유료보팅 금액은 스판운영팀의 홍보친화계정 대비 상대적 보팅파워를 기준으로 매월 초에 책정합니다.
  • 유료보팅 서비스는 STEEM, SCT, UNION토큰 지불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유료보팅으로 받은 STEEM 및 SCT는 스판유니언(@union.sct)의 자체 파워업에 사용됩니다.
  • 자체 파워업되었던 SCT는 청산일(2019년 12월 31일)에 지분율에 따라 분배됩니다.
  • 스판유니언에서는 UNION토큰을 발행할 예정이며, 청산절차 시 지분율의 산정은 청산일 기준 UNION토큰 보유 수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UNION토큰은 스판유니언의 보팅지원을 받거나, 향후 청산가치에 대한 기여지분율을 증명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는 토큰입니다.

[3] 조합 참여자들을 위한 혜택


스판유니언은 큐레이션 리워드 셰어 조합으로서 큐레이션 수익 극대화를 위해 대세글 위주의 보팅을 진행하는 관계로, 조합원들에 대한 보팅 지원 등 보다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조합원 참여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임대에 따른 추가 혜택을 드리기 위해 스판유니언에서는 UNION토큰을 발행하여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profile.png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UNION토큰은 토큰을 소각하여 스판유니언의 보팅지원을 받거나, 계속해서 보유하여 청산일 당일 청산금액에 대한 지분을 클레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료보팅 정책이 사용자가 많다면 청산가치가 증가하며 UNION토큰을 굳이 사용하실 필요가 없게 되고, 유료보팅 정책 사용자가 거의 없다시피 한 경우에는 조합원들께 배분된 UNION토큰을 사용하여 스판유니언의 보팅지원을 개별적으로 받으시면 되도록 설계를 할 계획입니다.

UNION토큰과 관련하여 보다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포스팅을 통해 다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합원들에게 보다 좋은 수익률을 안겨 줄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나 제안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스판유니언 세부 운영계획(안) 및 조합원 대상 에어드랍 계획 안내’

[SCT UNION] 스판유니언에 임대를 부탁드립니다 (~6월 29일까지)

unionsct logo.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큐레이션 리워드 셰어 조합 SCT UNION의 본격적인 런칭 및 운영을 6월 29일부터 시작합니다. 당초에는 스판유니언을 6월 30일 자정에 진행되는 1% 홀더 대상 베네피셔리 분배 스냅샷 후 7월 1일부터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아래와 같은 사유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일정을 당겨서 진행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① 스판 운영팀 계정의 6월분 베네피셔리 분배 정책이 임대물량을 포함한 기준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스판유니언을 스냅샷 기준일인 6월 30일 이전에 런칭하여 해당 베네피셔리를 분배 받고 시작하는 것이 조합원님들께 더 유리한 상황입니다.

② 현재까지 스판유니언에 참여의사를 확정적으로 밝혀주신 13분의 SCT보유량 조회결과, 희망 수량을 스판유니언에 임대하는 경우 본계정에서 베네피셔리를 분배받지 못하는 대상자가 없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유로 인해 스판유니언은 베네피셔리를 분배받고 시작하기 위하여 6월 29일에 런칭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더불어, 혹시라도 개인 계정에서 베네피셔리를 분배 받은 이후에 스판유니언에 일부 SCT를 임대하려고 계획 중이셨던 분들을 위해서 스판 유니언은 2차에 걸쳐 조합원을 모집할 계획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조합원 모집 관련 공지


(1) 모집일정 : 2차로 나누어 모집 진행

  • 1차 조합원 모집 : 2019년 6월 29일(토) 23:59분까지
  • 2차 조합원 모집 : 2019년 7월 1일(월) 23:59분까지

(2) 수익 분배

  • 6월분 베네피셔리 수령분 : 지분율에 따라 1차 조합원들만을 대상으로 분배
  • 큐레이션 리워드 수익 : 지분율에 따라 1차 및 2차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분배
  • 큐레이션 수익 분배 주기 : 15일 (최초 분배 예정일 : 2019년 7월 16일(화))

(3) 조합원 확정 기준

  • @union.sct 계정에 임대를 완료한 시점을 기준으로 함
  • 3차 조합원 모집은 2019년 7월 30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4) 기타 참고사항

  • 1차 조합원들께 위임받은 보팅파워는 6월 30일 10회 보팅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 2차 조합원들께 위임받은 보팅파워를 포함한 보팅은 7월 2일 10회 보팅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2. 확정 참가자 명단


당초에 스판유니언에 참여의사를 밝혀주신 스파니언님들의 명단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상기 일정 및 아래의 임대방법 가이드를 참고로 하시어 모집 마감일까지 임대를 완료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현재 스판유니언의 계정(@union.sct) 세팅은 모두 완료된 상황이므로, 원하시는 경우 언제든지 임대가 가능하며 당초에 말씀하신 수량보다 추가로 임대하셔도 됩니다. (더불어, 아래의 확정 참가자 명단에 없는 분들도 1차 조합원 모집 마감일 전까지 얼마든지 신청하시고 임대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보유하고 계신 SCT 보팅파워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6월 29일(토)에 임대를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bji1203 : 1구좌 (=1,000)
@kingbit : 1구좌 (=1,000)
@nexgen : 2구좌 (=2,000)
@dakeshi : 2구좌 (=2,000)
@blockstudent : 3구좌 (=3,000)
@isi3.sct : 1구좌 (=1,000)
@buchheim : 1구좌 (=1,000)
@kibumh : 1구좌 (=1,000) - 확인완료
@matildah2 : 1구좌 (=1,000)
+@feelsogood.cur : 2구좌 (=2,000)
+@influencer07 : 3구좌 (=3,000)
+@parisfoodhunter : 1구좌 (=1,000)
+@walktoheaven : 1구좌 (=1,000)
+@isaaclab : 3구좌 (=3,000)
+@hyokhyok : 1구좌 (=1,000)
+@morning : 3구좌 (=3,000)
+@storysharing : 3구좌 (=3,000)

→ 중간합계 : 30구좌 (=30,000 SCT)

#3. 임대방법 가이드


delegate guide1.png

① 스팀엔진 월렛에 접속해주세요

접속 주소 : https://steem-engine.com/?p=balances&a=계정명 `(계정명 입력 시 @제외)

② SCT토큰 리스트 우측 편에 보이는 delegate icon.png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delegate guide2.png

③ 임대대상자(TO) 입력란에는 union.sct를 입력하시고, 수량(AMOUNT) 입력란에는 임대하고자 하는 SCT의 수량을 입력해주세요

계정명 입력 시, 임대대상자 입력란에 @union.sct로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는 반드시 제외하고 입력하셔야 합니다)

④ 정상적으로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DELEGATE SCT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여기까지 진행하시면 스판유니언 조합에 SCT의 임대가 모두 완료됩니다.

#3. 트랜잭션 확인방법


정상적으로 임대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스팀엔진 블록익스플로러를 통해 트랜잭션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steem-engine.rocks/@계정명 으로 접속해주세요

[예시] 계정명이 donekim인 경우 https://steem-engine.rocks/@donekim

delegate guide4.png

② 위와같이 tokens그리고 delegate라는 파란색 버튼이 있는 트랜잭션이 있는지를 확인하세요

③ 하단에 to: union.sct symbol: SCT quantity: 입력한 수량 이라는 메시지가 보이면 정상적으로 임대가 완료된 것입니다

delegate guide3.png

현재 스판유니언의 계정 세팅은 모두 완료된 상황이므로, 원하시는 경우 언제든지 임대가 가능합니다. 스판유니언은 대세글 보팅을 통한 큐레이션 수익 극대화 활동을 통해 1% 미만의 SCT를 소유하고 있는 분들게서 가급적 높은 큐레이션 수익을 얻게 해드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조합원들께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자유롭게 제안을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는 경우 댓글을 남겨주시면 최대한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UNION] 스판유니언에 임대를 부탁드립니다 (~6월 29일까지)’

[SCT] 스팀코인판에서 저자 보상을 많이 받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logo2.png

안녕하세요, 디온(@donekim)입니다. 최근 스팀코인판에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SCT를 많이 벌 수 있을까?”에 관한 고민입니다. 과연 스팀코인판 토큰을 벌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현재 스팀코인판 토큰을 벌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이 총 4가지 정도로 구분됩니다.

① [큐레이팅] 스팀(STEEM)으로 시장에서 SCT를 구매한 후 큐레이팅 하기

② [마이닝] 스팀(STEEM) 또는 SCT로 마이닝토큰(SCTM) 구매하고 스테이킹 하기

③ [임대수익] 스판 조합에 SCT 임대하기

④ [저자보상] 스팀코인판에 열심히 글 쓰기

스팀코인판 런칭 직후, SCT가치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셨던 분들은 많은 투자금을 투입하여 SCT와 SCTM을 대량 매입하셨고, 실제로 이렇게 자본을 많이 투입한 분들은 별도로 글쓰기 활동이나 임대조합에 참여할 필요 없이 가장 효율적인 토큰 채굴(마이닝 및 큐레이터 보상)을 하고 계십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위험하다고 느껴지는 상황에서 리스크를 감내하고 투자 의사결정을 하셨던 분들, 즉 SCT의 가격이 0.6~0.7 정도로 떨어졌을 때 가격 하락 리스크를 기꺼이 감내하고 큐레이팅을 하고 계신 분들이 가장 높은 효율의 투자를 하고 계시지 않나 싶습니다 :)

그렇다면 그 기회를 놓쳤던 유저들, 또는 스팀코인판에 이제 막 입문한 후발주자들이 스팀코인판 토큰을 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미 스판 조합에 가입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서는 SCT UNION관련 포스팅을 통해 충분히 말씀을 드린 것 같아서,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딱히 투입할 자본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SCT를 많이 벌 수 있는 방법, 즉 저자보상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1. 스팀코인판에서 홍보는 필수!


매일 19,200개가 발행되고 있는 SCT의 가치하락을 방어하고 유통물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플레이션 메커니즘으로 작용하고 있는 본인 포스팅 홍보 기능은 스팀코인판에서 대세글에 등극하기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① 본인 포스팅 홍보기능이란?

promote.png

스팀코인판에서 #sct 태그를 사용하여 포스팅을 작성 및 업로드 한 뒤에 포스팅 하단에 보이는 [홍보]탭을 클릭하고 일정 금액의 비용을 SCT토큰으로 지불하여 자신의 포스팅을 홍보글 섹션에 등록하는 기능입니다.

② 홍보비용은 얼마나?

promote post.png

본인글 홍보 시에 지불하는 비용은 최소 1 SCT에서 최대 200 SCT까지를 원칙으로 하며, 홍보글 섹션 중 더 높은 곳에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00개를 초과하여 지불해도 무방합니다. (홍보글 섹션에서는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 포스팅이 가장 상단에 노출됩니다)

1개 이상의 SCT를 지불하여 홍보 기능을 사용한 포스팅은 스팀코인판 운영팀의 홍보지원 계정인 @sct.adv 및 @sct.min 으로부터 2개당 1%의 보팅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즉, 1개를 지불한 경우에는 0.5%, 200개를 지불한 경우에는 100%의 보팅파워로 보팅지원을 받게 됩니다.

내용 출처 : [Notice] 홍보글 보팅 기준 (Promotion voting criterion)

[주의사항]

  • 현재는 홍보 기능을 사용하여 SCT의 소각행렬에 동참하는 스파니언들을 추가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kopasi계정과 @supporters 계정도 함께 보팅지원을 하고 있으나, 홍보글 보팅지원은 운영상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멈출 수 있습니다.
  • 스판 운영팀에서는 홍보 기능을 사용한 포스팅의 저자 보상을 지불한 비용보다 높게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지 않습니다.

#2. 저자 보상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위의 주의사항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스판 운영진에서는 포스팅 홍보에 사용한 비용보다 높은 저자 수익을 받을 수 있도록 보팅하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팀코인판에서 홍보는 필수라고 이야기하는 이유는, 포스팅 노출을 통해 다른 스파니언들의 보팅들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스팀코인판 런칭 초기부터 계속해서 포스팅을 꾸준하게 써오고 있지만, 홍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포스팅으로 50 SCT(저자 보상으로 환산하면 약 20 SCT)이상의 보팅을 받는 것은 손에 꼽습니다. 반면에 홍보 기능을 사용한 포스팅은 적게는 500부터 많게는 1,200 정도의 보팅을 받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무조건 모든 포스팅에 비용을 지불하여 홍보를 하기 보다는 여러가지 변수들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① 위에서 언급한 보팅지원 계정들의 보팅파워가 충분히 찼는지

② 나의 포스팅을 홍보하려고 하는 날 홍보 기능 사용(소각 행렬)에 참여한 인원이 몇 명인지

③ 현재 홍보글 섹션에 얼마나 많은 비용을 지불한 포스팅들이 등록되어 있는지

④ 홍보하려는 포스팅이 다른 스파니언들이 기꺼이 보팅을 할 만한 퀄리티로 작성되었는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3.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홍보 기능을 여러 번 사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홍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아래의 내용은 저의 개인적인 경험과 주관이 많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본인의 포스팅 습관이나 보유하고 있는 SCT토큰량 등을 함께 고려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① 200개 이상을 하는 것이 좋다 : 200개 이상의 SCT를 지불하는 경우 나의 포스팅이 홍보글 최상단에 노출이 되는 관계로 보다 많은 스파니언들에게 보팅을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무조건 제일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 하기 보다는 적절한 눈치 작전이 필요하긴 합니다.

② 홍보하는 포스팅은 정성들여 쓸 필요가 있다 : 현재 보팅지원 계정들이 위에서 말씀 드린 원칙에 따라 보팅지원을 하고 있으나, 다른 스파니언들로부터의 보팅을 추가적으로 받지 못하는 경우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홍보를 작정하고 쓰는 포스팅은 나름의 공을 들여서 다른 유저들의 손가락이 움직이도록 어필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③ 포스팅 작성 후 곧바로 홍보하지 말 것! : 현재 홍보 기능이 간헐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큰 맘 먹고 200개가 넘는 SCT를 지불했는데, 홍보글 섹션에 등록이 되지 않으면 정말 속이 상할 수 밖에 없겠죠. 저 같은 경우에도 3번 정도 등록이 되지 않았는데, 그 원인을 곰곰히 생각해보니 포스팅 작성 후 곧바로 홍보 버튼을 클릭한 경우 등록되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스팀 블록체인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블록에 SCOTBOT이 해당 내용을 기록하는 데 발생하는 지연 현상이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가급적 포스팅을 작성한 뒤 15분~1시간 정도의 여유를 두고 홍보 기능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④ 오전 보다는 밤에 업로드하자! : 사실 이건 보팅과는 조금 무관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아직까지 SCOTBOT이 완벽하게 안정화된 것은 아닌 관계로 간헐적인 에러가 발생하곤 하는데 그 시간이 우리나라 시간 기준으로 주로 아침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간헐적인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기존 포스팅에 찍혀 있는 페이아웃 보상금이 1/3이나 1/4까지의 수준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비용을 지불하여 많은 페이아웃이 찍힌 포스팅의 보상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피해가 더 클 수 있겠죠?) 따라서, 가급적 이 때를 피해서 업로드한 포스팅을 홍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CT] 스팀코인판에서 저자 보상을 많이 받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