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RYPTO] 내가 크립토 생태계에서 떠나는 3가지 이유

leave.jpg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한 때는 미디엄에 올라오는 글들이 너무 많아서 매일마다 피드에 올라오는 추천 콘텐츠를 다 읽기가 벅차던 때가 있었는데, 한동안은 스티밋과 비슷하게 미디엄에서도 블록체인이나 크립토 관련 콘텐츠들이 자취를 감췄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비트코인의 Pre-Halving을 앞두고 시장에 다시 활기가 불기 시작하면서 제법 포스팅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보면, 시장의 회복과 반등을 기다리고 있었던 사람들이 제법 많았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오늘은 Coinmonk, Hackernoon, Altcoin magazine 등에서 프리랜서 마케터로 활동했던 한 분의 포스팅을 소개드릴까 합니다.

이미 제목에서 보셨겠지만, 해당 포스팅은 블록체인&암호화폐 업계에서 커리어를 쌓고 있었던 업계 종사자가 크립토 생태계에서 지난 2년 동안 무엇을 느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혹시 크립토 생태계에서 전일제로 일을 하고 계신가요? 혹시라도 그렇다면 전 지난 2년 동안 블록체인&암호화폐 업계에 종사했던 사람으로서 이제 이 업계에서의 일을 그만두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할 때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오해는 하지 말아주세요. 저는 여전히 크립토가 여러 산업의 시장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고 믿습니다. 특히 금융산업쪽에서는 더욱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는 소수를 제외하고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생각에 동의하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점은 언제, 어느 수준에서 암호화폐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입니다.

향후 2년 내에 규제가 어느 정도 명확해지고 금융기관들이 암호화폐를 합법적인 자산으로 취급하기 시작한다면, 글로벌 경기 침체는 많은 개인투자자들로 하여금 위험 회피(헷지)를 위한 투자수단으로서 비트코인에 투자하게 만들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달러 기준으로) 6자리를 달성하는 상황을 목격하며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대중화되는 것을 목격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저는 이러한 생각이 너무도 순진하고 망상적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물론 암호화폐의 대중화(매스어답션)을 보고 싶기도 하지만 현실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단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지금이 암호화폐 업계를 떠나야 하는 때라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적어도 암호화폐가 달성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기대치를 낮춰야 하는지에 대한 3가지 이유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

#1. 수익성이 없는 암호화폐 기업들


thumbnail1.jpeg

ICO를 통해 특정 프로젝트가 며칠 또는 몇 시간 만에 수백만 달러를 모금할 수 있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그렇다면 암호화폐 업계의 기업들이 집중해야 하는 것은 뭘까요? 바로 수익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ICO 또는 벤처캐피탈로부터의 자금 조달을 통해 상대적으로 긴 로드맵을 가지고 사업을 하고 있는 프로젝트들도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업의 생존은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달려 있습니다. 어떤 이념을 가지고 있는지, 다른 경쟁 프로젝트에 비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컨센시스나 비트메인과 같은 암호화폐 업계에서의 대기업들도 암호화폐 시장에 불황이 닥치며 임원을 포함해 많은 직원들을 해고하고 있다는 소식을 보셨을 겁니다. 2019년에는 크립토 헤지 펀드들도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됐죠.

암호화폐 관련 제품들은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심지어 성공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성공을 달성하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2. 암호화폐는 끼리끼리 모여 있는 작은 무인도입니다.


혹시라도 암호화폐 관련 컨퍼런스에 3번 이상 참석해본 적이 있으시다면, 아마도 두세 번 정도 낯익은 사람들을 만나보셨을겁니다. 이는 암호화폐 생태계가 얼마나 작은지, 그리고 새로운 투자자나 인재들의 유입이 얼마나 없는지를 의미합니다. 적어도 매스어댭선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은 깨달으실 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암호화폐 업계는 에코챔버(Echo Chamb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에코챔버(Echo chamber) : 다른 성향을 가진 반대편의 이야기에는 귀를 닫고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들 끼리만 의견을 교환함으로써 점점 고립되고 특정성향이 강화되는 것을 일컫는 말

thumbnail2.png

암호화폐 관련 트위터들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비트코인 지지자들(Bitcoin Maximalists)은 비트코인이 어떻게 현재의 은행 시스템을 붕괴시킬 것인지에 대한 트윗을 계속해서 날리고, 커뮤니티는 이 쓰레드를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공유합니다. 일반인들에게 이런 트윗은 그냥 현행 화폐가 미래가 없다는 정도로의 이야기로 밖에 전달되지 않고, 결국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현실세계와 접점을 가지지 못하게 합니다.

더 큰 문제는 특정 블록체인 프로토콜 프로젝트를 열렬히 지지하는 사람들이 경쟁 프로젝트를 깎아내리고 공격하는 모습을 보며 해당 블록체인 프로토콜 프로젝트가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믿게 되는 현상입니다. 사실 시스템을 개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함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것을 찾아 해결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다른 관점과 의견을 가지고 있는 외부인들의 의견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새로운 사용자들의 참여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자정작용을 스스로 하기 전까지는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계속해서 고립되어 갈 확률이 높습니다.

신규 투자자들이 이 공간에 들어오지 못하는 주요 원인은 뭘까요? 비트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일까요? 아니면 암호화폐의 엄청난 가격변동성 때문일까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새롭게 합류한 사람들이 빠르게 커뮤니티의 문화를 익히고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들이 쉬워지면 결국 매스어답션이 이뤄질 것입니다.

#3. 일부 개발도상국 위주의 기술채택


thumbnail3.jpeg

더 좋은 시스템이든 더 나쁜 시스템이든 이미 작동 중인 익숙한 시스템을 고수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스템이 매우 비효율적이거나 뭔가 엄청난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사용자들은 딱히 대안을 찾으려고 하지 않게 됩니다.

암호화폐는 다양한 산업의 구조를 개편할 수 있는 훌륭한 대안을 제공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영역은 바로 금융산업니다.

현재 사람들이 뭔가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하는 정도까지 금융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곳은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베네수엘라의 국민들은 초인플레이션에 직면하여 매일 매일 생활필수품을 구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법정화폐의 엄청난 가치 변동성으로 인해 비트코인이 신뢰할 수 있는 가치 저장 수단이자 금융시스템의 대안으로 여겨집니다.

일본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국가들이 암호화폐 규제 정책을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지만 선진국들을 일반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자산에 대한 규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그리 시급한 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선진국들의 국민들은 대부분 현존하는 금융시스템에 상대적으로 만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규제 정책 마련과 관련하여 이렇다할 진전이 없었기 때문에 암호화폐는 합법적인 것이 될 수 없었고 시장에서의 기술 채택 등의 진전 또한 불가능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각 국가별로 법규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 침투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4. 마무리하며


암호화폐가 현재의 은행 시스템을 완전히 대체하는 일은 오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암호화폐는 현존하는 금융시스템의 대안 중 하나로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 아니면 많은 사람들이 현존하는 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되는 계기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직업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업계가 굉장히 큰 성장이나 확장을 할 수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이 업계를 떠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스팀 생태계에서도 그랬고 이오스 생태계에서도 그랬고 참 많은 분들이 이른바 탈블하여 크립토가 아닌 기존의 전통 시장의 커리어로 이직을 하거나 사업을 철수하며 이별을 고하곤 했습니다.

이 포스팅을 읽으시면서 어떤 생각이 드셨을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경험에서 나온 블록체인&크립토 업계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들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무작정 규제라는 테두리만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는 현재의 상황에서 크립토 업계가 에코 챔버에서 탈피할 수 있는 해법은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dCRYPTO] 내가 크립토 생태계에서 떠나는 3가지 이유’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